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받침자음 |
기음화
/ Aspirated Sound |
|
|
|
|
|
|
|
|
|
|
|
기음화(Aspirated Sound) |
|
|
|
☞ |
기음화(aspirated)란?:
'호흡/순환하다'라는 뜻의 spira에서 알 수 있듯 |
|
|
stomach
소리(ㄱ, ㄷ, ㅂ, ㅈ)가
'ㅎ(h)'과 합성되어
lung 소리(ㅋ, ㅌ, ㅍ, ㅊ)로
바뀌는 것 |
|
|
|
정리) |
부드러운
유성의 뱃소리(ㄱ, ㄷ, ㅂ, ㅈ)가 |
|
|
|
거센
소리의 매개체인 'ㅎ(h)'과 합성되어 |
|
|
|
거(rough)
폣소리(ㅋ, ㅌ, ㅍ, ㅊ)로 바뀌는 것 |
|
|
|
|
|
요약 |
ㄱ
+ ㅎ |
-> |
ㅋ |
|
|
|
ㄷ
+ ㅎ |
-> |
ㅌ |
|
|
|
ㅂ
+ ㅎ |
-> |
ㅍ |
|
|
|
ㅈ
+ ㅎ |
-> |
ㅊ |
|
|
|
|
|
|
|
|
|
|
|
|
|
|
요약) |
'ㅎ'
뒤에 자음
'ㄱ/ㄷ/ㅂ/ㅈ'이
오거나,
자음 'ㄱ/ㄷ/ㅂ/ㅈ'
뒤에
'ㅎ'이 오면 |
|
|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인
'ㅋ/ㅌ/ㅍ/ㅊ'로 발음된다. =>
Aspirate화 |
|
|
|
|
|
|
|
|
|
|
|
|
기음화(aspirated)
둘러보기 |
|
|
★ |
Fortis,
사소리,
Aspirated(기음화)
Sound &
Semi-sait |
|
* |
좋[joh]
+ 다[da]: good/fine/nice
|
|
1) |
fortis화 |
좋 + 다 =>
|
Hn |
|
|
|
joh
+ da => jot+h
+ da => jot+ h+da
=> jot dda |
|
|
|
//
한글식에선 'jotdda'
/ '援?로 발음 // 균형 강세 |
|
|
|
|
//
엔글식에선 'jodda'
/ '조다'로 발음 // 앞 강세 |
|
|
|
|
|
|
|
|
//
복합어에 hidden 't'가 가미되면 사소리 |
|
|
2) |
사소리 |
좋
+ 다 => 韻?+ 다 =>
좃다 |
|
|
|
|
joh
+ da => jot+h
+ da => jot+ h+da
=> jot da |
|
|
|
//
한글 사소리는
뒷자음을 fortis로 하지않는다. |
|
|
|
|
|
|
|
|
|
|
|
3) |
기음화 |
좋
+ 다 => 좉ㅎ +
다 =>
좉 + ㅎ다
=>
좉 + 타
=> 조타 |
|
|
|
|
joh
+ da =>
jot+h
+ da =>
jot+
h+da
=> jot
ta =>
jotta
|
|
|
|
//
한글에선 'jotta'을
'좉타' 로 발음 // 앞
강세 < 균형강세 |
Hn |
|
|
|
=>
'조타'로 발음
// 앞 강세
> 균형강세 |
|
|
|
|
//
엔글에선 'jotta'을
'조타'로 발음 //
앞 강세 |
En |
|
|
|
//
연음에서도
... => '축하 -> 추카' |
|
|
|
|
|
|
|
|
|
//
그렇게 해서 '좋아'가 '조아'로 |
|
|
|
|
|
|
|
|
|
|
|
|
|
|
|
4) |
Semi-sait |
좋
+ 다 => 졷ㅎ +
다 =>
졷 + ㅎ다
=>
졷 + 따
=> 졷다 |
|
|
|
|
joh
+ da =>
jod+h
+ da =>
jod+
h+da
=> jod
dda
=> jodda |
|
|
|
//
