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빛(HanBit) |
|
|
표준
발음법(The Standard Phonetic Method of Hangle) |
|
|
|
제 2 부 표준 발음법 |
|
|
제1장 |
총칙: |
|
|
|
제1항 |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한글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
|
|
|
|
|
|
|
한빛
이기희가
제시하는 한글(Hangle)엔
6억이
넘는 글자들이 있다;
한글은 기본적으로 14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먼저, 자음엔 14개의 기본 자음에다
乙(r), ∀(v), ス(j), (f)라는
4개의 자음이 추가되어 18개의 낱자음이
있다. 또한 18개의 낱자음이 합성된 324개의 겹자음을
합쳐 342개의 자음이
있다.
다음, 모음은 크게
점모음(Dot
Vowel) 과 가로모음
그리고 세로모음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하 / 좌*우에 1개 또는 2개의 막대가 붙은 띠모음(Bar
Vowel)이 기본모음(가로(5)
& 세로(5))이다. 또한 상*하 / 좌*우에 1개 또는 2개의 점이
붙어 우선순위를 가늠하는 겹모음(Dual
Vowel))이 있고, 세로모음을 둥글게하는 둘레모음과
'ㅣ[i]' 추가인 이겹모음
그리고 바탕모음인 띠겹모음,
가로이겹모음,
가로이세겹모음
그리고 네겹모음 등 가로 75, 세로 74 도합 149개의
낱모음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로모음과 세로모음이 결합된
5550개의 합성모음(bar
합성모음, dot 합성모음, 둘레합성모음 그리고 이겹합성모음) 등 총
5699개의
모음이
있다.
그러한 자음과 모음이 초성*중성(TM) 형태로 194,9058개의
글자를 형성하고, 초성*중성*종성(TMB) 형태로 6,6657,7836개의
글자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한글엔 총 6,6852,6894개의
TM 유형과 TMB 유형의 글자들이 있고, 한빛
이기희는
<테이블 태그를 이용한 모음> 유형에다
<변수 형태의 자음>을
도입 -> 프로그래밍하여 그 초인류(preterhuman)
글자들을 보여준다. |
|
|
|
|
|
|
|
|
|
제2장 |
자음과
모음 |
|
|
|
제2항 |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
|
|
|
|
표준어의 자음은 아래처럼 분류된다. |
|
|
|
|
|
=>
자음(Consonant) |
|
|
|
|
|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
|
|
|
|
|
|
1. |
단순자음: ㄱ, ㄴ, ㄷ, ㄹ, 乙,
ㅁ, ㅂ, ∀,
ㅇ,
ㅅ, ㅈ, ㅈ,
ㅊ, ㅋ, ㅌ, ㅍ, ㅍ,
ㅎ // 순서
변화: ㅇ,
ㅅ
|
|
|
|
|
|
|
|
|
|
|
2. |
추가자음: ㄱ,
ㄴ, ㄷ, ㄹ, 乙,
ㅁ, ㅂ, ∀,
ㅇ, ㅅ,
ㅈ, ,
ㅊ, ㅋ, ㅌ, ㅍ, ,
ㅎ
// 4개 |
|
|
|
|
3. |
겹자음(Dual
Consonants): ,
,
,
....
...
...
// |
|
|
|
|
|
-> 겹자음(Dual
Consonants) |
|
|
|
|
4. |
Fortis(된소리:경음):
ㄲ, ,
ㄸ, ....ㅃ
... ㅆ ... ㅉ ...
