# |
입 모양,
도구 모양에
따른 자음도표: ~잡이/~걸이 |
|
* |
ㄱ:[g] /
기윽 |
|
|
|
|
|
혀뿌리를 높여 연구개에 붙였다가 뗄 때 나는 무성 파열음. |
|
|
받침일 때는 혀뿌리를
떼지 않고 발음. |
|
|
=> |
 |
|
 |
|
|
|
|
|
|
'ㄱ'은
한글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음소이고, <가서 고치고... 개정/개편>의
류연함을 지닌다: |
|
|
|
☞ |
한글에서 'ㄱ'가
먼저 나온 배경은 <가다, 다른 곳에서 가서 1인자가 되다>라는 의미로, 삼스크러터 '삼스크러터
' [gha]'와
련계된다. -
한글(Hangle) |
|
|
|
* |
가다: go |
|
|
|
* |
거다: 물러나다: recede |
|
|
|
|
-> 가거라 |
|
|
|
|
|
|
|
|
동사를
명사로 => 준동사화 (to-inf)
=> '~거' 사용 //
붙여쓰고 |
|
|
☞ |
to-inf'의
'거'는
한자 '去'
와 련관지어라. |
|
|
|
|
|
|
|
|
|
|
|
☞ |
아~,
어쩜 한글과 엔글이 궤를 같이하는지...! |
|
|
|
|
|
|
|
|
|
|
|
|
|
|
|
|
|
|
|
|
|
받침 'ㄱ'
음소는 <긴장/tension>과 잠금(lock) ...ㅋ/ㄲ
-> <모종의
순차적 과정> |
|
|
|
|
|
|
|
|
|
|
|
|
|
|
|
* |
ㄴ:[n] |
|
|
전면 하단에서
혀끝을 윗잇몸에 붙였다 떼면서 비강(鼻腔)의 공명을 일으키는 울림소리. |
|
|
받침으로 쓰일
때는 혀끝을 떼지 않음. |
|
|
=> |
 |
|
 |
|
|
|
|
|
* |
'ㄴ'은 한글에서
두번째 나오는 음소이고, <느다/늘다/느리다>의 이완/안정의 뜻을 지닌다: |
|
|
|
|
->
느다/느리다(slow)/늘다/늦다(laie) |
|
|
|
|
-> 어쩜 Hn/En이 이리도
잘 어울릴까! -> ▶Dilate |
|
|
|
|
-> ~느냐/느뇨? |
|
|
|
|
|
|
=> |
이완
-> 느다 -> 늘다: breed, increase, improve |
|
|
눅눅하다/눅진눅진 |
|
|
늘다:
getting added |
|
|
|
-> 넘다: brim over (with ~) |
|
|
|
|
|
-> 너머 |
|
|
|
|
|
-> 너무 |
|
|
|
-> 넘치다: overflow |
|
|
|
|
|
-> 넘쳐서 |
|
|
|
|
|
|
|
|
|
|
|
|
|
|
* |
받침 'ㄴ'
음소는 <이완/relax>와... -> <모종의
순차적 과정> |
|
|
|
|
|
|
|
|
|
[mhan]
/ mach+n |
|
☞ |
『 [mhan]』은
'빠르다'라는 뜻의 'mha'와 <펼쳐지다/퍼지다/만연하다>란 뜻의 받침 ㄴ[n]이
담겨있다. |
|
|
[mhan]:
삼국시대 '마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은
간발의 다. |
|
|
한글을 통해 이는, |
선 하나로 구분되는
' &
'n' |
|
|
|
|
|
|
|
|
|
|
|
|
|
|
|
|
|
|
|
|
|
* |
ㄷ:[d]
/ D |
|
|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끝을 윗잇몸에 붙여 닫았다
뗄 때 나는 파열음소 |
|
|
받침으로 그칠
경우에는 혀끝을 떼지 않음. |
|
|
|
 |
|
 |
|
= ㄷ = D |
|
|
한글에서 'ㄷ'은
<드다/들다/닫다>처럼 출입의 <get into, enter, close>의
뜻이 강하다. |
|
|
|
|
|
->
서술형 종결조사 '~다'도 '닫다'에서의 'ㄷ'에서 생겨났다. -
dot[닽/닷]
= 점 |
|
|
|
|
|
|
받침
'ㄷ' 음소는 <유인(誘引)/유도)
+ 닫음, 폐쇄>와... -> <모종의
순차적 과정> |
|
|
|
|
|
|
|
|
드다,
나들다, 드나들다 |
|
|
|
|
|
|
-> [드오] |
|
|
|
|
드르륵
/ door /draw /duc*둑 |
|
|
|
|
|
-> 닫다,
다물다, 다잡다 / 드잡다, |
|
|
|
|
|
|
종결의
'~다'도 '닫다'의 'ㄷ'와 같은 맥락... closing |
|
|
|
|
|
-> 담다,
|
|
|
|
|
|
|
|
다다: |
|
|
|
|
|
단디/단도리 |
|
|
|
|
|
~도록 |
|
|
|
|
|
~다오 |
|
|
|
|
|
......↙ |
|
|
=> |
ㄷ(d)
둘러보기 |
|
|
|
|
|
|
|
[dha]
// :
땅 / 마당 / 터
|
|
|
|
|
|
-> 땅/터 |
|
|
|
|
|
|
도두다, 두더지, [도움] |
|
|
|
|
|
|
담, 댐 |
|
|
|
|
|
|
더:
더미, 무덤 |
|
|
|
|
|
|
... |
|
|
|
|
|
|
도둔 것을 아래 -> ㄷ ㅜ ->
다운 -> down |
|
|
|
|
|
|
... |
|
|
|
|
특정