한글에선 'joddda'로
표기 / '졷따'로 발음 //
균형강세 |
|
|
|
|
//
엔글에선 'jodda'로
표기 / '조다'로
발음 // 앞 강세 |
En |
|
|
|
|
|
|
=>
한글을 알면 엔글이 보이고, 엔글을 알면 한글이 보인다! =>
Go
|
|
|
|
|
|
|
|
# |
기음화
예제 |
|
* |
좋
+ 다 => 조타, 많다 => 만타,
잡히다 => 자피다, 좁히다
=> 조피다, |
|
|
|
닫히다
=> 다티다(다치다(x:구개음화
불인정)), |
|
|
|
옳다
=> 올타, 못하다 => 모타다,
꽂히다 => 꼬치다,
앉히다 => 안치다 |
|
|
|
숱하다
=> 수타다, 정직하다 => 정지카다,
|
|
|
|
밟히다
=> 피다발피다,
P히다 => 키다발키다,
히다 => 피다널피다,
|
|
* |
좋
+ 고 => 조코, 놓고 => 노코,
많고 => 만코, 망?=> 사치, 좋던 => 조턴,
않던 => 안턴 |
|
|
|
닳지
= > 달치, |
|
* |
낙하산
=> 나카산, 법학 => 버팍,
맏형 => 마?, 국화
=> 구콰, 각하 => 가카, |
|
|
|
...... |
|
* |
옷
한 벌 => 오탄벌, 낮 한때 => 나탄때, 꽃 한 송이
=> 꼬탄송이, 온갖
힘 => 온가팀 |
|
|
|
밥
한 사발 => 바판사발, 몇 할 => 며탈, 뭇형벌 =>
무?벌, 국 한 대접 => 구칸대접 |
|
|
|
|
|
|
|
ex) |
못 +
해 |
=>
못태 |
=>
모태 |
|
|
moth
+ hae
|
=>
mot
tae |
=>
motae |
|
|
|
|
|
|
|
|
|
|
|
|
★ |
Fortis,
사소리와
Aspirated Sound의 조합 |
|
* |
휘(whistling)
+ 바람(wind) |
|
1) |
fortis화 |
휘
+ 바람 => 휘ㅌ
+
바람 =>
휘빠람 |
Hn |
|
|
|
hui
+ baram
=> hui+t
+ baram =>
hui + t+baram
=> huibbaram |
|
|
|
//
엔글에선 'huibbaram'을
'휘바람'으로 발음 // 앞 강세 |
En |
|
|
|
|
|
|
|
//
복합어에 hidden 't'가 가미되면 사소리 |
|
|
2) |
사소리 |
휘
+ 바람 => 휘ㅌ
+
바람 =>
휫바람 |
|
|
|
|
hui
+ baram
=> hui+t
+ baram =>
huitbaram |
|
|
|
//
한글 사소리는
뒷자음을 fortis로 하지않는다. |
Hn |
|
|
|
|
|
|
|
|
|
|
3) |
기음화 |
휘
+ 바람 => 휘ㅎ
+
바람 =>
휘 +
ㅎ+바람
=> 휘파람 |
|
|
|
|
휘
+ 바람 =>
?
+ 바람 |
|
|
|
|
hui
+ baram
=> hui+h
+ baram =>
hui + h+baram
=> huiparam |
|
|
|
|
|
|
|
|
|
|
|
|
[사소리]에서
[기음화(Aspirated Sound)]로의 전환 |
|
|
|
|
|
|
|
|
|
|
// |
멀쩡하던
단어가...? => 데다(get burned/scalded) |
|
|
|
|
|
|
|
|
|
|
|
|
|
|
|
아래
내용은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내용으로, 기존의 리론과 많이 다르기도 하니다. 필자도 이 부분에 참 많이 연구하고 강구하여 도출해낸
내용으로...
