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
☞ |
모음(Vowel): 목구멍
안에서 숨이 닿지않고 나는 소리,
즉 소리
<-
hole sound |
|
|
|
|
|
|
|
☞
|
한글은
본디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 그리고 자음>으로 구성된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 글자>를 일컫는다. |
|
|
|
韓
<-
The Letter With
Boxes in
a Box |
|
☞
|
그런
견지에서 엔글의 니중모음(Double Vowel), 즉 한글의 겹모음도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 글자> 범주에서 다룬다. |
|
|
|
*
|
|
|
|
|
1) 겹모음(dual vowel) |
|
|
|
2) 이겹모음(duple vowel) |
|
|
|
3) 띠겹모음(bar
dual vowel) |
|
|
|
|
겹모음(The
Dual Vowel)이란? |
|
→ |
순차적으로
발음되는 2개의 소리(diphthong)가
하나의 모음(single
vowel) 형태로 구성된 것이 겹모음(a dual vowel)이다.
- Hangle |
|
|
=
2개의 음가를 지닌 하나의 모음 = 엮은 모음
=
a single
vowel with diphthong
=> 복성단모음 |
|
|
|
|
|
→
<주름(ple)
모음 = Simple Vowel> + <엮음(gle)
모음 = Single
Vowel> |
=> Dual
Vowel |
→
<주름(ple)
모음 = Simple
Vowel> + <엮음(gle)
모음 = Single Vowel> |
=>
Duple Vowel |
|
- 한빛
이기희 |
'Single'
& 'Simple'
are distinguished like that! |
- Hanbit
LeeKH |
|
|
|
|
|
|
* |
어에선
단성(monophthong) 단모음, |
|
|
|
* |
한글에선
겹성(diphthong) 단모음 |
|
|
|
* |
엔글에선
2중모음(double vowels) 또는 겹성모음(diphthong)으로 취급한다. *
니중모음
* 2/니 |
|
|
|
|
|
|
|
☞ |
각국의 언어는 모음을 어떻게 표기하느냐에 따라 단모음/니중모음,
단성모음/복성모음/복성단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
|
|
by Hangle |
* |
<~ple>은
(소리) 접힘(풀) |
* |
<~gle>은
(소리)
엮임(글) |
* |
<~ble>은
(소리)
겹힘(배) |
|
|
崔[추이/cui]
|
|
Cn |
|
* |
cui[추이]
: |
monophthong |
- 단성모음 |
Siingle Vowel |
|
|
|
|
|
Duple Vowel |
|
En |
|
* |
choi[초이]
: |
diphthong |
- 니중모음 |
Double Vowels |
|
Hn |
|
* |
cho[초]
+ i[이] : |
mono.
+ mono. |
- 니중모음 |
Two Vowels |
|
|
choi[]
: |
diphthong |
- 복성단모음 |
Dual/Duple
Vowel |
|
|
|
|
|
(Double
Vowel) |
|
|
choi[최]
: |
monophthong |
- 단성모음 |
Simple Vowel |
|
|
|
|
|
Single Vowel |
|
|
|
|
* |
겹모음(복성단모음)
- 한빛 이기희에
의해 창출된- 에 대한 개념은 한글의 범주에 있다. |
|
The concept of the dual/duple
vowel - created by LeeKH
- could be in the categroy of
Hangle |
|
|
|
|
* |
'최'에서 'ㅗ'와
'ㅣ'의 합성(compound)인 'ㅚ'는 주름/접힘이 없는(simple/single),
즉 단성모음(monophthong)에
해당된다. |
|
|
최 |
|
|
The vowel
'ㅚ' out of '최' is the combination of 'ㅗ[o]' and 'ㅣ[i], resulting into
being monophthonguised from diphthong, which could be in the category
of simple or single
vowel. |
|
|
|
|
|
|
|
|
|
|
|
*
한빛한글에서 돋이는
말: [드오] |
|
|
|
|
|
|
|
|
|
|
→ |
겹성단모음을
줄여서 겹모음이라칸다. |
↖↑↗ |
소리를
가늠하는
띠모음(Bar
Vowel)과
점모음(Dot
