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변적이고
류연한 음소 |
|
렉스
'ㅅ'
- Flex 'ㅅ' |
|
|
|
|
|
|
|
|
오랫만에 |
벗을 |
만나니 이렇게 맘이 푸근해지넹~ |
|
|
|
|
|
(
필자의 리론에 다른 견해가 있을 수도 있니다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렉스(Flex)란? |
|
|
'ㅌ'과
Hidden 'ㅅ'의 음가를 지닌 실질형태소와
조사의 결합관계에서
'ㅌ'
받침의 실질형태소에 강세가
있고, 뒤따르는 조사가
자음으로
시작될 경우 아무런 영향(fortis)이 없고, 뒤따르는
조사가 void
자음, 즉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 'ㅅ'음가가
발음되는 가변
받침음소
'ㅅ'이 렉스(Flex)이다. |
|
|
|
별칭) |
가변
받침음소
'ㅅ' |
|
|
|
<가변적이고
류연(柔軟)하다>란 의미에서 'Flex'라고 Hangle
대표 이기희는
칭한다. |
|
|
|
|
|
|
|
|
|
* |
렉스(Fex)는
실질형태소에 받침 'ㅅ(시읏)'
기호가 붙은 것이다. |
|
// |
사잇소리(Saitsori)는
''기호를
받침에
붙인다. |
|
// |
사잇소리(Saitsori)와
렉스(Fex)는
혼용되기도 한다. |
|
|
|
|
|
|
|
|
|
|
|
☞ |
Flex 't'의 전형(典型): <글자의
줄임 + 강세 단모음>
=> 차리어
-> 차려
-> 차렷 |
|
|
|
|
|
☞ |
|
|
|
뒤에도
강세가 주어지면 [놑붘].. |
|
|
[놑뿍].. |
|
* |
렉스(Fex)의
기본구성음은 'ㅌ'과 Hidden 'ㅅ'의
받침겹자음이다. |
* |
'ㅌ'
받침의 실질형태소 앞에 짧은 홑음절의
강세가 있다. -
홑단음 앞강세 |
|
('ㅌ'
받침의 실질형태소로 시작될 경우 짧은 홑음절에
강세가 있다.) |
|
|
|
|
|
|
|
|
|
|
|
|
<바람/희망/소망>의
가정법엔
'ㅅ' 받침을
덧대어 쓴다! -
한빛
이기희 |
이
때의 <받침 'ㅅ'>은 음소 추가 형식인 <Flex
'ㅅ'>의 범주에 속한다. |
|
|
|
|
|
|
|
|
merit:
가질(obtain) 만한 것, 좋은 점 => 장점(merits) |
|
|
메트
-> 메 |
|
|
메트
-> 메 |
|
|
|
|
|
메츠
->
메츠
|
|
|
|
|
중간
강세 || 평 강세 ->
Deflex |
|
강세
여부에 따라 Flex는 류동적이다. |
|
|
|
|
|
|
|
|
|
|
|
탐) |
이런
규칙도 타당한가? 아니면 사잇소리...? |
|
cf) |
뒤따르는
말이 자음으로 시작되면 그대로 읽고,
즉 fortis로 변하지 않고 |
|
|
ex) |
|
|
|
뒤따르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되면 뒷말 첫음은 연음되어
'ㅅ'으로 발음. |
|
|
ex) |
|
|
|
|
|
|
구분) |
=>
'ㅅ' 기호를 지닌
실질형태소와 조사의 결합관계를
Flex라 한다: 옷
+ 과/을/에...
