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제 <차려 ㅇ>가 필자에겐
하나의 당위적인 과제로 다가오기도... |
|
아래는 아직 공인된
내용이 아니므로 참고용 정도로 여겨주길... |
|
|
이제 한빛한글도 어느정도
막받이 단계에 접어 듯해
마무리 견지에서 이것저것 챙기다 문득 '모음'이란 말이 새삼스레... (이제
이쯤되면 필자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알게라.) |
|
|
그렇다. '모음'도 '모'와 <차려 ㅇ>이 가미된 '음'으로 구성되어있기에 2개의 글자를
하나의 글자로 구성... (사실, 그 부분에 대해선 여태(2025/02/14)
필자도 간과하고 있었다.) |
|
|
// 한빛
이기희는
어느 순간부터 <차려 ㅇ>로 겹모음을 구성하는게 하나의
당위적인 과제로 되어버렸... 사실, 의무감 너머에 참으로 위대한 면면이 깃들어 있단걸
필자는 새삼 깨닫게 된다. |
|
|
과제1
/ 과제2 / 과제3:'모음' |
|
// 그렇다. 한글을 창제할
그 당시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겹모음의 면면이 <차려
ㅇ>의 범주란 걸 깨닫았을 땐 필자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
|
|
|
|
|
|
|
|
|
|
|
'으' 중모음('eu' Double Vowel): |
|
|
<'으'중모음>이란 가로모음이 가로모음
'으'에 붙어 순차적으로 발음되는 모음이다. - 한빛
이기희 |
|
|
|
|
|
|
아래처럼 '모음'도 '모'와 <차려
ㅇ>이 가미된 '음'으로 구성되어있기에 한빛한글에선 2개의 글자를 하나의
글자로 만들 수가 있다; 먼저 '모'라는 모음에 '음'의 초성자음인 'ㅇ', 즉 <차려
ㅇ>이 빠지고 'ㅁ' 받침이 붙은 'ㅡ'라는 음소를 붙이면 된다. 발음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즉 '모'를 먼저 발음하고, 그 다음에 'ㅡ' 발음을 하고 그리고 받침
'ㅁ'을 발음한다. 이처럼 2개의 발음이 띠모음 형태로 결합된 것을 중모음, 즉 엔글
<Double Vowel>에 해당된다. - 한빛
이기희 |
|
|
|
모[mo]
+ 음(eum)
-> [모음]
|
|
|
|
|
|
만약
'오으'가
결합되면 ' '처럼 기본모음의
결합인 <가로중모음>이
되고, '으오'와
같은 발음이면 가로모음
'ㅡ'에 점이 붙는, 즉 점겹모음 ' '처럼
발음되는데, 이처럼 <점이 기본모음 상*하/좌*우에
가미되어 발음 순서가 배정된 음소를 겹모음(Dual
Vowel)>이란칸다. -
한빛
이기희 |
|
이처럼
<띠나 점이 첨가되어 발음순서가 구분되는 겹모음(Dual
Vowel)>과 <기본모음이 결합되어 2개의 발음을 지닌 중모음(Double
Vowel)>으로 구분된다. - 한빛
이기희 |
|
|
|
|
|
|
|
(사실,
필자는 모음 음소가 자꾸 늘어나는거에 부담스럽 기조차
하다. 하지만 <차려 ㅇ>의 - 기본
모음의 적절한 -
조합으로 일관된 흐름의 모음 음소 맥락이 도출되는걸 필자는 당위적인
과제로 기꺼이 받아들이련다. |
|
|
어쩌면
<전 지구인들에게 각자 고유한 글자가 주어질 수도 있으리라>
한빛 이기희는 그렇게 가능성을 타진해 다. |
|
|
또 아래처럼 '드움'도 '드'와 <차려
ㅇ>이 가미된 '움'로 구성되어있기에 2개의 글자를 하나의 글자로 구성하려면
'드'라는 바탕모음에
<차려 ㅇ>이 빠지면서 'ㅜㅁ' 음소가 결이 있는, 즉 시작과 끝이 다른
중모음 형태인 ' '처럼
하면 된다. |
|
|
|
드(deu)
+ 움[um]
-> [드움]
|
|
|
|
|
|
위처럼
<기본모음의 결합>인 ' [으우]'는
중모음(Double
Vowel)에 해당되고, <가로모음
'ㅡ' 아래에 점이 붙어 ' '처럼
발음 우선순위가 배정된 음소>를
겹모음(Dual
Vowel)이란칸다. |
|
이처럼
<띠나 점이 가미되어 발음순서가 구분되는 겹모음(Dual
Vowel)>과 <기본모음이 결합되어 2개의 발음을 지닌
중모음(Double Vowel)>으로
구분된다. -
한빛
이기희 |
|
|
|
|
|
|
(새삼
겹모음이 가미된 '[드오]'라는
글자가...) |
|
|
|
위에서
았듯이
<기본모음의 적절한 조합으로 초인류(preterhuman) 글자체계를
지닌 것이 바로 한글이다. 그리고 한빛 이기희는 그러한 면을 <글자
프로그래밍>을 통해 현시한다. |
|
|
|
|
|
나아가
<가로으중모음>은 <이으> 류형뿐만 아니라 '아으' '아우'
등 <세로모음 우선 순위 발음의 가로모음 합성>이 있다. |
|
|
|
|
|
|
|
 |
|
|
위처럼
같은 크기 - 시각적으론 가로모음이 크게 임
- 의 세로모음과 가로모음의 순차적 결합을 <가로중모음>이라
칭한다. // <세로중모음>의 부류이지만
가로모음이 돋 여야겠기에
<가로중모음>이라 별칭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