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 한글 Eduin Hangle

강사 소개
강좌 안내
수강 신청 안내
학습 진행 안내
한글 관련 문의
Top Collection
 
- beV to-inf 특별용법 -
 
 

저작권에 대하여
©2018 한글(Hangle)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이곳은 아직 공인된 내용이 아니어서 기존의 한글어법과 많이 다니다. 하지만 이 부분 만큼은 반드시 바루어져야고 즉각 도입되어야겠기에  이기희 가 선도적으로 나서봅니다. 아래 내용에 적응하자면 얼마간의 어색함이 따르겠지만 보다 명확한 어법 - 사실, 필자는 이 부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했고, <이 '~거'라는 한글 어법과 엔글 'to-inf' 어법이 궤를 같이한다>는 결론에 니름 - 을 위한 과정이라 여기시고 부디 필자를 옥죄는 경지로까진 몰아가지않기를 간곡히 당부합니다. -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
 
 
 
먼저 '부정사'가 어떤 것인지 알고...
 
   
: 부정사(Infinitive)
 
 
      
-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서 '~ㄴ'와 beV to-inf 특별용법에 대하여 -
 

저작권에 대하여
©2018 한글(Hangle)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엔글 <to-inf>에 대한 한글 '~ㄴ' 쓰임 구분 -
 

저작권에 대하여
©2018 한글(Hangle)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류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1)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ㄴ
   
* 보 믿다.
   
= To see is to believe.
   
문맥상 붙여야하는 to-inf의 '~'    -> '~는거' 둘러보기
   
* 그의 취미는 수영하야. 
   
= His hobby is to swim.
   
cf) 그는 수영하야. (?)
     
// 위 문장은 과연...
     
  <-
'그 수영하야' 처럼 띄어쓰면 'the thing'의 의미가 되므로 문맥상 오류.
  <-
'그 수영하야' 처럼 붙여쓰ㅓ도 주어와 보어가 어울리지않으므로 문맥상 오류.
     
  <-
' 좋은 방법은 수영하야' 처럼 띄어쓰면 전*후 맥락에 따라 모종의 강조 형식이 된다.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The best way is that he tries/chooses to swim.
  <-
' 좋은 방법은 수영하야' 처럼 띄어쓰ㅓ도 전*후 맥락에 따라 to-inf가 개입되는 모종의 강조 형식이 된다. (여기서 '그'는 의미상 주어)
   
The best way is for him to swim.
   
( '~는거'는 '~는 것'보다 외연(外延)의 폭이 좁아진다. 다시말해, <당위의 should> 개념으로 이끌려진다. 즉, <시도>나 <선택>의 뜻과 멀어진단 얘기다. - by 이기희
   
 
derived by Hanbit LeeKH  
 
' 좋은 방법은 그 수영하야'    - spaced
 
In English, the above rule could be adopted, too. That is, these two sentences could have more verbal aspects:
 
' 좋은 방법은 그 수영하야'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The best way is that he tries/chooses to swim.
 
And in case of the below, the meaning would be contracted to 'should' in relation with <to-inf>.
 
' 좋은 방법은 그 수영하야'
 
The best way is for him to swim.
 
The best way is that he should swim.
  <-
'그 수영하야' 처럼 붙여쓰면 <to-inf에 호응하는 전*후 맥락의 구문이 필요>하므로 문맥상 오류
  //
'그 수영하좋지' 처럼 <전*후 맥락의 구문이 도입>되면 의미상의 주어가 가미된 to-inf 구문이 된다.
   
  //
위처럼 '~ㄴ거'라는 구문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다. 특히 엔글에서 <beV + to-inf> 구문으로 다루는 <예정*의무*가능*의도*운명> 등의 구문이 한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있다. // 아~ 어쩜 한글과 엔글이 이토록 를 같이하는지!
 

- 한글에 가미된 엔글 beV to-inf 특별용법 - by 이기희
    ->
He is to swim   
    //
위의 문장은 아래 'beV to-부정사'와 맥을 같이한다.
   
 #
beV to-inf의 특별용법: 예정, 의무, 가능, 의도, 운명
 
*
그는 수영할거다.
He is going to swim.
 