- ots
|
|
|
=>
즉, '체언 + 후치사' 또는 '어간 + 어미'와 같은 결합관계에서 'ㅅ'
기호가 Flex임. |
|
|
|
|
|
Ω |
렉스(Flex)의
유래(Origin)에 대하여 |
|
|
|
|
|
Ω
어떻게 렉스(Flex)가
변화되었나? |
'Buddha'라는
단어를 통해 살펴본 Flex와
Sait
-> Buddha |
|
|
|
|
|
|
|
사소리(dd)'와
렉스(td)는
혼용된다! |
해+님
=> 해님 (?) / 햇님(?) |
해:sun
+ 님:honorific |
▶ |
[?님] |
[님]
|
해님 |
[haetnym] |
haennim |
|
[hae] + [nim] |
|
[haet
nim] |
|
'~님'은
접미사이므로 사소리
붙이지 않는다는 기존의 규정을 이제 한빛
이기희는
옹호하지 않는다. |
다시말해,
<대등 연결인 균형-> 앞강세의 '사소리(dd)'>와
<주*종의 앞강세인 렉스(td)
기호>가 혼용되기도 한다. -
©2018 한글(Hangle) |
☞ |
사잇소리가
붙지않는다고 Flex까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
©
한글(Hangle) |
즉, '해님'인지
'햇님'인지는 어감에 따라, 특히 엔글식으로 해보면 'haenim'처럼 'n'이 하나로 쓰이는가
아니면 'nn'처럼 쓰이는가에 따라 사소리,
아니 렉스(Flex)
부착 여부가 결정된다. |
이는
어감상의 문제이며, 접사의 관계에서 비롯된 앞 강세의 렉스(Flex)로
귀결된다. // 'haennim/haennym'을
엔글식으로 읽으면 '해님'이겠지만 앞강세이므로, 한글식은
'햇님(haetnym)'이
된다. |
|
엔글권에서
'y'는 왜 필요한가? |
|
위처럼
한글식으로 Flex의 'ㅅ[td]'가
들어가면 뒷부분은 'i'가 아니라 'y'가 개입된 'nym'처럼 된다. 이는 <'y'가
Flex에 호응하여 짓누르는 느낌의 음소>라고
한빛
이기희는
주장한다. |
또한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해'이지 '님'은 아니므로, 즉 '해' 부분을 강하게 읽어야 하므로 균형강세의 '사소리'가
아니라 'ㅌ'과 히든 'ㅅ'의 렉스(Flex)
원칙에 따라 '햇님'으로 한다. |
(만약
'님'이라는 부분이 사람을 나타내는 경우라면 '해님'으로 한다. 물론 엔글로도 'haenim'...
// haenym) |
('햇님이
방긋 웃는다'라는 말이 어떤 의미 - 때론 의인화 - 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LexTis가 류동적으로
쓰인다.) |
=>
LexTis /
AsTis |
|
|
|
|
|
'kiss' => 'ki'ts'
=> => 'kitss'
=> kiss
<= Flex & Lextis -
Song |
|
|
|
by
LeeKH |
|
|
|
|
|
☞ |
렉스(Flex)는
받침시읏(ㅅ)의'실질형태소(체언/어간)'와
형식형태소(조사(후치사/어미))의
활용에서 다룬다. |
|
|
//
그 자체로 받침시읏(ㅅ)을 지니고 있다. // 음운첨가는 없다. |
|
|
렉스(Flex)는
'ㅌ'
음가에 뒤따르는 음이 자음일 경우 fortis로 발음되지 않는다. |
|
|
렉스(Flex)는
'ㅌ'
음가와 뒤따르는
음이 void 자음, 즉 모음일 경우 'ㅅ'이 연음화되어 발음된다. |
|
|
|
cf) |
엔글에선
'ㅌ' 소멸되고 뒷음을 fortis로 표기하지만 발음은 앞강세 뒷단순자음
=> Go |
|
|
//
엔글 fortis의 경우 앞부분에 강세를 둠으로써 hidden 't'의
흔적을 대신한다. |
|
|
|
=> |
|
|
|
|
|
|
Hn |
En |
ex) |
옷
|
|
과:
gwa: |
and |
▶[옽과] |
otgwa |
oggwa |
|
ots |
|
|
|
|
|
En:
[오과] |
|
|
+ |
도:
do |
also,
too |
▶[옽도] |
otdo |
oddo |
|
|
|
|
|
|
|
En:
[오도] |
|
clothes |
|
을:
eul |
objective |
▶[옽슬] |
otseul |
osseul |
|
|
|
|
|
|
|
En:
[오슬] |
|
|
|
에:
e |
on/in |
▶[옽세] |
otse |
osse |
|
|
|
|
|
|
|
En:
[오세] |
|
|
-> |
실질형태소[옷]에
형식형태소[과/도/을/에]의 결합이므로 Flex |
|
|
// |
실질형태소[옷]에
강세 있으므로 'ts'로
표기 |
|
|
|
|
ex) |
goggle
/ gargle[gaːrg∂l]
/ pizza =>
Go |
|
|
|
|
☞ |
엔글에서
