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Hangle
대표 이기희는
'~거'와 '~것'에 대해 일정부분 구분한다. |
 |
|
| |
1) |
사물을
나타내는 'it, that, the thing'의 개념 -
formal |
| |
|
* |
I like it. |
| |
|
|
나는 그것을 좋아한다. |
| |
|
* |
That is what I
want. |
| |
|
|
그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다. |
| |
2) |
강조 형식의 It ~ that ~ 형식에서 나옴 |
| |
|
|
It is sure that
~ |
|
|
|
cf)
말하는 이의 확신·결정· 결심·추측을 나타내는... |
|
|
|
|
~는거
: |
| 1) |
엔글 부정사(to-inf)의
명사적 용법에 대한 한글 표기를 '~거'로
하자. |
| |
= |
엔글에서 준동사의 명사적 용법, 특히 <to-부정사>의 'to'에 호응하는 한글 표기를 '~거'로
하자. |
| |
☞ |
|
| |
|
|
|
| |
| |
엔글
to-inf의 명사적 용법에 해당되는 '~거'는
붙여쓴다. |
| |
* |
일찍 일어나는거는
좋다. |
| |
= |
To get up early is good. |
| |
* |
보는거는
믿는거다. |
| |
= |
To see is to believe. |
| |
* |
나는 수영하는거를
좋아한다. |
| |
|
->
I like to swim. |
| |
-> |
I like swimming. -
동명사 |
|
| |
|
| ☞ |
<to-inf>의 '~는거'는
 어
'化'와 한글 '~로 되다'인 엔글 '~ize'의
뜻을 지닌다. |
| |
ex) |
2개 이상의 모음이 합쳐져 <하나의 결을 지닌 모음으로 되는거>가
<단성모음화(monophthongize)>이다.
|
| |
=> |
<단성모음화>란
2개 이상의 모음이 합쳐져 <하나의 결을 지닌 모음으로 되는거>이다. |
|
| |
먼저 위의 '것'과 to-inf의 명사적 용법인
'~는거'의 쓰임에 대해 알아보자. |
| |
 |
~
것: 수식된 명사 주어 - 띄어씀 |
| |
|
* |
너가 사는
것은 전부 fast-food야. |
| |
|
= |
All the thing you
buy is fast-food. |
| |
|
= |
What you buy is fast-food. |
| |
 |
~거:
의존 파생명사화된 주어 - 붙여씀 |
| |
|
* |
fast-food 먹는거는
좋지않다. |
| |
|
= |
To eat fast-food is
not good. |
| |
|
= |
Eating
fast-food is not good. |
|
|
|
| |
|
| 2) |
to-inf 중에서 형용사적 용법인
'것'과 '거'의 쓰임에서 엔글과 한글에 일맥상통한 면이 참으로 많지만 간과되거나 범접하지못해 헤매는 경우도 있다;
|
| |
(
아~, 어쩜 한글과 엔글에 이토록 궤를
같이하는게 많은지...!!! ) |
| |
 |
|
| |
|
* |
먹을
것이면, |
| |
|
= |
If it is something
that you eat, |
| |
|
|
| * |
<~ㄹ 것>과
같은 구문은 <~ㄹ>로 한정되고, <'것'은 사물의 영역>을 나타내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구문으로, 띄여쓰인다. |
|
| |
 |
~거:
준동사(to-inf)로 수식된 명사 - 띄어씀 |
| |
|
* |
먹을
거이면, |
| |
|
= |
If it is something
to eat, |
| |
|
|
| * |
<~ㄹ 거>과
같은 구문은 '~ㄹ'로 한정되고, 한정되는 대상이 사물이지만 to-inf와 련계되므로 '거'로 쓰이고,
띄워쓴다. |
|
| |
 |
|
| |
|
* |
먹을거이면, |
| |
|
-> |
먹을거면,
-
의도/예정 |
| |
|
= |
If you are to
eat, |
| |
|
|
|
| -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서 '~ㄴ거'와
beV to-inf 특별용법에 대하여 - |
|
|
|
| - 엔글 <to-inf>에
대한 한글 '~ㄴ거'
쓰임 구분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1)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ㄴ거 |
| |
|
* 보는거는
믿는거다. |
| |
|
= To see is
to believe. |
| |
|
|
| |
|
* 그의 취미는 수영하는거야. |
| |
|
= His hobby
is to swim. |
| |
|
cf) 그는
수영하는거야. (?) |
| |
|
|
//
위 문장은 과연... |
| |
|
|
| |
<- |
'그는
수영하는
거야' 처럼 띄어쓰면 'the
thing'의 의미가 되므로 문맥상 오류. |
| |
<- |
'그는
수영하는거야'
처럼 붙여쓰ㅓ도 주어와 보어가 어울리지않으므로 문맥상 오류. |
|
| |
|
|
| |
<- |
'
좋은 방법은 그가 수영하는
것이야'
처럼 띄어쓰면 전*후 맥락에 따라 모종의 강조 형식이 된다. |
| |
