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제 <차려 ㅇ>가 필자에겐
하나의 당위적인 과제로 다가오기도... |
|
아래는 아직 공인된
내용이 아니므로 참고용 정도로 여겨주길... |
|
|
이제 한빛한글도 어느정도
막받이 단계에 접어 듯해
마무리 견지에서 이것저것 챙기다 문득 '모음'이란 말이 새삼스레... (이제
이쯤되면 필자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알게라.) |
|
|
그렇다. '모음'도 '모'와 <차려 ㅇ>이 가미된 '음'으로 구성되어있기에
2개의 글자를 하나의 글자로 구성... (사실, 그 부분에 대해선
여태(2025/02/14) 필자도 간과하고 있었다.) |
|
|
// 한빛
이기희는
어느 순간부터 <차려 ㅇ>로 겹모음을 구성하는게 하나의
당위적인 과제로 되어버렸... 사실, 의무감 너머에 참으로 위대한 면면이 깃들어 있단걸
필자는 새삼 깨닫게 된다. |
|
|
과제1
/ 과제2 / 과제3:'모음' |
|
// 그렇다. 한글을 창제할
그 당시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겹모음의 면면이 <차려
ㅇ>의 범주란 걸 깨닫았을 땐 필자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
|
|
|
|
|
가로 'ㅗ'
모음(母音) 아래에 'ㅡ'가로모음이 붙은 |
|
|
|
모[eu]
+ 음(eu)
-> [모음]
|
이란
글자는 어떻게 해서 생겨났나? |
|
|
|
|
|
먼저,
가로모음의 바탕이 겹쳐진 <가로'으'중 ( )>에
대해 알아보자: |
|
가로중모음(Horizontal Double Vowel): |
|
|
<가로중모음>이란 <세로모음이 가로모음과 결합되어
우선적으로 발음되는 모음>이다. - 한빛
이기희 |
|
|
|
|
아래
내용은 구글 검색창에 '겹모음'을 검색하니 한빛한글의 합성모음에 해당되는 내용을
소개하며 '가을'을 '가울'로 발음~~ ->
내용보기
<- 아래 내용 먼저 읽고... |
|
|
|
사실, 한빛 이기희는 "<차려 ㅇ>의 범주에 있는 것은 모두
하나의 글자로 담아내얀다"는 당위감에 사로잡혀있다. 그런 의식의 소유자인
필자가 구글 AI의 '가을'에 대한 겹모음 내용을 접하자니 <한빛한글>
글자체계에서 미처 다루지않았던 부분라 어찌나 당혹스럽던지 만사 제쳐두고 그 부분에
대해 요모조모 따져보며 해결책을 모색...
처음엔 '으' 모음을 바탕에 두고, (자꾸만
련상되는 가로*세로 합성모음에서 탈피하여, 뭔가 가물가물 아른거리기에 사알짝 나아가보니)
<가로중모음>
(사실, 요런 발상은 이미 한빛한글에 내재되어있었지만...)
더 나아가... 잠시 긴가민가하다가 어느 순간 <자음 명칭>에
대해 '아~, 요렇게 하면 되겠넹~!' 그렇게 쾌재를 외치며 도출해낸 것이...
=> <이으중모음>
|
|
|
 |
|
|
|
위
내용은 약간 얻어걸린듯한 - 물론 어느 정도 경지에 접어들어야 그러하겠지만 -
내용이지만 향후 획기적인 글자체계로 자리매김하겠기에 이것저것 두서없이 담아본다.
(사실, 요런조런 말 쓰는거조차... 행여 놓칠새라 이것저것 뒤새없이... 암튼
문지도 따지지도 말란 얘기다!) |
|
|
|
|
|
|
|
|
|
|
|
|
|
나아가
<가로중모음>은 <이으> 류형뿐만 아니라 '아으' '아우' 등
<세로모음 우선 순위 발음의 가로모음 합성>이 있다. |
|
|
|
 |
|
|
|
|
|
|
|
|
|
위처럼
같은 크기 - 시각적으론 가로모음이 크게 임
- 의 세로모음과 가로모음의 순차적 결합을 <가로중모음>이라 칭한다. //
<세로중모음>의 부류이지만 가로모음이 돋 여야겠기에
<가로중모음>이라 별칭했다. |
|
|
|
|
|
|
|
|
|
고음 -> |
|
|
|
|
고움
-> |
|
|
|
|
소음 -> |
|
|
|
|
치음 -> |
|
|
|
|
치움 -> |
|
|
|
|
키움 -> |
|
|
|
|
두음 -> |
|
|
|
|
|
|
|
|
|
포은 -> |
|
|
|
|
포운
-> |
|
|
|
|
|
|
|
|
|
아~,
방대한 작업이 또 필자를... <글자 프로그래밍>은 더욱 절실해지고... |
|
|
|
|
<창의적
발상>이 이토록 푸대접을 받으면서 자구책을 모색해얀단 말인가? |
|
|
|
|
모든
것에 티가 나는 Digital 세상에서 마냥 넋놓고 있을 일은 아닐진대... |
|
|
|
8억 이상의 온누리 글자 체계, <있는데 안쓰는거>와 <없어서 못쓰는거>는
급이 다르다.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