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이기희가
제시한 한빛
한글에선
< 2개의 모음(vowel)이 하나의
음소(phoneme)>로 표기될 수 있는 바, 이를 겹모음의
범주인 '복성단모음'이라카고,
엔글에선 'diphthong'으로 표기된다. |
|
|
|
<겹소리
겹구성의 홑음소> |
|
|
= |
2개의
음가를 지닌 하나의 모음 =
Monophthongized from diphthong =>
복성단모음 |
|
|
|
|
|
|
|
☞ |
<겹소리
겹구성의 홑음소>인
복성단모음은 한빛
한글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개념이다. |
|
|
|
☞ |
한빛한글에서
겹모음 / 이겹모음이
복성단모음에 해당된다.
아래 참조↙ |
|
|
|
|
// |
합성모음은
<홑소리 겹구성의
홑음소>로
겹모음과 구분된다. |
|
|
|
|
니성모음(Diphthong):
2중모음 = 니중모음
/ 겹모음: |
|
|
2개의 다른
모음(diphthong)이 연속적으로 발음되어 하나의
음소(phoneme)로 여겨지는 모음 |
|
|
= |
복성단모음(Diphthong)
= 겹모음(Dual Vowel) |
|
|
|
|
|
|
|
|
|
cf) |
monophthong
/ triphthong |
|
|
|
|
☞ |
엔글에서 2중모음(Diphthong)은
2개의 모음, 즉 'double vowels'로 표기된다. |
|
|
|
엔글에선 2개의
소리를 하나의 모음으로 표기하는 복성단모음의
형태는 없다. |
|
|
|
|
-> 2개의 모음, 즉 복성모음으로
Diphthong 표기 |
|
|
|
|
->
그래서 'double vowel'로... |
|
|
|
|
double
=> duple:
du(two)
+ ple |
|
1) |
Type1: |
|
|
|
|
|
|
|
|
|
|
2) |
Type2: |
|
|
|
세로모음 + ㅣ[i]
-> 이겹모음(Duple
Vowel)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