|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
| |
|
The
best way is that he tries/chooses
to swim. |
| |
<- |
'
좋은 방법은 그가 수영하는
거야' 처럼 띄어쓰ㅓ도 전*후
맥락에 따라 to-inf가 개입되는 모종의 강조 형식이 된다. (여기서 '그가'는
의미상 주어) |
| |
|
The
best way is for
him to swim. |
| |
|
(
'~는거'는 '~는 것'보다 외연(外延)의 폭이 좁아진다. 다시말해, <당위의 should> 개념으로
이끌려진다. 즉, <시도>나 <선택>의 뜻과 멀어진단
얘기다. - by
한빛
이기희 |
| |
|
| |
|
| |
'
좋은 방법은 그가 수영하는
거야'
- spaced |
| |
In
English, the above rule could be adopted, too. That is,
these two sentences could have more verbal aspects: |
| |
'
좋은 방법은 그가 수영하는
거야' |
| |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
| |
The
best way is that
he tries/chooses to swim. |
| |
And
in case of the below, the meaning would be contracted
to 'should' in relation with <to-inf>. |
| |
'
좋은 방법은 그가 수영하는거야'
|
| |
The
best way is for
him to
swim. |
| |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
|
| |
<- |
'그가
수영하는거야'
처럼 붙여쓰면 <to-inf에 호응하는 전*후
맥락의 구문이 필요>하므로 문맥상 오류 |
| |
// |
'그가
수영하는거야
좋지' 처럼 <전*후
맥락의 구문이 도입>되면 의미상의 주어가 가미된 to-inf 구문이 된다. |
| |
|
|
|
| |
// |
위처럼
'~ㄴ거'라는 구문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다. 특히 엔글에서 <beV + to-inf> 구문으로 다루는 <예정*의무*가능*의도*운명>
등의 구문이 한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있다. // 아~ 어쩜 한글과 엔글이 이토록 궤를
같이하는지! |
|
|
|
|
| |
| - 한글에 가미된
엔글 beV to-inf 특별용법
- by 한빛
이기희 |
| |
|
-> |
He
is to swim. |
| |
|
// |
위의 문장은
아래 'beV to-부정사'와 맥을 같이한다. |
| |
|
|
| # |
beV
to-inf의 특별용법: 예정, 의무, 가능, 의도, 운명 |
| |
* |
그는
수영할거다. |
He
is going to swim. |
| |
* |
그는
수영해얀다. |
He
has to swim. |
| |
* |
그는
수영할수있다. |
He
is able to swim. |
| |
* |
그는
수영하련다. |
He
intends to swim. |
| |
* |
그는
수영하게돼있다. |
He
is destined to swim. |
| |
|
| cf) |
~거든
-> If you are to-inf = 예정 |
| |
ex) |
조금 있다가
할거거든 |
| cf) |
~거든
-> If you are to-inf = 의도: ~려거든 |
| |
ex) |
'가려거든
울지말아요' - '떠나는
님아' by 오승근 |
|
| |
|
|
| // |
어쩜
이렇게 한글과 엔글에서 의미가 통하도록 돼있는지...! |
|
| |
|
|
// '자,
이젠 가는거야'처럼 여러가지 뜻을 담는거야:
자이젠(zaigen) |
|
|
|
|
|
|
|
|
 |
|
| |
| ☞ |
엔글 <to-inf>와
련계되는 <예정*의도*가능*의무*운명>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은 이제 <~ㄹ거>로 한정되고, 붙여쓴다. //
이같은 경우 띄어쓰면 문맥상 오류가 된다. |
| |
* |
(너, 내일 거기) 갈거니? |
| |
|
| <-
|
'~거'
구문은 엔글 <to-inf> 구문과 련계된다. 즉, |
| |
Are
you going to go there tomorrow? |
| |
Do
you have the intention to go
there tomorrow? |
| <- |
'~거'
구문은 편이에 따른 현대적 어법의 도입으로, 엔글(Engle)과 맥을 같이 한다. |
| |
|
사실,
필자는 한글 곳곳에 드리워진 어법상 오류에 어찌나 안타까운지... 이따금 나라에 녹을 받아먹는 한글
관련 국가기관 종사자들에게... 차마 더이상... |
|
| |
|
| * |
(너,
내일 거기) 갈 거니? (×) |
띄어서 오류 |
| * |
(너, 내일
거기) 갈 것이니? (×) |
'~것'이
대상화를 나타내므로 문맥상 오류 |
|
| |
* |
(너,
내일 거기) 갈거면 미리 준비해둬라. |
| |
|
|
| |
| |
|
| * |
(싫어. 난 내일
거기) 안갈거야. |
| |
안 갈 거야.
