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
|
|
|
모음(Vowel)이란? |
|
☞
|
모음(母音): 혀나
입술의 끼침없이 나오는 목소리에
대한 하나의 표기
기호
<-
(hole)소리 |
= |
Vowel:
a vibrated speech sound produced without obstructing
the flow of throat-air from lips or teeth |
|
|
|
|
|
|
|
* |
아다:
// ada |
|
① |
(구멍을) 벌리다, 확장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Hangle
대표 이기희는
【'ㅏ[a]'
와 'ㅣ[i]'의 모음이 합성되어
' [ai]'라는
음가를 지닌 '이겹모음'이라는 음소를 새로이
도입한다. 】 |
|
|
즉,
모음 중에서 <'이'가
가미된 겹모음('i' dual vowel)>을
'이겹모음(Duple
Vowel)'이라칸다.
|
|
|
이
때의 '이'는 숫자 <이>가
아니라 한풀(ple)
꺾인 모음 음소
'ㅣ'의 추가를 의미한다.
-> 숫자
개정 |
|
|
|
여기서
이겹모음인
' [ai]'는
하나의 모음, 즉 단모음이지만 한풀(ple)
꺾여진, 즉 발음의 시작과 끝이 다른 형태이므로 'duple
vowel'이라고 한빛
이기희는
따로 명칭한다. ←
duplex |
|
|
|
|
|
|
|
|
# |
2중모음
'ㅏ+ㅣ'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 |
|
|
|
 |
|
|
설명:↓ |
|
|
|
☞ |
' ㅏ + ㅣ'의 2중모음을 합성하면 => |
|
|
|
1) |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ㅐ'[æ]
<= 앞 부분이 짧거나
같은 합성 단모음
<- 둘레모음 |
|
|
|
2) |
겹성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 '[ai]
<= 뒷부분이
짧은 형태의 이겹 모음(Duple
Vowel) |
|
|
|
|
|
|
|
↙↓↘ |
|
Eye [아이]
-> [아이] |
by LeeKH
|
|
|
|
|
|
|
|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
|
|
|
|
|
아이쿠/어이쿠!
이 일을 어쩌누? |
|
|
|
 |
|
|
|
|
|
|
정말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요런 그림을... |
|
|
|
|
|
|
혹시나싶어 보관해뒀더랬는데 요렇게 요긴하게... |
|
|
|
|
|
|
??? |
|
|
|
|
|
 |
|
|
|
|
|
(출처:
클립아트) |
|
|
eye:
눈 |
|
☞ |
신체 중에서 는
기관은 엔글로 'eye'이고, 발음은 double vowel 개념의 [ai/아이]이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한빛한글 표기는 이겹모음(duple
vowel)이 적용된 ' '이다. |
|
|
|
|
|
|
|
|
|
 |
|
|
|
|
서양권에선 '눈'을 <view, [아우]르다>에
해당하는 <eye[ ]> |
|
|
|
|
eage,
auge, oculus |
|
|
|
|
|
// '우다'의 '우'에 해당되는 'oo'와도 련계된다: oog |
|
|
|
|
눈:
snow |
|
☞ |
신체 중에서 는
기관은 한글로 '눈'이고, 이 '눈'은 [물을 흘려 <씻(雪/snow)다>]라는 뜻의 '누다(정화하다)'와
련계되고, 또한 엔글 'snow'의 'now'에서 <누우다(옆으로
퍼지다)>의 'ㄴ'과
련계된 '눈'이 되었고, 이것이  어
'目'의 형상과 결부되어 뜻으로까지 확대되었으리라 한빛 이기희는 추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겹모음 |
|
단순모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