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 1) |
모음(Vowel)이란? |
| |
| ☞
|
모음(母音): 혀나
입술의 끼침없이 나오는 목소리에
대한 표기
기호 <-
(hole)소리 |
| = |
Vowel:
a vibrated speech sound produced without obstructing
the flow of throat-air from lips or teeth |
|
|
|
|
| cf) |
자음(子音):
목소리가 혀 닿는 위치와
입술 개폐에 따라 구분되는 소리에 대한 기호 |
|
|
|
| 2) |
[모음] (Vowel)
기본 구조: |
|
|
모음
원리: 점(Dot)
/ 가로(Horizontal)
/ 세로(Vertical)
-> 모음 3요소:
ㆍ
ㅡㅣ <-
천지인 |
|
↘↓↙ |
|
# [모음]
류형(Types) |
|
|
|
|
한글(Hangle)
모음 개요(槪要[ ])
-
En
|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모음은 크게
점모음(Dot
Vowel) 과 가로모음
그리고 세로모음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하 / 좌*우에 1개 또는 2개의 막대가 붙은 띠모음(Bar
Vowel)이 기본모음(가로(5)
& 세로(5))이다. 또한 상*하 / 좌*우에 1개 또는 2개의 점이
붙어 우선순위를 가늠하는 겹모음(Dual
Vowel))이 있고, 세로모음을 둥글게하는 둘레모음과
'ㅣ[i]' 추가인 이겹모음
그리고 바탕모음인 띠겹모음,
가로이겹모음,
가로이세겹모음
그리고 네겹모음 등 가로 87, 세로 78 도합 165개의
낱모음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로모음과 세로모음이 결합된
6786개의 합성모음(bar
합성모음, dot 합성모음, 둘레합성모음 그리고 이겹합성모음) 등 총
6951개의
모음이
있다.
그리하여 한글엔 총 8,1539,4006개의
TM 유형과 TMB 유형의 글자들이 있는데, 한빛
이기희는
<테이블 태그를 이용한 모음> 유형에다
<변수 형태의 자음>을
도입 -> 프로그래밍하여 그 초인류(preterhuman)
글자들을 보여준다. |
| |
|
|
↘↓↙ |
|
|
|
|
 |
| |
<Table
母音>을
활용한 한글 글자 체계 |
|
| |
The
Letter Programming with Table Vowels |
|
|
| 한글
재조명: |
한글의 진정한 매력은 바로 테이블
모음이다. -
©
한글(Hangle) |
|
그말인즉, 8억이
넘는 글자들도 모두 이 테이블 모음에 바탕을 둔다. |
|
|
|
| 이 세상 모든 소리를 아우르는
테이블 모음, 이제 이 테이블 모음에 주목하라! |
| ↘↓↙ |
| 1) ㅡ 모음 |
2) ㅣ모음 |
3) 합성모음 |
| |
|
|
//
이제 위 <그림(?) || 글자(?)>에 대한 cell 령역을 아래처럼 각각 다르게
구성한다. |
| |
|
|
//
이제 위 cell을 sector 형태로 구분하여 변수 자음을 대입하고, 또한 테이블 모음을
따로 형성... |
| |
|
|
|
↗↑↖ |
//
눈에 보이진 않겠지만 sector 형태로... |
| |
| 이곳 내용은 한빛
이기희가
<변수 자음>과 <테이블
모음>을 바탕으로
8억
이상의 글자를 프로그래밍을 통해 현시하는 과정에 <tr><td>
태그의 <테이블 모음>을 <크게
부각한 것>과 <실제 적용한 것>으로
분류한 것으로, 특허권을 포함한 제반 권리는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
| |
글자를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들을 편이에 따라 무시로 대입시키다보니 미흡한 부분도 많이 있니다. (사실,
8억
이상의 글자들을 프로그래밍할 그 당시엔 해결해얄 부분들이 어찌나 많던지 세세한 부분까지 일일이 챙기기가 무척 힘들었고, 지금도
그런 흔적들이 곳곳에 서려있니다. 그런 점을 잘 헤아려 행여 미진한 구석이 있더라도 필자를 옥죄는 경지로까진 몰아가잖기를
당부합니다.) |
|
| # Vowel Collection:
테이블 모음 ( Table Vowels ) |
| |
|
|
|
|
뭔가 휑한 느낌?
