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렉스(flex): |
|
|
'ㅌ'과
Hidden 'ㅅ'의 음가를 지닌 실질형태소와
조사의 결합관계에서
'ㅌ'
받침의 실질형태소에 강세가
있고, 뒤따르는 조사의
소리가 자음일
경우 아무런 영향(fortis)이 없고, 뒤따르는
조사의 소리가 모음일
경우 조사 자리에 'ㅅ'음가가
발음되는 가변
받침음소
'ㅅ'을 렉스(Flex)라
한다. |
|
|
* |
렉스(Fex)는
받침 'ㅅ(시읏)' 기호를 붙인다. |
|
// |
사잇소리(Saitsori)는
''기호를
받침에 붙인다. |
* |
렉스(Fex)의
기본구성음은 'ㅌ'와 'ㅅ'이다. |
|
|
|
이 flex 부분은 강세를 지닌 짧은 홑음절이 되고, 뒤따르는 음소에 아무런 영향 없고(fortis化
배제), |
|
|
뒷음이 void 음가인 경우 'ㅅ(s)' 소리를 가진다. |
|
|
|
|
|
|
|
|
디렉스(Deflex):
//
탈렉스 |
|
|
만약
실질형태소가 니중모음(겹모음)인
경우엔 Flex는 개입되지않는다. |
|
|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
|
겹모음은
<사잇소리 배제>와 관계있다: 바[호우바]
-> 홋바 |
:note
book -> 노우트 붘 -> 트붘[호우바]
-> 놋붘 |
|
어
결합에서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 사잇소리는 배제 -> Go |
|
|
|
|
|
|
|
|
* |
<이야오아/오아이야>
이런 부분은 우얄꼬?/우얄까?
-> 겹모음 /
합성모음 |
|
|
|
|
|
|
|
|
|
|
|
|
|
|
|
|
|
* |
한자와
한자의 결합에도 앞강세 단모음일 경우 '소리'
규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 예외사항이 아니다. |
|
다만
어의
결합에서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 사잇소리는 배제된다. |
|
|
|
☞ |
사잇소리의
배제는 Deflex에 해당된다 -> Deflex |
|
|
ex) |
|
▶
고(庫): garage + 간(間): space |
▶
표기: 간 |
▶
Read: : [곧간] |
|
|
▶
고(庫[ku]) + 간(間[/지앤]) |
▶
Rome: goggan |
▶
Read: : [g
gan] |
|
|
|
☞
|
|
|
☞
|
만약
'간[고우간]으로
발음되거나 |
|
|
만약
'쿠[지앤]으로
발음되면 겹모음 형식이라 사잇소리 배제된다. |
|
|
|
|
☞
|
앞음절
단모음 & 강세 => |
▶
간[gotgan]
- Hn |
|
|
|
|
|
|
=>
고간[goggan]
- En |
|
|
|
|
//
엔글 fortis: 앞 강세 + ~ => Go |
|
|
|
ex)
|
간(庫間)
방(貰房)
자(數字)
간(車間)
간(退間)
수(回數),
병... |
|
// |
필자는 단어의 결합에 있어서 '단모음+강세'로
부각되면 한자든 뭐든 소리를
붙이기로 한다. |
|
|
|
차잇점 ,
|
|
//
|
다만
어의
경우 발음유형에 의거하여 제한적으로 쓰인다. 즉, |
|
|
-> |
겹모음으로
발음될 경우엔 따로 시읏을
붙이지 않고( *1),
<단음+앞강세>일 경우엔 한글 방식엔 앞말받침에 시읏을
붙이고( *3), 엔글
방식엔 뒷말을 fortis로 표기한다( *2). |
|
|
|
|
|
|
|
|
|
|
|
|
어:
앞말이 겹모음일 경우 소리
배제; -> Deflex |
|
*1 |
빙(火病[후오빙])
|
Cn |
|
|
[huo
bing]
|
|
음가에
따른 변화는 없다; |
|
|
|
|
|
음소
추가 없음 |
|
|
|
|
|
|
|
|
글자
합성에 따른 강세의 변화는 없음: 4성에 충실 |
|
|
|
|
|
|
|
|
엔글:
앞말에 강세있고, 뒷말을 fortis化
-> 소리
배제; -> Deflex |
|
*2 |
화병(火病) =>
화뼝(火病) -> 화병 |
En |
|
|
[hwa
bbyeong] |
|
뒷글자:
표기는 fortis |
|
|
|
|
|
뒷음에 따른 음소
추가 |
|
|
|
|
뒷글자:
발음은 단순 |
|
|
|
|
cf)
한글식: fortis로 읽음 |
|
|
//
한글 글자 합성의 경우 fortis化가 아니라 사잇소리... ->
아래 참조 |
|
|
|
|
|
|
|
|
앞강세 |
|
|
|
|
|
한글:
앞말에 강강세있는 단모음 -> 소리
도입; -> Flex |
|
*3 |
화병(火病) =>
병(火病)
|
Hh |
|
|
[hwat
byeong] |
|
앞글자:
사잇소리 ㅅ 추가 |
|
|
|
|
|
앞*뒷음에 따른
음소 추가 |
|
|
|
|
뒷글자:
발음은 'ㅌ' |
|
|
|
|
|
|
|
|
강세:
앞강세 - 뒷음과 호응 |
|
|
|
|
|
|
|
|
|
|
)
뒷말이 겹모음일 경우 소리
배제; |
* |
시점(時點[[shidiaen]])
<- 싯점? |
|
//
|
한빛
이기희는
앞강세 단모음 형식이면 '싯점'도
용인한다. |
//
|
위의
경우 '[shidiaen]'처럼
발음되면 사잇소리는 배제 |
//
|
이처럼
한글에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의 도입이 시급하다. 그래야 사잇소리에 대한
애매함이 해소된다! |
|
|
|
|
|
|
|
cf)
|
앞음절이
2중모음이면 소리
회피 => |
▶
gogan(고우간) |
|
|
|
|
cf)
|
음절이
fortis이면 소리
회피 => |
▶
goggan(고깐) |
|
|
|
|
☞
|
일본어 번역본에도
그런 적용있다 => |
▶
료깐[ryo:
ggan] |
|
|
아니면
소리
적용되던가 => |
▶
간[ryot
gan] |
|
cf)
|
받침
'ㅌ'이 붙으면...