(×) <-
띄어서... |
| |
안 갈 것이야.
(×) <-
대상화... |
|
|
| |
| * |
갈거야. |
| |
|
|
| * |
안갈거면, |
| |
|
|
| * |
잘거면, |
| |
|
|
| * |
안잘거면, |
| |
|
|
|
| |
| * |
엔글에서 <beV + to-inf>가
<예정*의도*가능*의무*운명>의
뜻을 나타내듯이 한글도 그러한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가 참 많다. 예를 들자면, |
| |
|
<요리왕
비룡>의 주제곡에서 <우리의 꿈 최고의 꿈 반드시 이룰거야>란 부분에서 '~ㄹ거'도 <예정*의도*가능>이
복합적으로 담겨있다. |
| |
|
<요리왕 비룡>의
주제곡 |
| |
|
가려거든
- <떠나는
님아(오승근)> |
| |
그렇다. 한글과 엔글엔 궤를
같이 하는 부분이 참 많다. 다만 우리는 그러한 부분을 마냥 지나쳐왔을 뿐이다. 이제부턴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위와 같은 맥락의 <~거>라는 쓰임에 대해 새삼 되새겨보길 바란다. |
|
|
|
|
|
|
|
|
|
|
| |
|
| |
☞ |
'거'는
띄어쓰기에 따라 문맥적으로 구분된다.
|
| |
|
* |
우리는
먹을거야. <-
to-inf - 예정 |
| |
|
|
We are to
eat. |
| |
|
|
It is likely that we
will eat. |
| |
|
|
| ♬ |
우리의 꿈 최고의 꿈 반드시
이룰거야~ <요리왕
비룡> |
|
|
|
|
|
| |
|
* |
우리가 먹을
거
-> 거(to-inf
관련) |
| |
|
|
the stuff for us
to eat |
|
|
|
|
| |
☞ |
엔글
<to-inf>를 통해 파악되는 한글 <'~거''의 쓰임> |
|
|
☞ |
'~거'가 붙여져 명사화된다:
~거/~거리 |
|
|
|
먹을거(food
to eat) ->
먹을거리 -> 먹거리:
~거리 |
|
|
|
줄일거리 ->
줄거리: ~거리 |
|
|
|
|
|
|
|
담을 거 -> 그릇 |
|
|
|
|
| |
☞ |
'거/것'은
<to-inf>와 련계하여 구분된다.
|
| |
|
* |
우리가 먹을
것
-> 것(stuff) |
| |
|
|
the stuff that we will eat |
|
|
|
|
|
|
|
|
|
<~거/것
구분>에 대한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
| |
 |
엔글
준동사(to-inf/v-ing)에 해당되면
'거'를
앞말에 붙여쓴다. |
| |
|
 |
띄운 '~ 것'이 되면 the thing 의미가
된다. |
| |
|
|
* |
여기서
먹
것: |
| |
|
|
|
//
'것' = the thing |
| |
|
|
-> |
The
stuff that s will eat here |
|
|
|
|
| |
|
 |
띄운
'~ 거'가 되면 <한정적 용법의 대상+의미상
주어 + to-inf > 의미가
된다. |
| |
|
|
* |
여기서
먹
거: //
'여전히 대상에 중점을 둔다 |
| |
|
|
|
//
'거' = to-inf |
| |
|
|
-> |
The
stuff for me to eat
here |
| |
|
|
|
|
= |
food |
| |
|
|
☞ |
|
|
|
|
|
| |
|
 |
붙인 '~ 거'가 되면 < to-inf >
의미가 된다. |
| |
|
|
* |
여기서
먹는거: |
| |
|
|
|
//
'거' = to-inf |
| |
|
|
-> |
to eat here |
| |
|
|
|
|
| |
|
|
* |
나는
여기서 먹 거야. //
'붙여쓰기 |
| |
|
|
|
//
'거' = to-inf |
| |
|
|
-> |
I
intend to eat here. |
| |
|
|
cf) |
나는
여기서 먹 꺼야.
(/) // '꺼' =
강조 (It ~that) |
|
|
|
|
|
| |
 |
미래를
나타내는 말인 '거/것'은
앞말에 붙여쓴다. -
확신·결정· 결심·추측 |
| |
|
 |
(
붙인 ' 것'이
되면 미래인 'will'의 의미가 된다) |
| |
|
|
* |
그는
여기 것이야. |
| |
|
|
-> |
He will be here. |
| |
|
|
|
|
//
여기서 <'
것'>처럼 띄어쓰면 문맥상의 오류가 된다. |
| |
|
 |
미래인
'will'의 의미로 ' 거'처럼
' '과
'거'를 붙여쓰기도 한다. |
| |
|
|
* |
그는
여기 거야. |
| |
|
|
|
|
|
|
| |
|
 |
가까운
미래, 예정, 추측 등의 뜻으로 쓰이면 ' 거'처럼
' '과
'거'를 붙여쓴다. |
| |
|
|
* |
그는
여기 거야.
