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장
먼저 다뤗어얄 부분을 끝내/마침내/기어이
이렇게... |
|
|
|
|
|
공개일자:
2021/11/11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아~,
그래서 '말'이라고 하는구나! |
|
|
어느
순간(2025/04/03) 문득 엥겨들어 '아~, 그렇구나!'
쾌재를 외치며 자리를 박차고... |
|
|
<말[mal]>의
어원/유래와 활용에 대하여 |
|
|
어다
/ 엉다 * 얽다
-> 얽게 하다 -> 엵다(weave): |
|
|
*
엮다
-> 얽게 하다 -> 엵다(weave): |
|
|
* |
tangle: |
|
|
|
|
얽히게 하다, 엉키게 하다 |
|
|
|
 |
|
|
|
|
|
|
|
|
탕(thang)이
되면 <탱글탱글>해지기도... |
|
|
|
|
|
|
-> 얽다/엮다:
tangle: 말(mal): speak/seaweed) |
|
|
* |
말[mal]:
|
|
* |
엮다
(yeockda[јΛkda]):
weave <-
* 얽다, *
엮다 |
|
|
|
어원) |
|
|
|
|
tangle: |
|
|
|
|
|
<얽히다/엉키다>의 'weave'와
련계되는 식물에서 유래 |
|
|
|
활용) |
|
|
|
|
'tangle'이 지닌 뜻인 <얽다/엮다:weave>에서
<쓰다(write)>의 글(gle)이 활용되고, 그리고 'weave'의 뜻을 지닌 식물 '말'에서 의사소통의 '말'이
생겨났다. - 한빛
이기희 |
|
* |
빠르다::
mach |
|
|
|
horse: |
|
|
|
<일상생활에서
빠른 수단>은 < [mhal]>이었다. |
|
|
|
|
-> 말/horse |
|
|
|
|
|
|
|
|
|
speak: |
|
|
|
|
<의사소통을
빠르게 하는 수단>은 <말[mal]>이다. |
|
|
|
|
|
|
|
동물 '말'은 빠른 의사소통(speak)과
련계되고, 소리를 기호로 < 다/구성하다>의
'weave'에서 <글(gle)>이 생겨나고 <말[mal]>로
귀결된다. |
|
|
|
|
|
|
필자는
어언 10여년에 걸쳐 쉽고 효율적이며 어긋나거나 예외가 없는, 즉 한글(Hangle) 바루기에 매진해왔다.
그러다 2018년 10월 11일(원랜 09일로 하렸지만...) 전체적인 내용을 온라인에 출판했다.
그리고 이곳저곳에 드리워진 오타나 미진한 부분을 보완했고, 이미 출판된 내용도 몇차례 개정한 적이
있거니와 때론 미처 다루지 못했던 부분을 새로이 더하기도 했다. 그중에서도 20개의 추가모음 부분은
필자에게 가장 부담스러운 과제로
남아있기도 하다. 그렇게 여차저차하다 3여년이
지난 어느날(2021/11/11) 문득, 한글 관련 부분에 있어서 막받이/막바지
단계에 다다 을
즈음 느닷없이 툭 던져지는 질문, 그것은 바로 <『말』이란
무엇인가?>였다.
그랬다.
어쩌면 그것이 가장 먼저 다뤄졋어얄... //
~졋~
순간 뭔가 놓쳤다는 생각에 속이 뜨끔하면서 조급함이 먼저 밀려왔다.
그런 연차(緣借[ )로
'말'과 관련해서 요모조모 살펴보는데,
아~
이 무슨, 이게 무슨 조화란 말인가!
그렇게 뜨끔했던게 결코 부끄러운 사안이 아니라는 사실!
그렇다.
『말』에 대한 어원*유래와 관련해선 무슨 대단한 뜻이 담겨있는게 아니라 그저 <'끝'이란
뜻의 한자 '末'의 발음인
'말'에서
의사소통의 『말』이 태동되었다>는 것을 Hangle
대표 이기희는
주창하는 바이다.
.