아니야,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냐! |
사실,
위 공간은 어있는게 아니라
아래처럼 <tr><td> 태그의 <테이블>로 꾸렸다. |
|
|
|
|
|
|
공간 이면에 펼쳐진...-> View
|
| 이처럼 세상
만물은 <테이블> 위에 음*양의 가감으로 드러나고, 한글 글자도 테이블 상에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
형태로 현시되고, 아래와 같은 모음도 그런 맥락에서 도출된다. |
|
|
|
|
|
|
|
|
| 아래 그림의
경우 모두 같은 형태의 점으로 보이겠지만 그 이면엔 각기 구분되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그런 견지에서 한글 모음은
전부 <tr><td> 태그의 <테이블>로 존재하고, 한빛 이기희가 제시한
8억
이상의 글자도 그런 맥락에서 프로그래밍되어야 일관성과
체계성이 유지된다. 그말인즉, 우리의 눈에 보이는 모든 글자들은 판(table) 위에 음*양의 가감으로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궁극엔 모두 점(dot)으로 철하고 인식의 령역에 먼지로
흩날린다. 그리곤 無[므ㅓ](muə)로...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도드라진
점의 련장/모음(collection)이 가로/세로 모음, 띠모음(bar vowel)으로 된다. 다시말해, 모든 모음은
angle에서 비롯된 <ㅁ/ㅁ/네모/점>의 도드라진 련장이고, 이러한 부분은 <tr><td>
태그의 <테이블>에서 검은색 부각이고, Digital 령역에서 네모를 망라해놓은, 즉 넷(net)의 대상이기도
하다. |
|
|
| 한빛
이기희 가라사대 |
| 이
세상 모든 글자, 만물은 판 위에 존재하는 객체이다
- 이기희 |
|
|
| |
|
↘↓↙ |
| # 점의 련장인 한글 모음(Vowels): |
|
| |
|
|
|
|
|
|
|
|
|
|
TMB |
|
|
|
|
|
TM |
| |
|
|
|
|
|
| |
|
|
|
|
HV |
|
|
|
|
|
H |
| Umlau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upal 겹성 |
|
|
|
|
|
|
|
|
|
|
|
| |
|
ㅏㅣㅏ[ai_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ual |
|
|
|
|
|
| |
|
|
|
|
|
[oh] |
[i_a] |
[i_ya] |
[i_eo] |
[i_yeo] |
|
[ㅗㅎ] |
[ㅣㅏ] |
[ㅣㅑ] |
[ㅣㅓ] |
[ㅣㅕ] |
|
| 아래 ㅇ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래 참조 |
아래 참조 |
|
|
[i_a i] |
[i_i_eo] |
|
|
|
|
[ㅣㅏㅣ] |
[ㅣㅣ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간에 bar |
중간에 bar |
|
|
[i_ya i] |
[i_i_ yeo] |
[a_i yeo] |
[ya_i yeo] |
|
|
[ㅣㅑㅣ] |
[ㅣㅣ ㅕ] |
[ㅏㅣ ㅕ] |
[ㅑㅣ 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ㅏㅣ ㅓ -> ㅐㅓ |
ㅑㅣ ㅓ |
ㅓㅏㅣ |
ㅕㅏㅣ |
|
|
중간 bar |
중간 bar |
왼쪽 bar |
왼쪽 b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왼쪽 bar |
왼쪽 bar |
|
|
|
|
ㅓㅑㅣ |
ㅕㅑㅣ |
|
|
| |
|
|
|
|
|
| |
|
|
|
|
|
|
|
|
|
|
|
arae o |
|
|
|
|
|
| |
|
|
|
|
|
[oh] |
[eu_o] |
[eu_yo] |
[eu_u] |
[eu_yu] |
|
[ㅗㅎ] |
[ㅡㅗ] |
[ㅡㅛ] |
[ㅡㅜ] |
[ㅡ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좌측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단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
상단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
하단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
하단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lide Du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측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ㅏㅕ |
우측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ㅑㅕ |
좌측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ㅓㅑ |
좌측 td 속에 테이블로 bar 존재 ㅕ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로띠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로띠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로이겹 |
|
|
|
|
|
|
|
|
|
|
|
|
|
|
|
|
|
|
|
|
|
|
|
가로이겹모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로활이겹모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겹모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억
이상의 글자 체계, 변수 자음과
테이블 모음의
프로그램! |
| |
|
|
|
| |
|
|
한글
글자는 테이블
모음 상*하/전*후에
일정한 섹터(sector) 령역이 구성되고, 그 속에 변수
자음이
배정되면 소정의 글자가 추출된다.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