- 미래 추측 |
| |
|
|
-> |
He
may
be here. |
| |
|
|
* |
그는
여기 거같다. -
가까운 미래 + 추측 |
| |
|
|
-> |
He
is likely to be here. |
| |
|
|
* |
그가
여기 온거같다. -
현재 추측 |
| |
|
|
-> |
He
is likely to be here. |
|
|
|
|
|
| |
☞ |
엔글
준동사(to-inf/v-ing)에 해당되면
'거'를
앞말에 붙여쓰지않으면 문맥상의 오류에
해당된다. |
| |
☞ |
엔글
준동사(to-inf/v-ing)에 해당될 경우
'~는 것'처럼
쓰면 문맥상의 오류에 해당된다. |
| |
|
|
* |
여기서
먹는 것은 자유야. (/) //
'~것'은 the thing |
| |
|
|
|
여기서
먹는 거는 자유야. (/) ->
아래처럼 붙여쓰라 |
| |
|
|
* |
여기서
먹는거는 괜찮아. //
'거' = 준동사화 = to-inf |
| |
|
|
= |
여기서
먹는건 괜찮아. //
거는 -> 건 |
| |
|
|
-> |
To
eat here is allowed. |
|
|
|
|
|
| |
|
☞ |
'It ~ that~' (강조 || 진주어*가주어)형식으로 쓰이는 경우 '~것'으로... |
| |
|
|
|
*
불편한 진실은 그가 여기 올거라는 것이다. |
| |
|
|
|
|
| |
|
|
|
| '~것(the
thing that ) '처럼 강조되면
동격이 되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엔글
to-부정사의 'to'
->
한글에서
'거'로... |
| |
|
엔글
v-ing(동명사)의 'ing'
-> 한글에서
'거'로... |
|
|
|
| |
|
* |
나의 꿈은 유용한 책을 출판하는거다. |
| |
|
= |
My dream is to
publish a useful book. |
| |
|
// |
나의
꿈은 유용한 책을 만드는 것이다. (?) |
| |
|
|
| * |
위 // 문장도 어법상으론
용인될 수도 있지만 문맥상으로 구분 - 때론 오류에 해당 - 된다. 즉, 나의 꿈이... |
|
| |
|
// |
필자도
이 부분을 새 게
도입하는 터라 to-inf가 '~것'으로 표기된 것이 곳곳에 있다. |
|
|
|
| |
|
* |
수영하는거는
좋다. |
| |
|
-> |
To swim
is good. |
| |
|
-> |
Swimming
is good. |
| |
|
// |
수영하는
것은 좋다. (/) |
|
|
|
|
|
//
'~거'
대신 '~기'를
쓰는 경우도 있다. <- '去[qu]' |
|
|
|
| |
|
* |
나는 수영하는거를
좋아한다. |
| |
|
|
나는 수영하기를
좋아한다. |
| |
|
-> |
I like to
swim. |
| |
|
|
I like swimming. |
| |
|
// |
나는
수영하는 것을 좋아한다. (/) |
|
|
|
|
|
|
| //
|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에서 <목적/의도>를 나타내는, 즉 <~기
위해>라는 표현에서 '~기'도 위와 같은 맥락에서
다룰 필요있다. 다시말해, |
| |
* |
나는 그녀를 만나기
위해 그곳에 갔다. |
| |
= |
I went there to
meet her. |
| |
여기서 '~기'는
엔글 to-inf의 '~거'와 같은, 즉 <만나는거를
위해>처럼 풀이된다. |
| |
|
|
|
|
|
| |
|
* |
나의
취미는 수영하는 것이다. (/) |
| |
|
* |
나의 취미는 수영하는거다.
|
| |
|
|
나의 취미는 수영하기다.
|
| |
|
-> |
My hobby is to
swim. |
| |
|
|
My hobby is swimming. |
|
|
|
| |
 |
추측도 '~것'대신
'~거'로 하자. <-
준동사의 명사적 용법과 련계 |
| |
|
* |
내일은
날씨가 좋겠다. |
| |
|
= |
The
weather will be nice tomorrow. |
| |
|
// |
내일은
날씨가 좋을 것이다.(/) |
| |
|
* |
내일은 날씨가 좋을거다.
|
| |
|
= |
The
weather may be
nice tomorrow. |
| |
|
= |
The weather is
going to be nice tomorrow. (?) |
| |
|
|
~를
몇번이고 되뇌어보면 언뜻 감이 잡힐거다. // ~ㄹ거 |
| |
|
* |
그 얘기는 열번도 더 했을거다. |
| |
|
|
// |
| |
|
* |
그렇게
놀다간 성적이 떨어질 것이다. (/) |
| |
|
-> |
그렇게 놀다간 성적이 떨어질거다.