// [뽀乙티스]
// 명칭도 엔글식으로 변경 |
|
|
|
|
|
|
|
|
|
|
|
|
|
제3항 |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
|
|
|
|
|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
|
|
|
|
|
|
표준어의 모음은
아래처럼 분류된다. =>
모음(Vowel) |
|
|
|
|
|
|
|
|
|
|
|
|
|
|
|
이를 도표화하면
아래와 같다. |
|
|
|
|
|
|
|
15 |
|
|
50 |
|
|
=> Arae
o
19 |
|
|
10 |
|
|
12 |
|
|
12 |
|
|
72 |
|
|
120 |
|
|
19 |
|
|
10 |
|
|
12 |
|
|
12 |
|
|
72 |
|
|
120 |
|
|
144 |
|
이겹모음(Duple Vowels)
- Simple |
|
|
|
5 |
|
|
2 |
|
|
2 |
|
이겹모음(Duple Vowels)
- Compound |
|
|
|
|
|
|
|
|
|
171 |
|
...... |
|
|
cf) |
가로모음도
아래처럼 추가 |
|
♣ |
띠겹모음(가로)
: [oa],
[o∂],
[ua],
[u∂]
|
|
♣ |
가로이겹모음
: [oi],
[io],
[ui],
[iu] |
|
♣ |
가로세겹모음
: [oai],
[o∂i],
[uai],
[u∂i] |
|
|
가로세겹모음
: [ojai]
, [oj∂i],
[ujai],
[uj∂i]
- 활음 |
|
♣ |
가로네겹모음
: [oaia],
[o∂i∂]'
, [uaia],
[u∂i∂] |
|
|
가로네겹모음 :
[oai∂]
/ [o∂ia]'
/ [uai∂]
/ [u∂ia] |
|
|
가로네겹모음 :[ojai∂]
/ [oj∂ia]'
/ [ujai∂]
/ [uj∂ia] |
|
|
|
|
|
|
|
* Mid Vowels: => 1727 |
|
TM |
* Top Consonant:
342 |
|
|
* Mid Vowels: 1727 |
|
|
|
|
TMB |
* Top Consonant:
342 |
|
|
* Mid Vowels: 1727 |
|
|
* Bottom Consonants:
342 |
|
|
|
|
|
|
|
|
|
|
|
|
|
|
|
제4항 |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
|
|
|
|
[붙임] |
‘ㅚ, ㅟ’는 니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
|
|
|
|
|
|
|
제4_1항 |
위의 합성모음은
2개 이상의 모음이 하나의 음절로 결합된 단성모음, 즉 monophthong에 해당되는 것으로, 합성모음과 둘레모음으로
나뉜다. |
|
|
|
|
1 |
단모음 |
|
|
|
|
|
☞ |
합성모음의 단성모음과 복성모음(Dophthong)은
구분된다. |
|
* |
단성모음/단모음: 오아 ->
와, 우어 -> 워 |
* |
복성모음/복모음: 오아 ->
오아, 우어 -> 우어 |
|
|
|
|
|
|
|
|
* |
겹세로모음: 아이 -> 애, 어이 -> 에, 와 ->
왜, 워 -> 웨 |
|
=> |
둘레소리(UmLaut:움라우트):
자팡이 -> 지팽이(a
(walking) stick; a cane), |
|
|
|
|
|
|
|
|
제4_2항 |
2개 이상의
모음이 하나의 음절로 결합된 복성단모음(diphthong)에 해당되는 것으로, '아래 ㅇ'가 붙은 겹모음(Dual
Vowels)과 이겹모음(Duple Vowels)이 있다. |
|
|
|
|
2. |
겹모음(Dual Vowels)은 2개의 모음이 연이어 나는 소리로,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아래 ㅇ'가 붙은 모음이다. |
|
|
|
|
|
-> |
'아래
ㅇ' 둘러보기 |
|
우의
원리가 배어있는 달
모음, 'Luna
ㆍ ' |
|
|
|
|
Dual Vowels
with Priority, Luna Vowel |
|
|
|
|
|
|
|
|
|
* |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겹모음(Dual Vowels) |
|
|
|
|
|
|
|
|
|
3. |
이겹모음(Duple Vowels)은
'ㅣ[i]' 모음이 가미된 2중모음을 합성하여 단모음으로 표기되는 모음이다. |
|
|
|
|
|
|
|
|
|
|
4. |
추가모음 |
|
|
|
|
|
|
|
|
|
|
|
|
|
|
제5항 |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
|
|
|
|
|
|
|
제5항 |
위의 복합모음(diphthong)은
음운축약의 일종으로, 본래의 음으로 환원될 수도 있지만, 그 자체로는 2중모음과 구분된다. |
|
|
|
|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
|
가지어→가[가저]
찌어→?[쩌]
다치어→다[다처]
-> 겹모음 |
|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