재차 말하지만 <퍼뜨려
끝내 소통하는거>,
그게 바로
『말』이다. -
한빛
이기희
|
|
|
|
|
|
|
|
|
|
|
|
|
|
|
|
|
|
'말'이란? |
|
|
사람의
생각·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방법 |
|
|
생각/느낌을
빠릐 나타내는
방법 |
|
|
빠릐:
때론 어원에 따른 개념 정리가 유용하다. |
|
|
|
|
|
법 |
|
|
|
그러함 <- 으레 그러하다 |
|
|
法 [fa] |
|
|
|
본받다 <- 마땅히 따르다 ->
follow |
|
|
law/method |
|
|
|
理致[lizhi] <- 애써/끝내(末)
니르다 -> reach |
|
|
|
|
|
|
|
|
|
|
|
|
|
|
|
|
|
|
|
|
낱다
+ 내다 ->
낱아내다 -> 나타내다 |
|
|
|
낱(a)
+
?(밖으로)?
+ 내다 ->
나타내다 |
|
|
낳다
+ 내다 ->
낳아내다 -> 나타내다 |
|
|
|
기르어서/키워서
+
내다
->
나타내다 |
|
|
|
자신(I)의
품은바를
다듬어서 밖으로
나타내다 |
|
|
|
= 터트리다 |
|
|
|
=
터뜨리다 |
|
speak: |
|
|
퍼트리다(spread) |
|
|
퍼뜨리다(spread) |
|
|
|
|
|
|
☞ |
말이란
품은바를
끝내 펼치는
것이다. -
한빛
이기희 |
|
-> |
끝내/마침내/기어이/기어코/기필코
품은바를
나타내다
->
말
<- 末
|
|
= |
末[muoa]하다
//
무오아 ->  |
|
= |
하다 |
|
= |
말하다 |
|
|
|
|
|
|
|
깊게 |
|
|
|
|
|
|
|
|
|
|
깊이 |
|
|
|
|
|
|
|
지 |
가 |
|
깊숙히 |
품은바 |
= |
심 |
= |
央心
|
|
|
自 |
|
 |
心 |
|
|
|
|
|
|
나
= 我
=
|
↗ |
ㅇ |
|
|
|
|
|
|
|
(I/Spk) ↘ |
↓ |
↙ |
|
|
|
|
|
|
|
 |
(야옹) |
|
|
|
|
|
|
☞ |
말은
심의
표출이다. -
by 한빛
이기희 |
|
|
☞ |
말이란
삼라만상이 제각각 품은바를 제대로 나타내는거다.
-
한빛
이기희 |
|
|
|
|
|
|
말은
생존의 방법을 찾는
수단이다:
찾 = chat = 수다
<- means |
|
|
☞ |
마음에 엉긴 금,
헨[hen]을 해소하는
좋은 방법은 말하기이다 = 수다
|
|
|
|
 |
|
|
|
('찾다'의 '찾'은 엔글 'chat'의
'챝'과 일맥상통 - Hangle) |
|
|
|
새들이 이소할 무렵, 어미새가 새끼새에게 재잘대는
모습을 면 '수다'의 진가를 알리라. |
|
|
|
( 디
'수다'란 그런 맥락이다: 존재 수단 찾기 - Hangle) |
|
|
|
|
|
|
|
|
|
|
|
|
사물도
음*양의 이동 등으로 나름 품은바를 나타내지만 인간의 인식작용은 그런 것에까지 미치지못하기에
그러한 것을 말의 범주에 두지않는다. |
|
|
|
 |
동물은
말을 몸짓과 소리로
도드라지게 나타낸다. |
|
|
|
|
|
|
|
|
인간은
말을 몸짓과 소리뿐만
아니라 기호로도
도드라지게 나타낸다. |
|
|
|
|
|
|
|
 |
말을
기호로 나타낸 것 =
글 |
|
|
|
|
|
 |
|
|
|
|
|
|
|
|
|
|
|
|
 |
글은
말을 문자로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 |
|
|
|
|
체계화된 |
글자
= |
문자 |
|
소리와
|
문자로
구성된 의사소통
체계 = 언어
= lingua |
|
|
|
|
↙↓↘ |
Ω
한글은 전 세계를 아우르는 온누리의 말이다. |
|
Ω
Hangle
is a world-wide language. -
En/Hn
|
|
|
☞ |
한글은
모음 11개와 자음
18개의 조합으로 세계의 모든 음소를 망라하는 <음소의
전형(典型/index)>이며,
8억
이상의 글자를 지닌 한글은 동*서양을 아우르는 <범세계적인
언어체계>이다. |
= |
Hangle,
which has
more than 800
million letters with 18 consonants & 11 vowels
is a world-wide language, encompassing
the east & the west.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