|
| |
|
|
|
|
|
|
| |
 |
'~건'은
'~거는' 의 준말로, to-inf의 명사적 용법과 동명사에 해당함 |
| |
|
* |
꿈을 꾸는거는
좋다. |
| |
|
= |
꿈을 꾸는건
좋다. |
| |
|
-> |
To dream
is good. |
| |
|
= |
Dreaming
is good. |
| |
|
|
꿈을
꾸는 것은 좋다. (/) |
| |
|
|
| 한글 '꿈'과
엔글 'dream'은 같은 맥락 |
|
->
|
|
|
|
|
|
|
|
| |
|
| |
 |
|
| |
☞1 |
'~거이'의
'이'는 대상 강조(it~that)의 '이'와 련관있기도 하다. |
| |
|
'~거이'가
줄어 '게'로 되기도 한다. |
| |
|
1)
거: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 |
|
동명사의
명사적 용법: ~거 |
| |
|
2)
거이: |
| |
|
It
~ that ~ -
강조 |
|
|
|
| |
☞2 |
'~거이'가
진행형인 <V-ing(현*분)>의
뜻도 지닌다 -> 아래 참조 |
|
|
|
| ★ |
|
| |
☞ |
의존형
파생명사인
'~거'는 어떤 식으로든 엔글 'to-부정사'와
매칭 |
| |
// |
물론 '~게'도
의존형 파생명사인
'~거'와 관련있다:
~거이
|
| |
|
* |
너는
가니? |
| |
|
* |
너는
가나? - intimate |
| |
|
* |
너는
가는가? -euphemistic |
| |
|
|
Do
you go? |
| |
|
| |
|
* |
너는 가는거가? //
너는 가는 것인가? (x) |
| |
|
|
|
| |
|
-> |
Do you intend
to go? |
| |
|
* |
너는 가는거이가?
cf)
너는 가는거인가? ->
~ㄴ(認) |
| |
|
= |
너는
가는게가?
= 너는 가는겐가? |
| |
|
-> |
Is it sure that you
intend to go? =>
I wonder if you go. |
| |
|
# |
Are you going
to go? |
| |
|
# |
Is it
true that you go? |
|
|
|
| |
이게 왜 여기서
나오나? |
이게
왜 여기서 나오노? |
|
|
| |
|
#1 |
너는 어디
가는거가? - 1 <-
너는 어디 가노? |
| |
|
|
너는
어디 가는거니? |
| |
|
-> |
Where
do you intend to
go? |
| |
|
#2 |
너는 어디 가는거가?
- 2 <-
너는 어디 가나? |
| |
|
|
너는 어디 가는거니? |
| |
|
-> |
Do you intend
to go somewhere? |
|
|
|
|
|
|
| |
|
#1 |
너는 어디
가는거이가?
<-
너는 어디 가는가? |
| |
|
|
너는
어디 가는거고?
<-
너는 어디 가는고? |
| |
|
-> |
Where is it that you
intend to go? |
| |
|
-> |
Where are you going? |
| |
|
|
|
| |
|
|
| cf)
|
* 너는 어디
가는거인가?
->
~ㄴ(認) |
| |
=
너는 어디 가는겐가? |
| |
-> Let me know
where you go? |
| |
|
|
| |
우리에겐
익숙한 표현이건만... |
| |
막상
엔글로 옮기자니 다른 문화권에선 어떻게 여길지 억수로 부담스런 표현이네요. |
| |
그만큼
우린 개인 Privacy에 둔감?/민감? |
| |
|
| |
|
부단히
들먹거려야 쟁취되는 자부심, Pride |
| |
|
이처럼
우린 늘 어깨를 들썩이며 겨뤄야... |
| |
|
다시말해
'pride'는 '들먹'이는 'ride'와 련계된다. |
| |
|
|
| |
|
//
물론 여기서 let은 사역동사이고, know는 원형부정사여서
'~거'로 나타낸다. |
| |
|
//
암튼 '~거'는 엔글 <to-inf/~ing>와
련계된다! |
|
| |
|
|
//
Yes/No 의문문엔 <인지/확인>이 수반되는 '~ㄴ'
받침: ~겐 |
| |
|
#2 |
너는
어디 가는게가? *
너는 어디 가는겐가? |
| |
|
-> |
Are you going
somewhere? |
| |
|
|
|
|
|
|
|
때론
엔글이 구분의 잣대로... |
|
# |
어떻게
먹으라는 것인가? |
// 이게 표준어? |
| |
|
어떻게
먹으라는거인가? |
// 이러고
있다간... |
| |
|
어떻게 먹으라는겐가? |
// 이
정도는 돼야... |
| |
|
어떻게 먹으라는건가? |
// 이게
표준어 아닌감? |
| |
|
어떻게 먹으란건가? |
|
| |
|
-> I don't
know how to eat. |
|
| |
# |
어떻게 먹으란거여? |
// 이렇게
말해도 되나? |
| |
|
어떻게 먹는거여? |
// 속삭이듯
나즈막하게... - 친밀도 |
| |
|
-> Let me
know how to eat. |
|
|
| |
|
|
어떻게
하라는거야? |
| |
|
|
어떡하란기야? |
|
|
|
점차
녹아드ㄹ는 묘한 기운, '거'에서 '기'로 |
|
|
| |
|
# |
|
| |
|
|
뭐라는거이아? |
| |
|
|
뭐라는게아? |
| |
|
|
뭐라는게야? |
| |
|
|
뭐라는거야? |
| |
|
|
뭐라는기야? |
| |
|
|
뭐라는기요? |
| |
|
-> |
I don't know what
to do. |
| |
|
-> |
Let me know what to
do. |
|
|
|
| |
|
* |
뭐하니? |
| |
|
* |
뭐하노?
