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옛 신의
수도였던
(경주)과
울산의 중간 지점인 치술령을 정점 - 그 너머엔 '기왓집만디(꼭대기)'가
있지만 - 으로 호미기맥 줄기를 따라 동북 방면 - 반대 방향으로 가면
망부석이
나온다 - 으로 타고내려온 한 지류에 위치한 조그마한
싀골마을(시골마을)에서
태어났다. 그곳은 경상남*북의 경계지점에 자리한 것으로, 높은 지대에서 흘러내려온 깨끗한 돌자갈과 모래들로 해서 지명 또한 깊게
패인(凹) 물길이
있는 골짜기 마을, 즉 </home[houm]통
싀내 마을>이라는 뜻의 '명계리'이고, 한자로는
椧溪里[ming_xi_li/멍싀리]이다.
//
여러분들에겐 조금 생소하게 듣릴지도 모를 단어 하나를 한빛
이기희가
소개하겠다.
필자는
어려서부터 위 사진 맨 뒤에 있는 산 정상부가 '기왓집만디'라고 불리는 것을 듣어왔다.
또 <산의 꼭대기 부분>을
'산만디'라고 하고...
사전엔 '만디'를 사투리라고 했던데, 이 좋은
말을 왜 사투리라며 배제하는지...
# 필자는
'만디'와 '꼭대기'는 조금 다르다고 주장한다;
먼저,
'만디'는 상단부 윗부분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로서, '디'가 길고 강하게 발음되어
<mhandee[mandi:]>처럼
표기/발음한다.
//
엄밀하겐 '만'의 'ㅁ'에 'ㅎ'가 붙은 겹자음 형태: 마하 -> ㅁ하 ->
//
'마하'란 <소리의 속도>를 기본으로 나타내는 말로, <아주 빠르다>는 의미 <-
mach
ㅁ할
= horse
말 = 나발/나팔 = speak ->
말[mal]
//
석굴암에도 <ㅁ하 보띠>란... -> 아발로키테 스파라
<- 관세음 보살->
소리 = mach
<ㅁ하 보띠>에 대해 필자가 뭔가
잘못 알고있거나 아니면 다른이들이 뭔가 놓치고 있거나...
혹여 이 부분에 대해 잘 아ㄹ는 이가 이 글을
보신다면 고견이나 질타를...
// 삼국시대 '마한'이란
말도 같은 맥락
'ㄴ'은 <느다/늘다/퍼지다/만연하다
|| 느리다... -> 'ㄴ'
// '디'도 장음의 '디l'처럼
'l'를 추가하여 표기...
그리고
'꼭대기'는 정점의 의미가 강한 측면이 있어서 '만디'와 조금 다르다.
또,
몇몇 사전엔 '산만디'를 '산마루'와 같은 것으로 했던데, 한빛
이기희는
'산만디'와 '산마루'는 확연히 다르다고 주장한다; 위 사진에서 보듯 '산만디'는 특정 산의 가장 높은 부분을 일컫는 말이고,
'산마루'는 '산만디'에서 뻗어져나온 중간치 영역의 산등성이를 일컫는 말이다. 다시말해, 집의 지붕 부분이 '만디'의 영역이고,
지붕 아래와 신방돌이 있는 축담/축대 윗부분에 위치한 것이 '마루'인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 명계3리(굴성)
상세보기
-> 명계리(明溪里)
/ 소갯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