Vowel) |
|
|
|
|
|
|
|
♠ |
겹모음
류형 |
|
|
1) |
점겹모음(Dot
Dual Vowels) |
|
|
|
|
달모음(Luna Vowel)인
점(dot)이 가로모음 상*하 또는 세로모음
전*후에 붙어 발음의 우선순위를 가늠하는 모음: |
|
|
|
|
|
// |
통상
겹모음은 점겹모음을 일컫는다. ->
'점/섬'에
대하여 |
|
|
|
|
→ |
점겹모음(Dot
Dual Vowel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f) |
띠겹모음:
띠모음(Bar
Vowels/막대모음)에 점모음(Dot
Vowels)이 붙은 모음: |
|
|
|
|
|
|
|
→ |
띠겹모음(Bar
Dual Vowels) |
|
|
|
|
|
|
|
|
|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 & 띠겹모음
구분 예제: / |
|
아래*위로
불룩하게
휘게 하다:
|
-> |
호우
->
[hou]] |
|
|
|
|
아래*옆으로
불룩하게 휘게
하다 |
-> |
후아
-> [hu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이겹모음(i
Dual Vowels -> Duple
Vowels) |
|
|
|
|
세로모음에
'ㅣ[i]'
모음이 가미된 2중모음이 합성되어
홑(single)모음으로
표기되는 바,
이를
<'이'가
가미된 겹모음('i' dual vowel)>
즉, '이겹모음(Duple
Vowel)'이라칸다. |
|
|
|
|
이
때의 '이'는 숫자
<이>가 아니라 한풀 꺾인
모음 음소 'ㅣ'의
추가를 의미한다. ←
duplex
-> ple |
|
|
|
|
→ |
이겹모음(Duple
Vowels) |
|
|
|
|
↙↓↘ |
|
|
↙↓↘ |
아이[ai] |
-> |
|
-> |
애[æ] |
|
|
이겹모음 |
|
단순모음 |
|
|
Duple
V. |
|
Simple
Vowel |
Diphthong |
|
Diphthong |
|
Monophthong |
↘↓↙ |
|
↙↓↘ |
|
|
|
|
|
|
한빛
이기희 특별 강의 - 겹모음의
핵심 달모음(Luna
Vowels) |
|
|
|
* |
점겹모음(Dot
Dual Vowel)은 <발음 우선순위에
관련된 달모음(Luna
Vowel)>이다. |
|
|
|
...... |
|
|
|
|
|
|
|
↖↑↗ |
|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차려 'ㅇ' |
→ |
2개
이상의 글자로 구성된 말에서 초성 Void 자음
'ㅇ'의 글자가 뒤에 올
경우 뒤의 자음 'ㅇ'은 사라지고 대신 점모음이
앞 모음에 가미되어 앞의 모음이 겹모음으로
되면서 합쳐지기도 한다. 그러한 경우의 초성자음 'ㅇ'을
한빛
이기희는
<차려 'ㅇ'>이라고
칭한다. 다시말해, 2개의 글자가 하나로 합쳐질 때 쓰이는 뒷 초성자음 'ㅇ'의
글자를 일컫으며, 그러한 과정을 한빛
이기희는
모종의 통과의례(ceremony)적인
규칙으로 세분화한다. 다시말해, <차려 'ㅇ'은 2개의 글자를
하나로 합치는 과정에 점이 가미되어 겹모음으로 되는 절차적 음소>란
얘기다. 그말인즉,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모든 겹모음은 <void 초성 'ㅇ'> 형태에서 비롯된단 얘기다. |
|
|
통과의례/제례
= cere = 차려
<- 차리어 |
|
|
|
여기서
왜 필자가 '차려 'ㅇ'이라고
하냐면 두 글자가 하나의 글자로 되려면 점이나
띠가 가미되어 겹모음으로
차리어(차려)/치장해서...
-> 차려 ㅇ
|
|
예를 들자면, '도우다'에서
'우'가 <차려 'ㅇ'>이 되면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 형태로 앞의 말에 합쳐져(합치어지어)
''처럼 된다. |
|
또는 '아이'에서 '이'가
<차려 'ㅇ'>이 되면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 형태로 앞의 말에 합쳐져(합치어지어)
... -> [ai] |
|
|
이제
<초성 'ㅇ'>에서 <차려
'ㅇ'>의 쓰임에 대해 새로이 다가가얀다. - 한빛
이기희 |
|
|
|
|
|
|
-
점겹모음(Dot
Dual Vowels) 해설 - |
|
|
|
|
|
아래는
Hangle
대표 이기희가 창출해 제시하는 특별한 글자 형식으로, 특허권을 포함한 일체의 지식재산권은
Hangle
대표 이기희에게 있음. |
|
|
|
|
한빛
이기희가
제시한
개정 한글에선 점(dot)을
사용하여 발음에 대한 순서를
나타내는 겹모음(Dual
Vowel)의 도입으로 어의
모든 글자에 대한 발음을 완벽하게 구현해낸다.