fortis 자음의 구성원리는 어떤 것인가? |
|
|
|
|
|
|
|
* 저
구름이 흘러가는
곳으로 - '바람아
불어라' by 박현 |
|
|
|
|
|
cf) |
받침소리로
Flex가 아닌 자음이면 음은
fortis화된다. |
|
* |
렉스(Flex):
ts/g/n/d/m/b... |
|
|
ex) |
* |
옷[ott]:clothes
+ 도[do](also) |
|
* |
일반
받침자음: |
|
|
ex) |
* |
[ott]:clothes
+ 도[do](also) |
|
|
|
|
cf) 옽또 [ot
ddo]
|
|
* |
사(Sait): |
tt/g/n/d/m/b... |
뒤따르는
음이 자음 |
|
|
dd
|
뒤따르는
음이 모음 |
|
|
|
ex) |
* |
[otd]:clothes
+ 장[jang](a wardrobe) |
|
|
|
|
=>
[장:otd
jang]
=> [옽짱:ot
jjang] |
|
|
|
|
|
|
|
|
|
=>
장(ot
jang) |
|
|
|
|
|
cf) |
사(Sait)소리는
받침없는
'실질형태소(체언/어간)'와
실질형태소(체언/어간)의
결합에서 |
|
앞
부분이 짧고 강세를 지닌
단모음임을 나타내는 ''
기호가
더해지는 것이다. |
|
ex) |
집:
|
차[cha]
+ 집[jib] |
▶ |
집 |
cha
jib > chat
jib // En: chajjib |
|
|
tea
+ house |
앞강세
단모음 |
//
음
fortis 회피 // 엔글: => Expl |
|
|
|
... |
|
|
|
|
|
|
|
Ω
사잇(Sait)과
렉스(Flex)의
차잇점 |
|
(
필자의 리론에 다른 견해가 있을 수도 있니다. ) |
|
|
|
|
|
|
|
Ω |
요약: |
|
☞ |
렉스(flex)는
실질형태소와 조사(particle: 후치사/어미)의
관계에서 다루는 받침시읏(ㅅ) |
|
|
ex) |
옷에:
|
옷:
clothes + 에: in/on |
▶ |
옫데
(×) |
Sait
(×)
|
|
|
|
|
|
▶ |
[옽세] |
Flex |
|
|
|
|
|
|
[osse] |
|
|
|
|
|
|
-> |
실질형태소[옷]
+ 형식형태소[에] => Flex |
|
|
|
cf) |
실질형태소와
실질형태소의 결합에선 Hidden
'ㅅ'의 사(Sait)이
있기도 하다
=> 사(Sait) |
|
|
(
원래 받침이 있는 곳엔 사(Sait)이
들어가지 않지만... ) |
▶ |
Sait에
뒤따르는 음이 모음이면 dd/g/n/d/m/b... |
|
ex) |
* |
옷[otd]:clothes
+ 안[an](inner side:
noun) |
|
|
|
//
뒤따르는 음이 모음이므로
'odd' |
|
|
=> |
옷안[odd
an] => 옫단[od
dan] |
|
|
|
//
Flex에도
Hidden 사(Sait)이
있다. |
|
|
|
=> 안[ご?oddan]
// [옫산[ossan](×) |
|
|
|
=>
En - [오단] |
|
|
|
|
▶ |
Sait에
뒤따르는 음이 자음이면 td/g/n/d/m/b... |
|
* |
옷[otd]:clothes
+ 장[jang](a wardrobe) |
|
|
=>
[장:otd
jang]
=> [옽짱:ot
jjang] |
|
|
|
|
|
=>
장(ot
jang) |
|
|
|
|
|
|
|
|
|
|
☞ |
렉스(flex)는
실질형태소와 파생어(derivative: 접사)와의 관계에서 다루는 받침시읏(ㅅ) |
|
|
ex) |
웃음:
|
웃:smile +
음:nominalize |
▶ |
L듬]
(×) |
Sait
(×)
|
|
|
|
|
[uts]
+ [eum] |
▶ |
[웉슴:ut
seum] |
Flex |
|
|
|
|
|
-> |
실질형태소[웃]
+ 파생어[음] => Flex |
|
|
|
|
cf) |
사(Sait)소리는
실질형태소와 실질형태소의 결합관계에서 ''기호가
더해지는 것이다. |
|
|
ex) |
집:
|
차[cha]
+ 집[jib] |
▶ |
집 |
cha
jib > chat jib //
En: chajjib |
|
|
|
|
tea
+ house |
앞강세 단모음 |
//
음
fortis 회피 // 엔글: => Expl |
|
|
|
|
|
|
|
|
|
|
|
|
|
|
렉스(Flex)와
사(Sait)
소리는 일맥상통한 면이 있지만 받침시읏(ㅅ)인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의 활용인 Flex와
받침없는 실질형태소와 다른 말과의 결합인 사(Sait)소리와는
표기와 발음에서 구분된다. |
|
엔글 'dilemma'라는 단어를 Flex, 즉 강세와 fortis 측면에서
파악해보자.