- intimate |
| |
|
* |
뭐하는가?
-euphemistic |
| |
|
|
What
do you do? |
| |
|
* |
뭐하는거가? ->
뭐하는고? |
| |
|
|
What do you intend
to? |
| |
|
* |
뭐하는거이가? ->
뭐하는감? -> 뭐하는거가? |
| |
|
|
뭐하는거이어? ->
뭐하는거여? -> 뭐하는겨? |
| |
|
|
뭐하는거이오? ->
뭐하는거요? -> 뭐하는교? |
| |
|
-> |
What is it that you
intend to? |
| |
|
|
위
<~거이
= V-ing(현*분)>
뜻도 일부 담겨있다 |
|
|
|
|
|
| cf)
|
~거이
= V-ing(현*분)
|
| |
// |
때론 '~거이'가
진행형의 현재분사형(V-ing)과
매칭되기도 한다. |
| |
|
// |
이땐
비난/경멸/감탄... |
| |
|
|
// |
엔글에서도
그런 맥락으로 통하는 경우가 있다. |
| |
* |
니,
지금 (내 앞에서) 뭐하는거이니? |
| |
|
니,
시방
(내 앞에서) 뭐하는거이메? |
| |
|
(
Drama '이방원'에서 <이지란>...
) |
| |
= |
니,
지금 (내 앞에서) 뭐하는기야? |
| |
|
(On
earth) What are you doing (
+ 욕지거리...)? |
|
|
|
|
|
|
Drill) |
| |
|
* |
사 는거이
뭐디? 뭐가
사 는거이야? |
| |
|
|
사 는게
뭐디? |
| |
|
|
사 는기
뭐디? |
| |
|
-> |
What is living
on earth? |
| |
|
* |
그것이 사 는거이야. |
| |
|
|
그거이 사 는게야. |
| |
|
|
그기 사 는기야. |
| |
|
-> |
That's living. |
|
|
|
|
|
|
|
☞ |
'이기야'란
말은 <어떤 진행 상황에 대해 개진/개선을 도모하려는 화자의 의중이 담긴 표현을 집약적/강조적으로 나타낸 구문>으로,
엔글 <~ is the very thing that I want (to say)>와 류사한 표현이다. |
| |
|
|
| ☞ |
"~라/다
이기야"에서 '이기야'는 '이거이아'~ |
| |
|
|
이 |
거 |
이 |
아 |
|
|
|
이 |
거 |
야 |
|
|
|
이 |
거 |
이 |
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먼저
진행/언급된 사항/상황이 있어야고, 그것에 대한 해결책/모색책이 제시되면서 자구책을 강구하라>는 뜻의 강조구문이다. |
|
|
|
* |
(방바닥에
잡동사니들이 나뒹구는 상황에 대해 내가 말하고픈 바는) 제발 청소 좀 하고 지내라 이기야. |
|
|
|
<내가
말하고픈 바는 "청소 좀 하고 지내라"는 것이야. |
|
| |
* |
한빛 이기희가 늘 주장해왔듯이
한글'에 대한 엔글 표기는 'Hangle'로 되어얀다 이기야. |
|
|
|
|
|
| |
|
|
| |
| Tips) |
'이기야'란 표현이 집중적으로 조명된 때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6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연설에서 "대한민국 군대
지금까지 뭐했노, 이기야"라고 아주 강도높게... ->
둘러보기 |
| |
|
|
(그의
말을 심도있게 파악한 건 아니지만) 자주국방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에 필자도 내심 공감되는 바가 있어서 새삼 그의 발자취를 되새겨보는
계기도 되었고, 지극히 당연한/원론적인 주장에 은근 념려가 일었던건 어인 일일까? 어쩌면 필자는 아직도 마냥 세상 언저리에 맴도ㄹ는... |
| |
그런
그의 말 중에서 '이기야'란 부분이 '일간베스트' 커뮤니티, 소위 '일베'에서 희화화하여 정치적 비하의 용어로 자리잡은 모양새다. |
| |
|
현실
참여적인 SNS완 거리감있는 필자로선 한 때 '일간 베스트'의 '일베'가 좋은 부류의 내용을 다루는 것으로 알고있었더랬는데...