또한
6억
이상의 한빛
한글
글자 체계는 이 세상 모든 글자의 소리에
대한 표기를 가능케한다. |
|
|
|
|
|
|
|
|
|
|
|
설명: |
|
|
|
현지
어엔
2개(또는 그 이상)
모음들로 구성되어진 경우가 많다. 엔글에선 이를 니중모음(double vowels) 또는
겹성모음(diphthong)으로 취급하고, 나아가 한빛한글에선
그러한 것들을 합성된 단모음으로도 다룬다. ( ex:
최(초이)
) <- ' 한글'이라고 하는 그 이유가 바로 -> 한글 |
|
|
|
또한
한글에선 점모음(dot vowel)인 ''를
가로/세로모음 상*하/전*후에 붙여 겹성모음(diphthong) 음소로 표기할 수 있으며,
발음도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음소를 '겹모음'이라카고,
엔글로는 'Dual
Vowel'이라고 칭한다. - by Hangle |
|
|
|
|
|
* |
bo
->
[bou]
/ [bau] |
|
보
-> [보우]
-
복성모음
|
|
히
-> []
- 복성단모음
|
|
* |
bi
->
[bia]
/ [bia] |
|
비 -> [비아]
- 복성모음 |
|
히
-> []
- 복성단모음
|
|
|
|
|
|
|
|
|
|
|
|
*2) |
jia[ia]:
짓다, 집 <- 家 |
|
|
[지아
-> ]
|
|
|
|
|
|
|
|
|
*2_1) |
tia[tia]:
|
|
|
[티아
-> ]
|
|
|
* |
다 |
|
|
= |
ride |
|
|
* |
Do
you want a ride? |
|
|
= |
태워줄까?
-> 줄까? |
|
|
|
cf) |
타다:
burn, blaze, flame |
|
|
|
|
* |
|
|
|
|
cf) |
태우다:
burn |
|
|
|
|
* |
태워줄까?
(?) |
|
*2_2) |
kia[kia]:
|
|
|
[키아
-> ]
|
|
|
// |
엔글
'car'와 상통한 면이 있기도... |
|
|
|
cf) |
gear,
deer, peer... |
|
* |
* |
겹모음으로
어원/유래도 파악 |
|
|
기다: crawl, creep |
|
|
|
기어[]
-> 거미
|
|
|
* |
치아
-> |
|
* |
'치앙마이'
->
|
|
|
|
|
|
|
|
-
겹모음 모음(Dual Vowel Collection)
- |
|
|
|
이 단어 하나에 그렇게 정성을
다해 담은 내용일 줄이야... |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청아한 울림이 곳곳에 퍼져 |
|
(새삼 겹모음이
가미된 '[드오]'라는
글자가 돋이네요.) |
|
|
|
|
|
|
|
|
|
|
서울
용산으로 이전한 <대통령 집무실의 이름> 공모에
부응하여 -> [리앙] |
|
|
☞ |
겹모음이
가미된 <이기희
개정
한글>은
어
2개 글자까지 섭렵할수있다. |
|
ex1)
|
'(自然[저])'
→ |
|
<-
자연[zayeon] |
|
|
|
♨
「
으로
돌아가라 」 |
|
ex2)
|
아연
→
|
[ayeon] |
|
|
cf) |
← 여안[yeoan]
|
|
|
|
|
|
|
|
|
|
|
|
|
|
|
······ |
|
|
|
# |
점겹모음(Dot
Dual Vowels)은 발음에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아~, 어쩜 이리도...! |
|
(Samskrt(?)
어원이 잘 반영된 한글과 어) |
|
☞ |
아래로
오목하게 하다/파다: |
|
|
아오
->
<- 겹모음 |
|
|
|
|
|
|
|
|
|
|
|
-> |
凹[ao]
- 어 |
|
|
|
|
|
|
ex) |
'小
[xiao]'을 한글로 표현하면 => |
|
|
|
|
|
|
|
|
|
어
'多'를
어떻게 읽을까?
-> Go |
어
'島'를
어떻게 읽을까?
