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
|
아래는
한빛 이기희가 새로이 제시하는, 엔글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부분을 한글에 포괄적으로 접목시킨
어법으로, 아직 공인된 내용도 아니거니와 기존 어법과 혼재되기에 필자도 많이 고심했지만
이러한 부류의 어법을 비중있게 다룰 필요도 있다고 여겨져 미흡한 점 뒤로 한 채 나서봅니다.
|
| |
// |
미합한 부분이 많아 없었던 것으로
할까 고민하다... 언젠간 누군가... |
| |
부디
한글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견지에서 필자를 옥죄는 경지로까진 몰아가잖길 당부합니다. |
|
|
|
| |
먼저
아래 어법에 대한 내용을 파악... |
| |
| 명사화
접미사(Nominalization Suffix) Vs 명사형 전성어미(Nominalization
Ending) |
|
| |
|
|
| |
cf) |
명사화
접미사(Nominalization Suffix)란?
<= 파생명사 |
| |
|
☞ |
동사나 형용사에서 명사화되어 술어의 기능을 상실한 명사로
만드는 ~ㅁ/음:
|
| |
|
|
-> |
목적어나 보어를 가지지 않고 또한 부사의 수식도 못받음 |
| |
|
|
-> |
한정적 용법의 형용사는 올수있다. |
| |
|
|
|
ex) |
큰 웃음 |
| |
cf) |
명사형
전성 어미(Nominal Inflection)란?
<= |
| |
|
☞ |
동사나 형용사에서 서술적 기능이 전성된 명사로 해주는 ~ㅁ/음:
|
| |
|
|
-> |
목적어나 보어를 가지거나 부사의 수식도 받음 |
| |
|
|
-> |
한정적 용법의 형용사는 올수없다. |
| |
|
|
|
ex) |
크게 웃음 |
| |
|
|
|
|
그녀가 웃음 |
| |
|
|
|
|
그녀와 웃음 |
| |
# |
|
| |
|
☞ |
엔글에서 동족목적어와 연계하면 게
이해 |
| |
|
|
* |
She smiled a bright
smile. |
| |
|
|
|
그녀는 환한 웃음을
웃었다. |
| |
|
|
|
그녀는 환한 미소를
지었다. |
| |
|
|
|
-> |
Smiling a bright
smile |
| |
|
|
|
|
환한 웃음을
웃음 |
| |
|
|
|
|
환한 미소를
지음 |
| |
|
-> |
앞의 '환한
웃음'에서
'웃음'은
이미 명사화되어 서술적 기능어가 오지 못함: |
| |
|
| |
☞ |
'명사화
접미사(Nominalization Suffix)'와 '명사형 전성어미(Nominalization Ending)'는 |
|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
|
| |
|
| |
|
|
-> |
환하게
웃는거(quasing) / 웃기(용언의
명사화:suffix) |
| |
|
|
|
|
| |
준동사화(파생명사화): |
| |
| |
<동사
자질을 지닌 품사가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용되는거>를 일컫으며, '꿔다'의 맥락으로 엔글로 Quasing이라고
한빛 이기희가 별칭하여 한글어법에 도입한 것임. |
| |
|
엔글 to-부정사,
동명사, (현재/과거)분사가 준동사 범주에
있고, 한글에선 <용언의 활용> 맥락에서 다룬다. |
| |
|
|
엔글 |
| |
|
|
|
1) 명사의
기능: |
| |
|
|
|
|
~ㅁ, ~기,
~거... |
| |
|
|
|
|
|
|
| |
|
|
|
2) 형용사의
기능: |
| |
|
|
|
|
~ㄴ, ~는,
~ㄹ |
| |
|
|
|
|
|
|
| |
|
|
|
3)
부사의 기능: |
| |
|
|
|
|
? |
| |
|
|
|
|
|
|
| |
| |
|
현재 |
|
미래 |
어간 받침 |
| |
강조미래 |
~다 |
=> |
~乙것이다
~乙거다
- 약한 추측 가미 |
<- 없는 경우 |
| |
~다 |
=> |
~ 것이다
~ 거다
- 약한 추측 가미 |
<- 있는 경우 |
| |
-> 미래시제 |
It is sure/true that s will
~ |
| |
|
이 때의 '것'은 의존명사라기보단 준동사화된거로
간주되어 미래 강조의 '~乙'과
'것'은 붙여쓴다. |
| |
|
cf) |
'~거'는
엔글 to-inf 또는 약한 추측에 많이 쓰인다. |
|
* |
그는 여기 올거야. |
| |
|
He may be here. |
|
* |
나는 여기서 먹 거야. //
'붙여쓰기 |
| |
|
I intend to eat here. |
|
|
-> |
~거/去/to-inf
둘러보기
|
|
|
-> |
~거(의존명사)
둘러보기
|
|
| |
|
만약 '~것'이
관계대명사로 쓰이면 미래 한정 조사 '~乙'과
'것'은 띄워쓴다. 왜냐면 이 때의 '것'은 의존명사이므로 ->
의존명사 ~것 |
| |
|
| cf) |
'~乙때'의
'때'도 의존명사일 경우엔 띄어쓰고, 준동사화되면 미래의 '~乙'과
'때'를 붙여쓰기도... //
어형변화도... |
|
* |
우리는 멈춰야
때를 잘 알아얀다. |
|
* |
우리는 멈춰얄
때를 잘 알아얀다. |
| |
|
We should well-know
the time that we should stop. |
|
|
cf) |
대상
+ to-inf 일 경우 띄워씀이 원칙: the time |
|
* |
우리는 멈
때를 잘 알아얀다. |
| |
|
We should well-know
the time to stop. |
|
|
cf) |
<대상
+ to-inf>를 하나의 덩어리로 보면 붙여쓸수도
있다. |
|
= |
우리는 멈 때를
잘 알아얀다. |
| |
|
We should well-know
the time to stop. |
| |
|
|
|
* |
It's time to say good-bye. |
| |
|
// |
| |
|
|
|
* |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할
시간~ 다음에 또 만나요~ |
|
* |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얄
시간~ 다음에 또 만나요~ |
| |
|
// |
|
|
|
|
| |
-
준동사화 류형 - |
| |
|
|
|
|
| |
|
| |
|
|
|
|
|
|
|
|
|
☞
 어에선
'去 '를 어떻게 발음하는가? -> Go |
|
|
|
|
| |
|
|
|
|
|
|
|
| ☞
|
En:
'to + √v'가
다양한 유형으로 쓰임 -> 문장성분과 문맥에
따라 구분된다. |
| ☞
|
Hn:
각각의 용법에 따라 해석이 다르게 표현되므로 직관적이라
할수있다. |
|
|
|
|
|
|
|
|
↘↓↙ |
|
| |
Hangle
대표 이기희는
'~거'와 '~것'에
대해 아래처럼 일정부분 구분코자한다. |
| |
☞ |
사물(thing),
강조(It ~ that)의 의존명사 '~것'
: -> '~것'
둘러보기 |
| |
☞ |
준동사(to-inf/v-ing)와
추측의 의존명사 '~거' : ->
'~거'
둘러보기 |
| |
|
준동사(to-inf/v-ing)와
추측의 의존명사 '~거이'
-> 게 -> 꺼 ↑ |
|
|
| |
Hangle
대표 이기희는
의존명사의 준동사화에따라 '~는/ㄴ/乙거'를
붙여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