지점에 안착/정착/종착 |
|
|
|
|
|
-> 닿/dah |
|
|
|
|
|
......↙ |
|
|
=> |
ㄷ(d)
둘러보기 |
|
|
|
|
|
|
|
|
|
|
|
|
|
|
|
|
|
* |
ㄹ:[r/l] |
|
|
혀끝을 윗잇몸에 살짝 대었다 뗄 때 나는 유성음. 받침으로 그칠 때는 혀끝을
윗잇몸에 꼭 붙이고 혀의 양쪽으로 숨을 흘리어 내는 류음(流音). |
|
|
* |
한글에서 'ㄹ' 음소는 흔히 초성은 엔글 'r', 종성은 엔글 'l'에
해당되지만 한빛한글에선 명확하게 구분된다. |
|
=> |
ㄹ[l] 둘러보기 |
|
|
 |
|
|
 |
|
=> |
乙[r]
둘러보기 |
|
|
|
|
|
|
|
|
|
|
|
|
|
|
|
* |
ㅂ:[b] |
|
|
'ㅂ'은 봉지/봉투처럼
감싼 모습으로, 위*아래 입술(양순)이 붙었다
떼어지는 파열 음소 |
|
|
'ㅂ'는
봉지/봉투처럼 감싼 모습에서 배출/분리와도
관련된다. |
|
|
|
|
|
|
한글 'ㅂ'의 봉한
모습: |
|
|
 |
|
|
|
|
|
|
|
|
|
|
한글 'ㅂ'은 봉한
모습에서 분리/배출의 <paste/brush>라는
뜻의 '바르다'라는 동사가 생겨나고... |
|
|
|
 |
|
|
|
립스틱/lipstick...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음
ㅇ
:[Ø/ŋ] |
|
|
혀가 동그랗게 오므라들고 목구멍 깊은 곳에서 나는 소리;
laryngeal |
|
|
|
|
|
1)
|
초성 자음 'ㅇ'은
아주 깊어 void Ø으로
취급되고, |
|
|
|
종성
자음 'ㅇ'은
엔글 'ng'에 해당하는 [ŋ]
발음에 해당된다. |
|
|
|
|
-> |
아주 깊어져 혀가 오므라들면 자음인 닿소리에서
모음인 hole 소리, 즉 소리 |
|
|
|
|
= |
초성 자음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닿소리가 없는 경우 모음 앞에 형식적으로 쓰임 |
|
|
|
|
|
|
-> 소리 |
|
|
|
-> |
모든 소리의 뿌리 => 깊 음 |
|
|
|
|
|
2)
|
받침 'ㅇ'은
엔글 'ng'에 해당하는 [ŋ]
발음에 해당된다. |
|
|
|
|
고[go] -> 공[goŋ] |
|
|
|
|
[ ]
-> [ɔŋ] |
|
|
|
|
|
|
->
<모종의
순차적 과정> |
|
|
|
|
|
|
|
|
|
|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
|
|
|
|
|
|
한글에서 소리화된
초성 자음 'ㅇ'이
<이겹모음(Duple
Vowel) 'ㅣ'>와 결합되어 <앞말
받침 꼭지 [ŋ]>으로
되기도 하는데, 한빛
이기희는
그것을 '꼭지이응'이라 칭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ㅅ:[s] |
|
|
|
|
|
치경마찰음(alveolar fricatives) |
|
|
dental |
|
|
=> |
=> |
 |
|
↘ |
|
# |
걸이형(Dangle Type) 자음의 시작 음소,
ㅅ |
|
 |
|
|
|
생활
도구(tools)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글 자음체계! |
|
|
|
|
<꺾고
말은 손잡이형(handle)
자음> |
↘ |
↓ |
↙ |
|
|
|
|
|
<꺾고
말고 덧은 옷걸이형(hanger)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스다: ㅅ+
ㅡ ->
~스 |
|
|
시다: ㅅ+ㅣ
-> ~시 |
|
|
|
|
|
|
|
|
스다: ㅅ+
ㅡ -> 쓰다
<-
싸/ :
한[han]/함
|
|
|
시다: ㅅ+ㅣ
-> 씨다 |
|
|
쓰 + 씨 -> 씌 |
|
|
|
|
|
|
|
|
ㅆ +
ㅓ -> 써 |
|
|
ㅆ +
ㅗ - > 쏘 |
|
|
ㅆ +
ㅜ -> 쑤 |
|
|
|
|
-> (Sait)
/ -> 렉스(Flex) |
|
|
|
|
|
|
|
|
|
|
|
|
|
|
|
* |
ㅊ:[ts] |
|
|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의 가운데 바닥을 입천장에 붙였다가, 숨을 불어 내면서
혓바닥을 뗄 때 나는 맑은 소리. |
|
|
받침으로 그칠 때는 윗잇몸에서 혀끝을 떼지
아니하여 ‘ㄷ’에 가까운 소리가 됨. |
|
|
|
|
|
 |
|
|
|
/
 |
|
|
|
|
|
|
|
|
|
▣ |
내파화(內破化:Inner-Aspirated)란?
|
|
|
-> |
<내파화>란
강세 받침 ㄱ/ㄷ/ㅂ/ㅈ 음소가 void 음소인
'ㅇ'을 제외한 다른 자음과 련계되면 ㅋ/ㅌ/ㅍ/ㅊ와 같은 기음화
류형의 음소로 발음되는 경향을 일컫는다. |
|
|
|
♠ |
받침
ㄷ이 ㅌ으로 변하는 류형은 flex화... ->
fle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