|
|
|
|
|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
|
계집[계ː집/게ː집]
시계[시계/시게](時計)
몌별[몌별/메별](袂別)
혜택[혜ː택/헤ː택](惠澤)
|
계시다[계ː시다/게ː시다]
연계[연계/연게](連繫)
개폐[개폐/개페](開閉)
지혜[지혜/지헤](智慧) |
|
|
|
|
|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
|
늴리리
|
큼
|
무늬
|
띄어쓰기
|
씌어 |
|
틔어
|
희어
|
희떱다
|
희망
|
유희 |
|
|
|
|
|
다만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
주의[주의/주이]
우리의[우리의/우리에]
|
협의[혀/혀비]
강의의[강ː의의/강ː이에] |
|
|
|
|
|
|
|
제3장 |
음의
길이 |
|
|
|
제6항 |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
|
제6항 |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는 단어도 있다. |
|
|
|
|
|
(1) |
눈보라[눈ː보라]
많다[만ː타] |
말씨[말ː씨]
멀리[멀ː리] |
밤나무[밤ː나무]
-> 나무[ː나무]
벌리다[벌ː리다] |
(2) |
첫눈[천눈]
수많이[수ː마니] |
참말[참말]
눈멀다[눈멀다] |
쌍동밤[쌍동밤]
-> 쌍동[쌍동]
떠벌리다[떠벌리다] |
|
|
|
|
|
|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단어들 |
|
|
|
|
|
|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
|
반신반의[반ː신 바ː늬/반ː신
바ː니]
|
재삼재사[재ː삼 재ː사] |
|
|
|
|
|
[붙임]
|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소리로 발음한다. |
|
|
보아 → 봐[봐ː]
두어 → 둬[둬ː]
|
기어 → 겨[겨ː]
하여 → 해[해ː]
|
되어 → 돼[돼ː]
|
|
|
|
|
|
다만.
‘오아 → 와, 지어 → 져, 찌어 → 쪄, 치어 → 쳐’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
|
|
|
|
|
|
|
제7항 |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짧게 발음한다. |
|
|
|
제7항 |
받침이 겹자음이고 뒷말이 자음일 경우: 그대로 쓰되, 길게 발음되고, 앞말 끝자음이 뒷자음을 닮아 fortis화된다. |
|
|
|
|
받침이 겹자음이고
뒷말이 자음일 경우: 받침 앞 자음은 그대로 쓰되, 길게 발음되고, 앞말 끝자음이 뒷자음을 닮아 fortis된다.
-> 받침 겹자음 |
|
|
|
|
(단
유동받침자음인 'ㄹ~' 겹자음의 경우 'ㄹ'은 독립적 음소로 되고 '~'자음은 void 음소인 'ㅇ'과 결부된다)
|
|
|
|
|
|
|
긁다[극ː따] ― 긁으면[글그면]
|
|
|
|
긁다[그ㄹ윽ː다]
― 긁으면[그ㄹ그면]
|
닦달[닥ː딸] |
|
|
밟다[밥ː따] ― 밟으면[발브면]
|
|
|
|
밟다[바ㄹ압ː다]
― 밟으면[바ㄹ브면]
|
|
|
|
|
// 만약 '닥달'이라면 fortis 배제 |
|
|
|
|
|
|
cf) |
만약
받침겹자음의 뒷자음이 탈락되면 뒤따르는 자음을 닮아 fortis로
표기되고, 짧게 발음 |
|
|
짧다[짤ː 따] -> 짧다란 ->
짤따란 |
|
|
|
짧다[짜ㄹ압ː 다] ->
짧다란
-> 짜ㄹ압다란 |
|
|
|
|
|
|
받침이 겹자음이고
뒷말이 모음일 경우: 그대로 쓰되, 짧게 발음되고, 앞말 끝자음이 뒷자음으로 발음된다. //
물흐르듯 ... |
|
|
|
|
|
|
밟다[밥ː따] ― 밟으면[발브면] |
|
|
|
밟다[바ㄹ압ː다]
― 밟으면[바ㄹ브면] |
|
|
|
|
|
|
|
|
cf) |
Hidden
'ㅎ'을 지닌 받침자음의 경우
뒤따르는 음이 자음일 경우 장모음화 |
|
신다[신ː따]
― 신어[시너] |
=> '신라'
둘러보기 |
|
|
감다[감ː따]
― 감으니[가므니]
|
|
|
|
|
|
|
|
|
|
받침
'ㄹ'은 류동적
음소에 해당되므로 뒷음이
자음이더라도 그대로 발음. |
|
|
끌다[끌ː다] ― 끌어[끄ː러]
벌다[벌ː다] ― 벌어[버ː러] |
썰다[썰ː다] ― 썰어[써ː러] |
|
|
|
cf) 떫다[떨ː따] ― 떫은[떨ː븐] |
|
|
|
|
|
|
|
받침이
'ㅂ+ㅅ'인 경우, 활용(Conjugation)될 때,
뒷음이 자음이면
fortis 유형을 따르고, 뒷음이
모음이면 flex
연음(ㅅ) 유형을 따른다. ->
상세보기 |
|
|
없다[업ː따] ― 없으니[업ː쓰니]
없다[업ː따] ― 없으니[업ː스니]
|
//
없애다[업ː새다] |
|
|
|
|
|
|
2. |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 |
cf) |
받침이
겹자음이고 뒤따르는 음이 'ㅎ'일 경우 Aspirate된다.
