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모음(Vowel)이란? |
| |
| ☞
|
모음(母音): 혀나
입술의 끼침없이 나오는 목소리에
대한 표기
기호 <-
(hole)소리 |
| = |
Vowel:
a vibrated speech sound produced without obstructing
the flow of throat-air from lips or teeth |
|
| |
|
| * |
구멍
안: hole[호울]
|
->
[houl] |
↘ |
|
|
| * |
구멍
안: 管[구안]
|
->
[gu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리
변환 |
| |
|
|
|
| |
↖ |
↗ |
|
|
|
|
| |
|
모음(Vowel) 기본 구조:
|
|
|
|
|
|
|
|
| |
| ☞ |
"모음
합성"이란 <2개 이상의 모음이 합쳐지는거>로, 포괄적
의미를 지닌다: |
| |
|
2개
이상의 모음이 합쳐져 단모음, 겹모음, 3겹모음 등으로 <합성된 모음 전체>를
일컫는다. |
| |
|
|
//
모음 합성에 합성모음이 포함된다. |
|
| |
합성모음(Compound
Vowels): <- Combined Vowels
-> Double Vowels |
| |
→ |
합성모음이란 <
2개 이상의 모음이 합쳐져 하나의
음가를 이루는 단성모음>을 일컫는다. |
| |
|
| = |
The
compound vowel is the vowel that (more
than) two vowels are combined
together, being turned into a simple
syllable.
|
|
| |
|
//
구성은 겹이지만 단성모음이므로 겹성모음과
구분지어 '합성모음'이라 별칭한다. |
| |
|
|
| |
☞ |
합성모음은
모음과 모음이 주름(ple)없이
결합된 단성모음이다.
|
| |
|
=
|
a
simple vowel
monophthongized from
diphthong |
=>
합성단성모음 |
| |
|
=>
합성단순모음 |
| |
|
=>
합성단모음 |
| |
|
=>
합성모음 |
|
| |
|
| |
cf) |
겹모음은
모음과 모음이 순차적으로 발음되는 모종의 '주름모음'이다. |
| |
|
=
a single
vowel with diphthong
=> 복성단모음 |
|
| |
|
|
| |
|
| |
ex)
' ㅏ '와 ' l
'가 합성되면 => |
| |
① |
둘렛음(Umlaut)인
단모음으로
되는 경우: 'ㅐ'[æ]
=>
합성단모음 |
| |
② |
'ㅣ'
가 더해진 겹모음으로
되는 경우: ' '[ai]
=>
이겹모음
|
|
|
|
|
|
|
| |
| ♠ |
합성모음
류형은 크게 <둘레합성모음,
가로*세로
합성모음>
2가지가 있다:
|
| |
① |
<세로모음에
'ㅣ' 세로모음의
결합인 둘레합성모음>
cf)
바탕모음
// 합성모음
|
| |
|
* |
ㅏ
+ l -> ㅐ |
| |
|
|
| |
| ↙↓↘ |
| |
| ↘↓↙ |
| |
↗↑↖ |
|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
새 다 |
Savage
|
by
æspa |
|
|
| |
|
|
|
->
둘레합성모음
'ㅐ' 둘러보기 |
| |
|
* |
ㅓ
+ l -> ㅔ |
| |
|
|
|
->
'ㅔ' 둘러보기 |
|
|
|
| |
② |
<가로(H)*세로(V)
합성모음(H*V Compound
Vowel)> |
| |
|
 |
| |
|
|
|
| |
|
* |
ㅡ
+ l -> ㅢ |
| |
|
* |
ㅗ
+ l -> ㅚ |
| |
|
|
......