©2018 한글(Hangle) |
|
먼저 엔글
'dilemma'를 한글식으로
표기해보면 '딜렛마'처럼 Flex가 붙은 '렛'으로
표기된다. |
|
// |
단모음에
강세는 앞부분인 Flex에 있고, 음을
fortis로 읽지않는 것이 Flex이다. |
|
// |
반대로
한글 '딜렛마'를 한글식 엔글로
접근하면 'diletma'가 되고, 엔글식 엔글로 접근하면
받침 't'가 hidden으로 되면서 강세를 지니고, 뒤부분을 fortis,
즉 '~mm~'으로 표기되고 음가는 단순 자음으로 발음된다 => 'dilemma' |
|
// |
그런데
만약 '딜레마'처럼 '딜'에
강세가 오면 엔글로 'dillema'처럼 받침이
'~ll~' 형태로, 강세가 있는 곳을 fortis 형태로 표기하고 뒷음을
단순자음으로 발음한다. |
|
|
위처럼
엔글에서 강세에 따라 fortis 자음이 구분된다. 즉, '딜레머'처럼
되므로 'dilemma'... |
|
한빛
이기희(李祁熙) 엔글
세상 - 에듀인 |
|
|
엔글 단어에서 fortis 형태의 자음 바로 앞 모음에 강세가 있는 이유가
바로 한글 Flex 원리와 일맥상통! ( 이
얼마나 빼어난 음소인가!!! ) |
|
|
|
|
|
|
|
* |
<놓친거(miss[미스])나
잘못짚은거(mistake[미스테l크])>에서
짚어보는 En/Hn 어법: |
|
|
|
* |
miss:
놓치다, 그리워하다, ~양/아가씨/아씨 |
|
|
밑ㅅ
+ 으
-> 밑
스 ->
미 쓰 ->
미스 -
kiss/?스 |
|
|
mits
+ eu ->
mit s ->
mi ss ->
miss[mis] |
|
|
|
{ 앞음:
(단음 + 강세) }
+ { 뒷음: (표기: fortis,
발음: 단순자음) } |
* |
mistake:
잘못잡다 -> 실수하다 |
|
|
미스
테이크 -> 미스테l크 |
|
|
mis
take |
|
|
|
{ 앞음:
단음 } + { 뒷음:
강세 (|| 장음) } |
|
|
☞ |
뒷음에 강세가 있으므로 'misstake'가
아니다. |
|
|
|
|
|
|
|
|
☞ |
Flex
개념은 활용을 전제로 한다. |
|
* |
|
|
* |
|
|
|
<-
|
기본
단어일 땐 [캩]으로 해도 되겠지만 한글에서
단어는 기본적으로 후치사
/어미의 활용을 전제로
하기에 앞 강세와 뒤따르는 음이 fortis로 되지않도록 엔글 단어의 받침 't'는
한글에서 Flex로 간주되어 받침
'ㅅ'으로 표기한다.
즉 '캣' 뒤에 and의 뜻을 지닌 후치사 '과'가
오면 '[캣]과'로
표기하는데, 이 때 '후치사 '과'를 fortis인 '꽈'로
읽지않기 위해 받침 'ㅌ'을 Flex인 받침 'ㅅ'으로 표기, 즉 '[캣]으로
표기하고 앞 부분을 강하게 읽는다. -
©2018 한글(Hangle) |
|
|
|
|
만약
'캣 뒤에 모음, 예를 들어 주격조사 '이'가
붙어 [캣이] 처럼 표기하면 앞강세에 'ㅅ'이 뒤로 넘어가 '?시
-> 캐시'처럼 발음:
[kaesi] // En - cassi |
|
|
|
|
만약
'?'으로 표기하다면 [캣이]
처럼 뒷음이 void 자음이면 받침 'ㅌ'이 뒤로 넘어가 '캐티'처럼 되고, 엔글로는 'catti'처럼... |
|
|
->
|
향후
엔글권에서도
HanEdu에서
제시하는 이런 Flex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
|
|
|
(3글자일
경우 앞글자는 상황에 따라 다지고
- 앞강세면 받침 'ㄷ', 뒷강세면 받침 탈락 - 중간글자는 활용에 따른 Flex 규칙, 즉 받침 'ㅅ'이 붙는다. )
|
|
|
|
ex)
|
Let
it be =>
[ 렡잍비 ] => [
비 ] |
<-
fortis 배제(렛잇삐): |
|
ex1) |
Beatles의
유명한 노래인 <Let
It Be>를 한글로
표기하면 [렡잍비]처럼 되지만 '잇'의 첫음이 void 자음인 'ㅇ'일 경우 앞부분 받침은 LexTis
'd/t'의 'ㄷ'발음
- Sait 류형 - 으로 하고 '잇'의 받침은 뒷음의 fortis 회피를 위하여 Sait/Flex
류형이 된다. 또한 'Let It Be'의 경우 앞말이 강해지면 [렏잇비]처럼 첫말에 받침 'ㄷ'이
붙고 중간엔 가변적 flex가 붙은 '잇'으로 된다. (물론 이 때는 중간 글자인 '잇'에 강세가 있다.) 만약
끝음에 강세가 오면 [레딛삐]처럼 중간 글자 받침에 'ㄷ'이 붙고 끝음은 fortis로 발음된다.(표기와
발음은 상황에 따라 다르어진다.) 물론 Sait 류형에 따른 중간 글자 '딧'의 'ㄷ'이 강세의
전환에 따라 류음화되어
'乙'로
변하여
앞강세의 '레비'처럼
할 수도 있다.