|
| |
|
최근
모 운동선수가 '~이기야'란 표현를 다가
곤혹스런 입장에 처한 경우도 있고... |
| |
암튼,
'이기야'란 표현은 <어떤
진행 상황에 대해 개진/개선을 도모하려는 화자의 의중이 담긴 표현을 집약적/강조적으로 나타낸 구문>이건만
오*남용의
도가니에 빠져 허우적대고있는 것만 같아 습슬하다(씁쓸하다?). |
| |
|
특정
상황에 자칫 잘못 쓰면 <떠벌림/과시(show off)>의 뜻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
|
|
| |
|
|
|
|
|
|
| |
|
* |
저것은
뭐하는 것인가? |
| |
|
-> |
저것은
뭐하는거인가? |
| |
|
|
What
is that for? |
| |
|
-> |
그것은
낚시하는데 쓰이는거여. |
| |
|
|
It
is used for fishing. |
| |
|
-> |
그것은
낚시하는거여. |
| |
|
|
It
is for fishing. |
| |
|
-> |
그게
낚시하는거여. |
| |
|
|
That's
fishing. |
| |
|
* |
손에
있는 것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 - formal |
| |
|
|
손에
있는건 뭐하는 건가? -
?? |
| |
|
|
손에
있는건 뭐하는 거여? -
informal |
| |
|
-> |
For
what is it that you have in your hand? |
|
|
|
|
응용편) |
| |
☞ |
'~거이'의
줄임말인 '~게'는 엔글
준동사와 련관... |
| |
= |
'~게':
사역동사/유발동사 |
| |
|
# |
~게
하다? : 유발동사 <- to-부정사 |
| |
|
|
~게
~다? |
| |
|
|
'유발동사'란 명칭은
한빛 이기희가 에듀인에서
도입한 말로, 공인된 것은 아님. |
|
| |
|
# |
~게
하다? : 사역동사 <- 원형부정사 |
| |
|
|
~게
만들다? |
| |
|
|
~게
시키다? |
| |
|
|
~게
허락/승락하다? |
|
|
|
|
| |
|
* |
그는 나를 거기 가게
했다. |
| |
|
# |
~하게
하다? : 사역동사 <- 원형부정사 |
| |
|
|
* He made me go
there. |
| |
|
# |
~하게
하다? : 유발동사 <- to-부정사 |
| |
|
|
* He got me to
go there. |
| |
|
|
|
|
|
|
| |
|
 |
~하는게
~다? |
| |
|
* |
거기
가는거이
좋다. 거기
가는거가 좋다. |
| |
|
= |
거기 가는게
좋다. |
| |
|
-> |
You'd better go there.
// had better + √v
- 원형부정사 |
| |
|
|
거기
가는 것은 좋다. (/) |
|
|
|
| |
| |
|
 |
~하는게/거이
어때? |
| |
|
= |
How/What about ~ing |
| |
|
* |
거기 가는게 어때? |
| |
|
-> |
How/What about
going there? |
|
|
|
|
|
->
~하게:
권유/제안 -> 완곡명령 |
| |
|
|
|
|
|
|
| |
 |
'~거라'도
to-inf와 련관있다: I urge + O +
to-inf |
| |
|
|
|
 |
'~거라'도
to-inf와 련관있다: I urge + O +
to-in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f)
[ 오너라/오나라]도
위와 같은 맥락으로... -> Go |
| |
|
|
|
//
말에 담겨진 뉘앙스를 잘 파악하여... |
|
| |
|
| |
→ |
'내가(나아가)
~라고 명령(요구/명령/주장)한다. |
| |
|
(엔글에선
이런 구문에 당위의 'should'를
쓰죠.) |
|
| |
|
| # |
서로
궤를 같이하는 한글과 엔글 |
| |
일반
명령) |
나발(요구/주장/제안/충고) |
| |
* |
가라. |
* |
가거라. |
| |
|
(You),
Go. |
|
I
urge
you to go. |
| // |
|
| |
|
|
|
| |
|
어쩜
이렇게 한글과 엔글에서 의미가 통하도록 돼있는지...! |
| |
|
(
알면 알수록 더 호기심이 생기네요. 그만큼 몸은...) |
|
|
|
| |
|
|
|
|
|
|
| |
 |
'~거든/~거들랑'도
to-inf와 련관있다: if ~ have the chance
to-inf |
| |
|
'~거든/~거들랑'도
to-inf와 련관있다: S have the
willingness to-inf |
| |
|
|
|
| ☞ |
'~거든'의 '거'도 의존형
파생명사와 같은 맥락으로도 본다. |
|
'~거들랑' |
| |
|
|
| |
☞ |
엔글 <to-부정사>에 해당하는 경우엔 '~거'를