*
그는 수영해얀다.
He has to swim.
 
*
그는 수영할수있다.
He is able to swim.
 
*
그는 수영하련다.
He intends to swim.
 
*
그는 수영하게돼있다.
He is destined to swim.
   
cf)
~거든 -> If you are to-inf = 예정
  ex)
조금 있다가 할거거든
cf)
~거든 -> If you are to-inf = 의도: ~려거든
  ex)
'가든 울지말아요' - '떠나는 님아' by 오승근
   
 
//
어쩜 이렇게 한글과 엔글에서 의미가 통하도록 돼있는지...!
     
// '자, 이젠 가는야'처럼 여러가지 뜻을 담는야: 자이젠(zaigen)

한글 어법에 녹아 < beV to-inf> 특별용법 례제 - by 이기희
 
엔글 <to-inf>와 련계되는 <예정*의도*가능*의무*운명>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은 이제 <~ㄹ거>로 한정되고, 붙여쓴다. // 이같은 경우 띄어쓰면 문맥상 오류가 된다.
 
*
(너, 내일 거기) 갈거니?
   
<-
'~거' 구문은 엔글 <to-inf> 구문과 련계된다. 즉,
 
Are you going to go there tomorrow?
 
Do you have the intention to go there tomorrow?
<-
'~거' 구문은 편이에 따른 현대적 어법의 도입으로, 엔글(Engle)과 맥을 같이 한다.
   
사실, 필자는 한글 곳곳에 드리워진 어법상 오류에 어찌나 안타까운지... 이따금 나라에 녹을 받아먹는 한글 관련 국가기관 종사자들에게... 차마 더이상...
   
*
(너, 내일 거기) 갈 거니? (×)
띄어서 오류
*
(너, 내일 거기) 갈 것이니? (×)
'~것'이 대상화를 나타내므로 문맥상 오류
 
*
(너, 내일 거기) 갈거면 미리 준비해둬라.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 - 붙여쓰기
*
(싫어. 난 내일 거기) 안갈거야.
 
갈 거야. (×) <- 띄어서...
 
갈 것이야. (×) <- 대상화...
 
*
갈거야.
 
*
안갈거면,
 
*
잘거면,
 
*
안잘거면,
 
 
*
엔글에서 <beV + to-inf>가 <예정*의도*가능*의무*운명>의 뜻을 나타내듯이 한글도 그러한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가 참 많다. 예를 들자면,
 
<요리왕 비룡>의 주제곡에서 <우리의 꿈 최고의 꿈 반드시 이룰거야>란 부분에서 '~ㄹ거'도 <예정*의도*가능>이 복합적으로 담겨있다.
    <요리왕 비룡>의 주제곡
    가려 - <떠나는 님아(오승근)>
 
그렇다. 한글과 엔글엔 궤를 같이 하는 부분이 참 많다. 다만 우리는 그러한 부분을 그냥 지나쳐왔을 뿐이다. 이제부턴 이기희가 제시하는 위와 같은 맥락의 <~거>라는 쓰임에 대해 새삼 되새겨보길 바란다.
 
 
HanEdu 필자 이기희는 '~거'와 '~것'에 대해 일정부분 구분코자한다.
 
사물(thing), 강조(It ~ that)의 의존명사 '~' :    -> '~것' 둘러보기
 
준동사(to-inf/v-ing)와 추측의 의존명사 '~' :    -> '~거' 둘러보기
   
준동사(to-inf/v-ing)와 추측의 의존명사 '~거이' -> 게 -> 꺼
 
HanEdu 필자 이기희는 의존명사의 준동사화에따라 '~//'를 붙여쓴다.
 
준동사 적용 례제

Learning Hangle
 
 환영하니다
 개정 알림>Go
 To Gov.
 inspire/엥김
한글 장점
Go
 가로/세로/H*V
 클론 → 글자
 프로그램 글자
한글 특강
Go
 겹모음/Dual V.
 Flex 모든 것
 '하->해'
 Expression
 With En/Hn
 Hangle 게시판
- Ast/Astra -
 무거래 사업 incolkh@gmail.com
 ㅅ:뵬 호우어진 곳에 하우어서 ㅁ(Home)하다  전화 대용 e-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