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정방형>과
<韓>이라는
글자에 뭔가 아리송한 느낌이 들어 한동안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자니
건듯 스치는 '한'과
'첨성대'의 matching! |
| |
순간적으로
훅 치고들어온 그 엥김을
놓치지않으려... |
|
|
| |
|
| |
| |
첨성대는 먼저 <각>을 나타내는 'angle'에서
시작되고, 정방형의 기단/대에 장방형의 돌을 원형으로 어긋매끼게(?) 층층이 쌓다가 간층에
정방형의 창을 내고 2층을 쌓은 뒤 내부 정방형이 외부로 살짝 드러나고, 또 그렇게 반복했다가 맨 위에 정방형을 하늘
방향으로... 가늠컨대, <'한(韓)'의 전형(Paragon)>을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아래 그림과 같은 맥락으로 구현해내었으리라. ->
내용보기 |
|
|
|
|
|
↗↑↖ |
각(angle)
-> 4각(네) -> 원*완:
호리병 / 도자기 / 첨성대 |
| |
|
|
|
|
|
| <한(韓)의
전형> |
| 첨성대(Cheomseongdae) |
| <The
Paragon of 'Han'> |
|
|
| |
| |
첨성대(瞻星臺)는 <'한(韓)'의
정형(ㅁ/모/네모/nemo/net)>을
구현하기위해 신 시대
선덕여왕 때에  에
세워진 것으로, |
| |
| |
瞻[zhan]: |
| |
|
보다
우러러보다 굽어보다 |
| |
星[xing]:
|
| |
|
 |
| |
|
|
->
점
<- 만물의
구성 원리 |
| |
臺[tai]: |
| |
|
높고
평평한 곳 |
|
| |
| |
<'한(韓)'의
정형(ㅁ)>에
대한 현시는 크게 2가지로
구현된다; |
| |
1) |
<위에서
굽어보는 조감도> 형식은 한빛 이기희가 제시한 아래
그림과 같다: |
| |
|
|
| |
|
|
위
그림처럼 첨성대를 위에서 굽어보면 먼저,
<각>을 나타내는 'angle'에서
<가로*세로의 길이가 같은 네모>,
즉 <정방형>의
Square, 이 <네모 형태>의
단/대/판을
기반으로 하는 첨성대는 상단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는 구멍(hole) 공간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Whole의
범주에서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인 원(完/ㅇ)을
이루고, 장방형의
ㅁ/모/네모>들이
<With Boxes in the
Box>의 형태로 짜여져(weave)
韓,
엔글 'one'의 의미인 '한'과
결부된다. |
그리고
'하나(동그라미/원/One)'의 뜻을 지닌
'한'은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을
나타내는 '한국'의 '韓'이 된다. -
by 한빛
이기희
|
|
| |
|
|
|
| |
| |
2) |
하단*측방에서
우러러보는 형식은 <뾰족하다/거칠다/끝>의 뜻을
지닌 <첨(尖[jian])>의 형식으로 아래 그림과
같다: |
| |
|
|
 |
| |
|
위
그림처럼 정면으로 현시되는 첨성대의 경우,
먼저
<각>을
나타내는 'angle'
자질의 정방형의 기단/대에 장방형의 돌을 원형으로
어긋매끼게(?) 층층이 쌓다가 간층에
정방형의 창을 내고 2층을 쌓은 뒤 내부 정방형을
외부로 살짝 드러내고, 또 그렇게 반복했다가
맨 위에 정방형 네모를 하늘 방향으로 해서
<'한(韓)'의
전형>을 구현해냈다. |
여기서
<한의 전형>이란 한빛 이기희가
주창한 <글자를 통한 세계관>의
주요 맥락인 <한글넷판>이다. |
다시말해,
angle 자질인 가로*세로 4각형, 그 'ㅁ'들이
질서정연하게 배열된
첨성대의 <넷>과
<tr>,
<td> 태그의 4각형
table 속에 자질의 가감으로
8억
이상의 글자
체계를 갖춘 한글
시스템 모두 <네모 자질>의 <'한(韓)'>과
결부된다. - 네모의 함축미 |
|
|
|
| |
|
| // |
뜬금없이
첨성대와 '한'을 결부시켜 의아해할지도 모르겠다.
그것도 ㅁ/모/네모/nemo/net 까지... |
| // |
필자도
'한'과
'첨성대'의 matching에 잠시
의아해하다 어느 순간 '아~, 그렇구나!'
그렇게 쾌재를 외치며 문서를 작성해본다.
|
|
|
|
|
| |
| |
한빛
이기희 첨언 |
| |
* |
첨성대는 <한의
정형>을 구현하기위한 방편으로 세워진 것이지, 별을 관찰하려거나
정적들을 감시하기위한 용도는 아니다. |
| |
* |
호리병 모양의 류연한
곡선은 각진 4각형에서
원(동그라미/빙)으로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에 대한 과정을 나타낸다. |
| |
|
|
야나기
무네요시의 "예술에
대한 선"은 첨성대나 도자기와
같은 <한의
정형>을 간파하지 못하고 니인자의 숙명인 헨[hen]을
부각시킨 것이다. |
|
|
|
↘↓↙ |
|
| |
첨성대는
< 과
조화로운 어울림>을 위하여 <네모로
시작해서 원(ㅇ)을
구현>한 고안물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각도를 나타내는 angle에서 가로*세로의 네모가
생겨나고, 음*양의 조화인 오목*볼록에 잉태된 조화로움의 원(동그라미/完/one),
그리고 심으로 철하는 점,
그게 바로 한(韓)이다. ->
한하다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
 |
Exam
/ Test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