=> fortis |
▶
깐[ryot
ggan] |
|
|
|
|
|
|
|
|
|
|
|
|
|
|
|
|
|
|
|
R1) |
Deflex,
즉 렉스(Flex)가
해제되면서
그 음이 부각*강조되면 fortis,
즉 쌍자음으로 변한다. |
|
(이때
'~거'나 '~꺼'는 앞말에 붙여쓴다. ) |
|
|
|
|
Tp1)
|
|
|
ex1)
할 것이다 ->
할 거이다 -> 할거이다 -> 할꺼다:
It is the thing to do |
|
|
cf1)
할거다: beV going to do ~ : 할 예정이다 |
|
|
cf2)
할꺼다: It
is sure that s v ~ :
하는게 확실하다 |
|
|
|
|
|
ex2)
먹을 것이다 -> 먹을 거이다 ->
먹을거이다 -> 먹을꺼다
<- 먹을거리이다: the stuff to eat |
|
|
cf1)
먹을거다: beV going to eat ~ : 먹을 예정이다: |
|
|
cf2)
먹을꺼다: It
is sure that s v ~
: 먹는게 확실하다 |
|
|
|
탐)
to-부정사의 '~거'도 강조되면 '~꺼'로 되기도... - 혼용 |
|
|
|
cf)
올 것이다 -> 올 거이다 ->
올거이다 -> 올꺼다: It
is sure that ~ will be here. |
|
|
|
|
|
가요 등
기존 어법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된다. |
|
*
일단 <~거/~꺼>는 앞말에 붙여쓴다. |
ex) |
1) |
~
바람이 불 거야 -> ~
바람이 불거야: It is going to be windy. |
|
2) |
~
바람이 불 거야 -> ~
바람이 불꺼야: It
~that 강조용법 |
|
|
(앞으로
좋은 일이 생길꺼라는 강조 형식이므로 <~꺼야>로...) |
|
|
|
♬
다함께
차차차(설운도)
|
ex) |
1) |
~
찾을 거야... 돌아 올 거야 -> ~
찾을거야... 돌아올거야 |
|
2) |
~
찾을 거야... 돌아 올 거야 -> ~
찾을꺼야...
돌아올꺼야 |
|
|
|
♬
I'll
Be Back(2PM)
|
|
|
|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다: 가까운 미래나 예정이라면 1)이고, 확인 강조라면 2)에 해당된다) |
|
|
Tp2)
|
|
|
ex3)
나의 것이다 -> 내 거이다 ->
내거이다 -> 내꺼다: It is mine. |
|
|
|
ex) |
|
그리움
때문일 것이야 ->
~때문일 거이야
->
그리움
때문일꺼야 |
|
|
|
♬
보이지
않는 사랑(신승훈) |
ex) |
|
나의
것 -> 내꺼 |
|
|
|
♬
내꺼하자(인피니트) |
R1_c) |
위의
경우 띄어쓰기가 적용되면 Flex는 유지된다. |
|
|
나의
것 -> 내 것 |
|
|
|
♬
나보다
더 나를 사랑하는 님이시여(김연숙) |
|
|
|
R2) |
위
렉스(Flex)가
해제되고
그 음이 부각*강조되지않으면 fortis가 아닌 단순자음으로 한다. |
|
|
ex)
'젓어라(저으어라>' || '저어라' |
|
|
|
|
|
|
|
|
|
|
|
|
|
기음화(Aspirated
Sound)와 Flex & Sait |
기음화(apirated
sound) => Go
|
|
|
|
|
|
|
|
|
렉스(Flex)에
대한 모든 것 =>
G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ottom)
Fortis(된소리) /
(Bottom)
Flex(렉스) |
|
(받침)자음과
련계된 Fortis(된소리) |
-> Bottom Fortis의
꽃 |
Fortis
with Bottom Consonants |
Flex out of
Fortis |
|
|
|
|
엔글 'kitsch'를 한글로
표기하면... 킽치/킷치 |
|
|
엔글에서
Fortis(bb, cc, dd, ff...) 자음은
어떻게 생겨났나? |
How
English
got to have Fortis(bb,
cc, dd, ff...)? |
|
|
어떻게
ttis(bottom t +
fortis)가 도입되었나? => tTis |
어떻게
'LexTis(flex/fortis)'가
도입되었는가? => LexTis |
|
|
|
|
|
받침'ㅅ'과
받침 'ㅆ'의 쓰임도 구분할 필요가 있다!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