-> Go |
|
|
|
|
ex) |
|
|
|
|
|
이기희가
겹모음을 통해 밝히는
한글 '여우'의 어원
->
Go |
|
|
|
|
|
|
|
|
|
변화[byeonhwa]:
變化[biaen
hua]: change |
|
|
|
|
|
|
|
'變[biaen]'을
한글로 표현하면 => |
|
|
|
|
|
|
|
|
'節
[jie]'을 한글로
표현하면 => |
|
|
|
|
|
|
* ' ㅏ '와 ' l
'를 합성하면 => Go |
|
|
* ' ㅑ'와 ' l '를 합성하면 =>
Go |
|
* ' ㅔ '와 ' l
'를 합성하면 => Go |
|
|
|
|
|
* ' l '와 'ㅔ'를 합성하면 => Go |
|
* ' [ia]
'와 'ㅣ'를 합성하면 => Go |
|
* ' l'
+ 'ㅐ' 둘러보기 => Go |
|
|
|
|
|
|
한글엔
3중모음이 합성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3겹모음 |
|
|
|
|
|
|
|
|
|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
|
겹모음은
<사잇소리 배제>와 관계있다: 바[호우바]
-> 홋바 |
:note
book -> 노우트 붘 -> 트붘[호우바]
-> 놋붘 |
|
어
결합에서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 사잇소리는 배제 -> Go |
|
|
|
|
|
|
* |
한자와
한자의 결합에도 앞강세 단모음일 경우 '소리'
규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 예외사항이 아니다. |
|
다만
어의
결합에서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 사잇소리는 배제된다. |
|
|
|
☞ |
사잇소리의
배제는 Deflex에 해당된다 -> Deflex |
|
|
ex) |
|
▶
고(庫): garage + 간(間): space |
▶
표기: 간 |
▶
Read: : [곧간] |
|
|
▶
고(庫[ku]) + 간(間[/지앤]) |
▶
Rome: goggan |
▶
Read: : [g
gan] |
|
|
|
☞
|
|
|
☞
|
만약
'간[고우간]으로
발음되거나 |
|
|
만약
'쿠[지앤]으로
발음되면 겹모음 형식이라 사잇소리 배제된다. |
|
|
|
|
☞
|
앞음절
단모음 & 강세 => |
▶
간[gotgan]
- Hn |
|
|
|
|
|
|
=>
고간[goggan]
- En |
|
|
|
|
//
엔글 fortis: 앞 강세 + ~ => Go |
|
|
|
ex)
|
간(庫間)
방(貰房)
자(數字)
간(車間)
간(退間)
수(回數),
병... |
|
// |
필자는 단어의 결합에 있어서 '단모음+강세'로
부각되면 한자든 뭐든 소리를
붙이기로 한다. |
|
|
|
차잇점 ,
|
|
//
|
다만
어의
경우 발음유형에 의거하여 제한적으로 쓰인다. 즉, |
|
|
-> |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엔 따로 시읏을
붙이지 않고( *1),
<단음+앞강세>일 경우엔 한글 방식엔 앞말받침에 시읏을
붙이고( *3), 엔글
방식엔 뒷말을 fortis로 표기한다( *2). |
|
|
|
|
|
|
|
|
|
|
|
|
어:
앞말이 겹모음일 경우 소리
배제; -> Deflex |
|
*1 |
빙(火病[후오빙])
|
Cn |
|
|
[huo
bing]
|
|
음가에
따른 변화는 없다; |
|
|
|
|
|
음소
추가 없음 |
|
|
|
|
|
|
|
|
글자
합성에 따른 강세의 변화는 없음: 4성에 충실 |
|
|
|
|
|
|
|
|
엔글:
앞말에 강세있고, 뒷말을 fortis化
-> 소리
배제; -> Deflex |
|
*2 |
화병(火病) =>
화뼝(火病) -> 화병 |
En |
|
|
[hwa
bbyeong] |
|
뒷글자:
표기는 fortis |
|
|
|
|
|
뒷음에 따른 음소
추가 |
|
|
|
|
뒷글자:
발음은 단순 |
|
|
|
|
cf)
한글식: fortis로 읽음 |
|
|
//
한글 글자 합성의 경우 fortis化가 아니라 사잇소리... ->
아래 참조 |
|
|
|
|
|
|
|
|
앞강세 |
|
|
|
|
|
한글:
앞말에 강강세있는 단모음 -> 소리
도입; -> Flex |
|
*3 |
화병(火病) =>
병(火病)
|
Hh |
|
|
[hwat
byeong] |
|
앞글자:
사잇소리 ㅅ 추가 |
|
|
|
|
|
앞*뒷음에 따른
음소 추가 |
|
|
|
|
뒷글자:
발음은 'ㅌ' |
|
|
|
|
|
|
|
|
강세:
앞강세 - 뒷음과 호응 |
|
|
|
|
|
|
|
|
|
|
)
뒷말이 겹모음일 경우 소리
배제; |
* |
시점(時點[[shidiaen]])
<- 싯점? |
|
//
|
한빛
이기희는
앞강세 단모음 형식이면 '싯점'도
용인한다. |
//
|
위의
경우 '[shidiaen]'처럼
발음되면 사잇소리는 배제 |
//
|
이처럼
한글에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의 도입이 시급하다. 그래야 사잇소리에 대한
애매함이 해소된다! |
|
|
|
|
|
|
|
cf)
|
앞음절이
2중모음이면 소리
회피 => |
▶
gogan(고우간) |
|
|
|
|
cf)
|
음절이
fortis이면 소리
회피 => |
▶
goggan(고깐) |
|
|
|
|
☞
|
일본어 번역본에도
그런 적용있다 => |
▶
료깐[ryo:
ggan] |
|
|
아니면
소리
적용되던가 => |
▶
간[ryot
gan] |
|
cf)
|
받침
'ㅌ'이 붙으면...
=> fortis |
▶
깐[ryot
ggan]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