-> 아래 구성편
참조 ↓ |
|
|
|
| |
③ |
<가로*세로*이겹
합성모음(H*V Compound Umlaut Vowels)> 류형도 있다. |
| |
|
* |
ㅗ
+ ㅏ + ㅣ
-> ㅙ |
| |
|
* |
ㅜ
+ ㅓ + ㅣ
-> ㅞ |
| |
|
|
...... |
|
| |
|
|
☞ |
흔히,
합성모음이라 함은 <가로*세로 합성단모음>을
일컫는다. ↙ |
|
|
 |
(가로*세로)
합성단모음(H*V Compound
Vowel): |
| |
|
(H*V)
합성모음 구성:
가로모음(ㅡ,ㅗ,ㅛ,ㅜ,ㅠ)
+ 세로모음(ㅣ,ㅏ,ㅑ,ㅓ,ㅕ)
|
| |
|
=
(H*V) Compound
Vowels -
monophthong |
|
|
|
|
| |
|
|
| |
|
|
가로*세로
합성단모음
례제) |
| |
|
ex1) |
'ㅡ' + 'ㅣ' => 'ㅢ'
|
| |
|
|
# |
합성모음
재조명: 가로
+ 세로 => [w]
- 형태 |
| |
|
|
| |
|
|
|
H*V합성모음(H*V
Compound Vowels) |
|
|
|
| |
|
|
|
| |
|
|
|
|
|
|
| |
=> |
이제
[w]
발음도
재조명해얀다. |
| |
|
|
|
|
|
|
| |
=> |
이제
가로*세로 합성모음 의[wi]
발음도
재조명해얀다. |
| |
|
|
|
| |
|
|
|
♠ |
<'스
+ 시' -> [x]>와
싀[xi] 발음 |
| |
->
스다
+ 시다 -> '싀'
둘러보기
|
|
|
|
|
|
|
|
|
|
|
|
|
|
|
| |
엔글에선
'k'와 'q'를 별개의 자음으로 취급하지만 한글에선
'q'를 'keu'와 'i'의 합성으로 간주한다. |
| |
즉,
[ ]
=
[w] / [의] = [wi]처럼
[ ]
=
[q] / [?] = [qi]로 발음한다. |
| |
|
|
|
|
|
|
|
|
|
|
|
| |
엔글
'x'에 해당하는 음소는 '에'이라는 세로모음에 받침
'ㅋ'이 붙은 ''이라는 글자와 'ㅅ'자음에 'ㅡ'
모음이 붙은 '스'라는 글자, 즉 ''과 '스'가
병합된 글자로, ' '로
표기된다. |
| |
 어에선
'스[seu]' 가로모음과 여타 세로모음이 합성되어
'x~'라는 음소가 생겨난다. |
| |
한글에선
[ ]
=
[w] / [의] = [wi]처럼
엔글 'x'를 [스
+ 시]
=
[싀]의 형태로 간주한다. |
| |
|
|
|
|
|
|
|
| |
|
ex2) |
'ㅗ' + 'ㅣ' => 'ㅚ' |
| |
|
|
| ☞ |
각
언어에서 모음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단모음, 2중모음,
3중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 즉, 아래처럼
표기양식에 따라 구분이 다르어 진다. |
| |
ex) |
가로모음
ㅗ
+ 세로모음
ㅣ |
-> |
ㅗ
|
ㅣ
|
-
2중모음(니중모음) |
| |
|
|
-> |
|
-
가로이겹모음 |
| |
|
|
-> |
ㅚ
|
-
합성단순모음 |
| |
|
|
|
=
합성단모음 |
| |
|
|
|
=
합성모음 |
| |
|
|
| |
[추이
/choi
/ 최 /
]
->
崔 |
|
| |
| |
|
☞ |
'ㅗ'와 'ㅣ'의 합성인 'ㅚ'는 합성모음이면서
단순모음(simple
Vowel)에 해당된다. |
| |
( //
가중치에 따라 소리에 결이 생기면 니중모음(Duple Vowel)이 되겠지만... ) |
| |
//
'외'와 같은 합성모음은 단성모음이지
결이 있는 겹모음은
아니다. |
| |
|
| |
|
| |
=> 단성겹모음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단모음 추가도
필요하다: |
| |
|
|
| ☞ |
특히
 어엔
한글에서 따로 구분하는 합성단모음이나 복성단모음의 글자들이 많이 있다. |
| |
|
|
# |
기존(2020)
한글에도 한빛
이기희가
추가*제시한 합성단모음을 도입해얀다. |
| |
|
|
| |
|
|
|
|
|
|
|
|
|
| 가로*세로
합성모음 상세보기: 00detail |
|
| |
이곳은
아직 공인된 내용이 아니어서 기존의 모음 분류와 많이 다 니다.
하지만 이 부분도 바루어져야겠기에
필자를
옥죄는 경지로까진 몰아가지않기를 간곡히 당부합니다. -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 |
|
|
| |
1)
가로모음(47)
분류: |
| |
|
|
->
가로모음 둘러보기 |
|
|
| |
2)
세로모음(47)
분류: |
| |
|
|
->
세로모음 둘러보기 |
|
|
|
|
| |
3)
H*V
합성모음: |
|
|
|
|
| |
|
->
합성단모음:
발음 우선 순위(Priority)의
가중치(Surdity) 미적용 |
| |
|
|
가로모음(ㅡ,ㅗ,ㅛ,ㅜ,ㅠ)
+ 세로모음(ㅣ,ㅏ,ㅑ,ㅓ,ㅕ) |
|
|
|
|
| |
|
->
합성겹모음:
발음 우선
순위(Priority)의
가중치(Surdity)
적용 |
| |
|
|
↓↘ |
| |
|
|
가로겹모음(
[oa])
+ 세로모음(ㅣ,ㅏ,ㅑ,ㅓ,ㅕ):
->
3겹모음 |
| |
|
|
가로모음(ㅡ,ㅗ,ㅛ,ㅜ,ㅠ)
+ 세로겹모음( ):
->
3겹모음 |
| |
|
|
가로겹모음(
[oa])
+ 세로겹모음( ):
->
4겹모음 |
| |
|
|
...... |
| |
|
|
가로4겹모음
+ 세로3겹모음:
->
5*6*7겹모음
|
|
|
|
|
↘↓↙ |
|
8억
이상의 글자 체계, 변수 자음과
테이블 모음의
결합!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