©
한글(Hangle) |
|
|
|
|
|
♠ |
내파화는
기음화의 련장선상으로, 기음화를 먼저 파악해얀다. |
|
|
|
기음화란
받침 ㄱ/ㄷ/ㅂ/ㅈ 음소가 ㅎ 음소와 련계되어 ㅋ/ㅌ/ㅍ/ㅊ 음소로... ->
기음화 |
|
|
▣ |
내파화(內破化:Inner-Aspirated)란?
|
|
|
-> |
<내파화>란
강세 받침 ㄱ/ㄷ/ㅂ/ㅈ 음소가 void 음소인 'ㅇ'을 제외한
다른 자음과 련계되면 ㅋ/ㅌ/ㅍ/ㅊ와 같은 기음화 류형의 음소로 발음되는 경향을 일컫는다. |
|
|
|
♠ |
받침
ㄷ이 ㅌ으로 변하는 류형은 flex화... ->
flex |
|
|
|
|
|
☞ |
'바'의
'ㅂ'과 ' 집(house) '의 'ㅂ'은 양입술 소리로 표기는 같지만 발음은 조금 다르다; |
|
|
|
|
'
집 '의 받침 'ㅂ'은 '집' 그 자체나 뒷음이 모음일 경우 파열되지 않고 '받침 'ㅂ'으로 발음되지만 뒷음이 자음일 경우 파열되어
Aspirated Sound의 일종인, 즉 [짚]처럼, Hidden
'ㅎ'과 'ㅂ'이 합쳐져 안에서 울리는 허파소리
'ㅍ'에 가까운 소리로 변하는 것으로, 만약
받침 'ㅂ' 뒤에 'ㅎ'이 오면 'ㅍ'로 발음된다. // 다만 이런 류의 변화형이 읽기에까지
미치는 어법으로 전환되어선 안된다. |
|
|
|
|
|
ex) |
집에[zib
e] -> 지베[zi be] |
|
ex) |
집과(zib
gwa) => 짚꽈(zip
ggwa) |
|
|
|
|
|
|
* |
'cubs'에
대한 표기법: |
|
|
|
내파화에 대한 좋은 예로, 'cup'의 경우엔 '컾'으로 'p'에 맞게 받침 'ㅍ'을 적는다. 그리고 '애송이'의
뜻을 지닌 'cub'의 경우 '컵'처럼 표기되고 발음은 '커ㅂ'처럼 받침 'ㅂ'을 길고
약하게 발음한다. 그런데 'cubs'처럼 뒤에 자음이 올 경우 표기는 '컵스'처럼 받침 'ㅂ'이 붙지만 발음은 Aspirated
Sound의 일종인 내파화로 인해 [컾스]처럼 받침 'ㅍ'으로 된다. //
이것은 한글과 엔글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
|
|
|
=> |
'lobster[랍스터ㄹ]'
둘러보기 |
|
|
|
|
|
|
|
|
|
☞ |
체언의
끝 말이 '집'과 같이 강세있는 단모음 밑의 'ㅂ'은
Quasi-sait의 일종으로, |
|
|
뒤따르는 음이 자음일 경우 받침
'ㅂ'은 Aspirate되어 'ㅍ' 소리로, 뒤따르는
음은 fortis화 |
|
|
ex) |
집도(zib
do) => 짚또(zip
ddo) |
|
|
|
* |
그는
돈과 집도 없다. => He has no money and even
a house. |
|
|
|
|
|
|
|
cf) |
체언의
끝 말이 '집'이고 뒤따르는 음이 모음일
경우 내파화는 없고, 연음법칙에 따라 |
|
|
|
뒤따르는 모음에 'ㅂ'이 넘어가 발음된다 |
|
|
|
* |
집에(zib
e) => 지베(zi be) //
at home |
|
|
cf) |
뒤에
'h'가 부각되면 => 집하(jib
ha) => 집 ㅂ하(jib
bha)
=>
지파(ji
pa) |
|
|
=>
지ㅍ파(ji ppa) |
|
|
|
|
|
☞ |
그런데
내파화된 체언 뒤에 뒤따르는 말이 있을 경우, 내파화된 받침 'ㅍ' 다음의 글자는 fortis로
발음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어법의 영역은 아니다. |
|
ex) |
집도(執刀:
zib do -> [zip ddo]):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on |
|
ex) |
집도로(執刀:
zib do ro -> [zip do
ro]):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on |
|
|
* |
그
수술은 김 박사의 집도로
행해졌다. // zibdoro[zipdoro] |
|
|
= |
The operation
was performed by Dr. Kim. |
|
|
|
|
|
내파화와
구분되게 받침 'ㅍ'도 표기 |
group:
그룹 -> 그뤂 |
|
|
|
☞ |
받침
'ㄱ/ㅋ'도 같은 맥락으로 접근하면 Aspirated Sound에 대해 유추할 수도 있다. |
|
|
*
|
|
|
뒤따르는
음이 |
모음이면
-> 받침 'ㄱ' |
|
뒤따르는
음이 |
자음이면
-> 받침 'ㅋ' |
|
=> |
-> 엔글 'c'와 같은 'ㄲ' |
|
|
☞ |
받침
'ㄷ/ㅌ'도 같은 맥락으로 접근하면 Aspirated Sound에 대해 유추할 수도 있다. |
|
|
*
|
|
|
뒤따르는
음이 |
fortis
'ㄸ'이면 -> 받침 'ㄷ' |
|
뒤따르는
음이 |
치음
'츠'이면 -> 받침 'ㅌ'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파화'에 대한 해소도 중요하다!
- |
'ㅎ'은
<Flex>와 <fortis>의 자질을 지닌 <semi-깊음>이다.
=> 'ㅎ'
설명보기 |
|
|
☞ |
극단에
이르면 부드러워진다(소멸된다): k/ha
=> ~ |
|
* |
그러하다 |
|
|
-> 그렇다 |
a -
beV so |
|
[geu reo
ha da] |
|
|
->
[geu reoh da] |
|
* |
그러하게
하다 |
-> 그렇게
하다 |
-> 그하다 |
-> 그러다 |
v -
do so |
|
[geu/reo/ha/ge/ha/da] |
[geu/reoh/ge/ha/da] |
[geu/reok/ha/da] |
->
[geu/reo/da] |
|
|
|
[geu
reo ke
ha da] |
|
|
|
|
|
|
|
|
'ㅎ'은
<Flex>와 <fortis>의 자질을 지닌 <semi-깊음>이다.
=> 'ㅎ'
설명보기 |
|
|
|
|
*
그러하지 아니하아도 [geu/reo/ha/zi
a/ni/ha/a/do] |
|
=> |
그렇지 않아도 |
|
=> 그러찮아도
|
=>
( 그러차나도 ) |
|
|
[geu/reoh/zi
anh/a/do] |
[geu/reo/chi
anh/a/do] |
[geu/reo
chanh/a/do] |
[geu/reo/cha/
na/do] |
|
|
ex) |
그러찮아도
왜 안오는가 했는데... |
As
a matter of fact, I 've been wondering why you are not here. |
|
|
|
|
|
|
|
☞ |
극단에
이르면 소멸되고(k/ha),
거친(ㅈ[z])
발음은 부드러운 발음(ㅈ[j])으로... |
|
*
그러하게 하지 아니하아도 |
|
*
그렇게 하지 아니하아도 [geu/reoh/ge ha/zi a/ni/ha/a/do] |
|
*
그렇게 하지 않아도 [geu/reoh/ge
ha/zi ahn/a/do] //
k ha
z ->
j -
극단에 이은 부드러움 |
|
|
그하지 않아도 |
그러지 않아도 |
=> 그러잖아도(soft)
|
=> (
그러자나도 ) |
|
|
[geu/reok
ha/zi
anh/a/do] |
[geu/reo/ji
anh/a/do] |
[geu/reo/janh/a/do] |
[geu/reo/ja/na/do] |
|
|
ex) |
그러잖아도
되는대요. |
It's
not necessary for you do do so.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