-
©2018 한글(Hangle) |
ex2) |
영화
<겨울왕국>에서 유명한
노래인 'Let
It Go'를
한글로
표기하면 [렡잍]처럼
되지만 '잇'의 첫음이 void 자음인 'ㅇ'일 경우 앞부분 받침은 LexTis
'd/t'의 'ㄷ'발음 - Sait 류형 - 으로
되고 '잇'의 받침은 뒷음의 fortis 회피를 위하여 가변적 형태의 즉, flex 류형의 'ㅅ'이 붙은 [렛잇고]처럼
<받침 시읏>을 쓴다. 다만 본 노래 'Let It Go'의 경우 끝부분 'Go'가 강해지므로 [렛딛고]처럼
첫말은 가변적인 flex에 따라 받침이 붙었다가 떨어져나가고, 또한 [레딧고]처럼 중간글자에 flex 류형이 되었다가
결국엔 사잇소리 류형의 받침 'ㄷ'이 붙고, 끝말인 '고'에 강세가 오는, 즉 '레딛꼬'처럼
읽는다. 아울러 여기서 앞강세로의 전환에 따라 중간 글자 '딧'의
'ㄷ'이 류음화되어 '乙'로
변할 수도 있다.-
©2018 한글(Hangle) |
|
☞ |
한글에서
어떻게 해서 <'ㄷ' 다음에 'ㄹ/乙'이
나오는지> 한빛
이기희가
윗글을 작성하다 쾌재를
외치며 간파해냈다(2022/12/15). -
©
한글(Hangle) |
|
|
|
|
|
|
기음화(Aspirated
Sound)와 Flex & Sait |
기음화(aspirated
sound) => Go
|
|
|
|
렉스(Flex)는
이렇게까지 유용하다! |
|
|
|
|
|
|
|
어느
것이 옳은가? |
|
|
순대국 |
|
|
순댓국 |
|
|
|
배멀미 |
|
|
뱃멀미 |
|
|
|
차멀미 |
|
|
찻멀미 |
|
|
|
전세집 |
|
|
전셋집 |
|
|
|
전세방 |
|
|
전셋방 |
|
|
|
수소 |
|
|
숫소 |
|
|
sheep;
ram(숫것wether(불깐것) ), ewe(암것), lamb(새끼) |
수양 |
|
|
숫양 |
|
|
|
|
|
렉스(Flex)에
대한 모든 것 =>
G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ottom)
Fortis(된소리) /
(Bottom)
Flex(렉스) |
|
(받침)자음과
련계된 Fortis(된소리) |
-> Bottom Fortis의
꽃 |
Fortis
with Bottom Consonants |
Flex out of
Fortis |
|
|
|
|
엔글 'kitsch'를 한글로
표기하면... 킽치/킷치 |
|
|
엔글에서
Fortis(bb, cc, dd, ff...) 자음은
어떻게 생겨났나? |
How
English
got to have Fortis(bb,
cc, dd, ff...)? |
|
|
어떻게
ttis(bottom t +
fortis)가 도입되었나? => tTis |
어떻게
'LexTis(flex/fortis)'가
도입되었는가? => LexTis |
|
|
|
|
|
받침'ㅅ'과
받침 'ㅆ'의 쓰임도 구분할 필요가 있다!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