붙여쓴다. |
| |
|
* 가거든:
|
| |
|
= If you have the chance to
go: - 기회/경우 |
| |
|
|
<- 가는거이면:
|
| |
|
|
= 가는거면: |
| |
|
|
cf) 가는
거이면: (?) |
| |
|
|
// 가는
것이면: (/) |
| |
|
|
cf)
그는 그곳에 자주 가거든! - 경향 : |
| |
|
|
//
He has the tendency to
go there. |
| |
|
* 가려거든:
|
| |
|
= If you are to
go: |
| |
|
= If you have the
intention to go: -
의도 |
| |
|
|
|
| |
|
|
<- 가려는거이면: |
| |
|
|
<- 가려는거면: |
| |
|
|
cf)
가려는 거이면: (?) |
| |
|
|
//
가려는 것이면: (/) |
| |
|
|
| |
|
* 여기 있거든
니 할 일은 니가 해라. |
| |
|
|
<- 여기 있는거이면 ~ |
| |
|
|
<- 여기 있는거면 ~ |
| |
|
|
= If you are to
be here: - 의도 |
| |
☞ |
때나 조건의
부사절에서, <기대/희망/가능>의 뜻을 나타낼 경우 엔글에선 현재가 미래 시제를 대용하기도 하지만 한글에선 이를 구분해서
표현하고 뜻을 혼용하기도 한다. // 세분화되어 구분되기도 한다. |
| |
|
|
<- 여기 있을거면 ~ |
| |
|
|
<- 여기 있으려거든~ |
| |
|
|
<- 여기 있을려거든~ |
|
|
|
☞ |
'~거'는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쓰인다. |
| |
cf) |
잘못이 있거든
일러주시고: - 경우: in case of -ing |
| |
|
|
<- 잘못이 있는
것이면 일러주시고: - the thing |
| |
|
|
<- 잘못이 있는
거면 일러주시고: |
|
|
|
|
♬ |
'가거들랑 혼저 옵서예'
- '감수광'
by 혜은이 |
|
|
|
- 경우/조건 |
|
|
'가거들랑 혼저 옵셔예'
- '감수강?' - 필자 견해 |
|
|
|
|
|
|
|
|
♬ |
'가려거든
울지말아요' - '떠나는
님아' by 오승근 |
|
|
|
-> be to-inf -
의도 |
|
|
|
|
|
|
|
| |
|
* |
그를 보거든
안부전해라. |
| |
|
-> |
If you have the
chance to
see him, give my regards to him. |
|
|
|
| |
|
//
햐, 한글이
이런 묘미를 지니고있을 줄이야!!! |
| |
|
* |
떠나려거들랑
후딱 가소. |
| |
|
-> |
If you have the
willingness to
leave, go right now. |
|
|
|
| |
|
* |
그를 나를 잘 도와주거든! |
| |
|
-> |
He has the willingness
to help me! |
|
|
|
| |
|
|
| |
 |
|
| |
|
* |
나는 젊거니 돌인들 무거우랴! |
| |
|
-> |
As I am young, can
any stone be heavy (for me)! |
| |
 |
~거니3:
with [the thought/point, confidence/assurance]
that ~ |
| |
|
* |
내가 그대에게 조언하거니
부다 늦지마라. |
| |
|
-> |
I advise you with point
that you should not be late. |
| |
 |
~거니
~거니: by turns, what with ~ing
one thing and another (in alternation) |
| |
|
* |
말을 주거니
받거니 |
| |
|
-> |
exchange words (with
each other) |
| |
 |
~거니와:
besides, as well as, not only ~ but also ~ |
| |
|
* |
얼굴도 곱거니와 마음씨도 곱다 |
| |
|
-> |
have not only a pretty
face but also a lovely disposition. |
|
|
|
| |
|
~나:
or |
| |
 |
~거나:
to-inf/v-ing
or |
| |
|
|
// 편이에 따라 혼용 |
| |
|
* |
~ 사나
마ㄹ나 ~ |
| |
|
-> |
~ buy or
not~ |
| |
|
* |
~ 사거나
팔거나 ~ |
| |
|
-> |
~ to
buy or to
sell ~ |
| |
|
| ☞ |
순차적
발음이란 ~ |
늦은 순서의 달모음(luna vowel)이거나 |
| |
|
~
늦은 순서의
깊원음이 되가도 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