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Hanbit
한글에선
숫자
개정 견지에서 2중모음을 '니중모음'이라칸다.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
모음(Vowel)이란? |
|
☞
|
모음(母音): 혀나
입술의 끼침없이 나오는 목소리에
대한 하나의 표기
기호
<-
(hole)소리 |
= |
Vowel:
a vibrated speech sound produced without obstructing
the flow of throat-air from lips or teeth |
|
|
|
|
|
↙↓↘ |
|
|
|
|
|
by Hangle |
* |
<~ple>은
(소리) 접힘(풀) |
* |
<~gle>은
(소리)
엮임(글) |
* |
<~ble>은
(소리)
겹힘(배) |
|
* |
니중모음(Double
Vowels) -
Diphthong |
|
|
니중모음(double
vowel)이란 <시작 모음과 끝 모음이 다른 2개의
련속된 소리의 표기>이다. |
|
|
|
|
|
|
|
|
1) 겹모음(dual
vowel) |
|
|
|
|
2) 이겹모음(duple
vowel) |
|
|
|
|
3) 띠겹모음(bar
dual vowel) |
|
|
여기서 <2개의 련속된 소리>는
하나의 음소로 다뤄지지만, 각 언어마다 다르게 표기된다. |
|
|
특히, 한글에선 이러한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
|
|
☞ |
한글은
본디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 그리고 자음>으로 구성된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 글자>를 일컫는다. |
|
|
韓
<-
The Letter With
Boxes in
a Box |
|
|
<조화로운 완성의
'한[han]'>은 <하나(one)>로 귀결된다. |
☞ |
그런
견지에서 엔글의 니중모음(Double Vowel), 즉 한글의 겹모음도 <하나의
조화로운 완성 글자> 범주에서 다룬다. |
|
☞ |
위와 같은 겹성모음, 특히 점이 가미된 점겹모음은
깊원음의
태양자음에서 아주 깊어 Void O(자음)이 자리이동(locomotion),
즉 diphthong(겹성)의 음가를 지닌 작은 점(동그라미)의 겹모음으로
변하는, 즉 <2개의 글자가 하나>로 되는 모종의 절차(ceremony)를
지닌 <차려(cere)모음>으로
별칭한다. - 한빛
이기희 |
|
|
|
|
|
|
|
☞ |
(각
음소에 대한 구분은 각 언어의 표기방식에 따라 제각기 다르며,  어에
최적화된 한글은 그러한 부분들을 두루 아우른다. -
한빛
이기희 ) |
|
|
|
* |
엔글에선 Dual(겹모음)/Duple(이겹모음)
Vowels 개념이 Double
Vowels(니중모음)로
표현된다. |
|
|
|
// 엔글에선
2개의 소리를 하나의 모음 음소로 표기하는 복성단모음의
형태는 불가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에선
Dual Vowels 개념이 단성(monophthong)모음으로
취급된다. |
|
|
|
|
|
☞ |
각국의 언어는 모음을 어떻게 표기하느냐에 따라 단모음/니중모음,
단성모음/복성모음/복성단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
|
|
by Hangle |
* |
<~ple>은
(소리) 접힘(풀) |
* |
<~gle>은
(소리)
엮임(글) |
* |
<~ble>은
(소리)
겹힘(배) |
|
|
崔[추이/cui]
|
|
Cn |
|
* |
cui[추이]
: |
monophthong |
- 단성모음 |
Siingle Vowel |
|
|
|
|
|
Duple Vowel |
|
En |
|
* |
choi[초이]
: |
diphthong |
- 니중모음 |
Double Vowels |
|
Hn |
|
* |
cho[초]
+ i[이] : |
mono.
+ mono. |
- 니중모음 |
Two Vowels |
|
|
choi[ ]
: |
diphthong |
- 복성겹모음 |
Dual/Duple
Vowel |
|
|
|
|
|
(Double
Vowel) |
|
|
choi[최]
: |
monophthong |
- 단성겹모음 |
Simple Vowel |
|
|
|
|
|
Double Vowel |
|
|
|
|
- 합성모음 |
Compound V |
|
|
|
|
* |
겹모음(복성단모음)
- 한빛 이기희에
의해 창출된- 에 대한 개념은 한글의 범주에 있다. |
|
The concept of the dual/duple
vowel - created by LeeKH
- could be in the categroy of
Hangle |
|
|
|
|
* |
'최'에서 'ㅗ'와
'ㅣ'의 합성(compound)인 'ㅚ'는 주름/접힘이 없는(simple/single),
즉 단성모음(monophthong)에
해당된다. |
|
|
최 |
|
|
The vowel
'ㅚ' out of '최' is the combination of 'ㅗ[o]' and 'ㅣ[i], resulting into
being monophthonguised from diphthong, which could be in the category
of simple or single
vowel. |
|
|
|
|
|
|
|
|
|
이처럼
2개의 모음(two
vowels)은 니중모음과
겹모음,
단성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
|
|
또한
니중모음(Double
Vowels)은 겹모음,
이겹모음, 모음
등으로 구분된다.
|
|
|
|
|
|
|
|
|
|
|
|
|
|
|
|
2)
이겹모음(Duple Vowels) |
|
|
<ㅏ+ㅣ>가
합쳐져 ' '처럼
Hanbit
한글에선
세로모음에
'ㅣ[i]'
모음이 가미된 2중모음이 합성되어
홑(single)모음으로
표기되는 바, 이를
<'이'가
가미된 겹모음('i' dual
vowel)> 즉,
'이겹모음(Duple
Vowel)'이라칸다.
|
|
|
A
gliding sound begining with one vowel and with 'i' into
another within
the same syllable. ←
duplex
-> ple |
|
|
|
이
때의 '이'는 숫자
<이>가 아니라 한풀 꺾인
음소 'ㅣ'의
추가를 의미한다. ←
duplex
-> ple |
|
|
|
이러한
음소는 특히  어(漢字)
부분에서 유용하다. |
|
|
|
// 이겹모음은 겹모음의 한 부분이다. |
|
|
-> 이겹모음(Duple
Vowels) |
|
|
|
|
|
|
|
3)
모음(Duo
Vowels) |
|
|
Hanbit
한글에선
세로모음에
간결함을 위해, 즉 '오'나
'우' 음가의
경우
제한적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상*하 화살표
사용으로 2중모음이 합성되어 겹성단모음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
|
|
-> 모음(Duo
Vowels) |
|
|
|
|
|
|
|
|
|
|
|
|
|
한글엔
3중모음이 합성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세겹모음 |
|
|
|
|
|
|
...... |
|
|
|
|
-
한글 모음 구성 - |
|
모음은
<소리의 결(ple)>과
<표기의 짬(gle)>에
따라 아래처럼 구분되고,
한빛한글에선 점(dot)과 띠(bar)을
사용하여 <하나의
음소>로 담아낸다. -
한빛
이기희 |
|
|
|
|
↗ |
결(ple) |
↗ |
|
|
↘ |
|
↘ |

Han
|
↘ |
|
|
↗ |
|
h
a n e
d u |
↘ |
(gl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