// 기본적인 규칙에 충실하라: |
|
감다[감ː따]
― 감기다[감기다]
밟다[밥ː따] ― 밟히다[발피다]
|
꼬다[꼬ː다] ― 꼬이다[꼬이다]
|
|
|
|
|
|
|
|
|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이다. |
|
|
끌다[끌ː다]
― 끌어[끄ː러]
없애다[업ː쌔다]
|
벌리다[벌ː리다] |
|
|
|
|
|
[붙임]
|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에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
|
|
밀-물 |
썰-물
|
쏜-살-같이
|
작은-아버지 |
|
|
|
|
|
|
|
|
|
|
|
|
제4장 |
받침의 발음: //
HanEdu는
'받침발음' 부분을 따로 '연음법칙'이라고 한다. |
|
|
|
제8항 |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 개 자음만 발음한다.
|
|
|
|
|
받침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와 'AsTis'
규칙에 따른 받침 'ㅋ, ㅌ, ㅍ' 그리고 hidden 'ㅎ'으로 발음한다 =>
받침자음 |
|
|
|
|
|
|
받침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ng]'과 ㅅ, ㅈ,
ㅊ, ㅋ, ㅌ, ㅍ, ㅎ |
|
|
추가자음:
乙 /
∀ / ㅈ /
|
|
|
'받침
'乙'은 |
미래
시제를 이끄는 음소로 쓰인다. →
미래시제 |
|
|
ex)
옷과: otgwa, 옷에: otse |
|
|
|
'ㅌ'과
결합되어 |
뒷음을
fortis로 이끌지않는 렉스(flex)
ㅅ <-
flex
|
|
//
앞받침: ㅌ |
ex)
옷과: otgwa, 옷에: otse |
|
뒷음을
fortis화로 이끄는 ㅈ,
ㅊ <-
구개음화 |
|
//
앞받침: ㄷ |
ex)
옷과: odggwa, 걀? odze |
|
|
|
//
앞받침: ㅌ |
ex)
옻과: otggwa, 옻에: ottse |
'ㄱ'
+ 'ㅎ' |
aspirated화
된 ㅋ, ㅌ, ㅍ |
'ㄷ'
+ 'ㅎ' |
aspirated화
된ㅋ, ㅌ,
ㅍ AsTis↓ |
'ㅂ'
+ 'ㅎ' |
aspirated화
된ㅋ, ㅌ, ㅍ |
hidden
'h'로 |
뒷음을
aspirated화로
이끄는 ㅎ |
|
|
|
|
☞ |
받침
'ㄷ/ㅌ'은 뒤따르는 음의 변화에 따라 결정 |
|
|
뒤따르는
음이 fortis 'ㄸ'이면 -> 받침 'ㄷ' -> 구개음 |
|
|
뒤따르는
음이 치음 '츠'이면 -> 받침 'ㅌ' -> 기음화 |
|
|
|
|
|
fortis[ㄲ,
ㄸ, ㅃ, ㅆ, ㅉ]은 |
|
단순받침자음[ㄱ,
ㄷ, ㅂ]과 뒷음을
fortis화 |
|
|
|
fortis[ㄲ,
ㄸ, ㅃ, ㅆ, ㅉ]는 //
'double flex' |
|
강세
지닌 받침자음[ㅌ]과 뒷음을
fortis화 |
|
|
|
|
|
|
|
|
|
|
☞ |
짧은
앞 강세의 '사소리'
Pattern에 해당하는 엔글 fortis
표기 -
©
한글(Hangle) |
|
* |
한글에서
comma'의 fortis 'mm'은 균형강세인 '콤마'가 아니라 앞 강세인
'콤마'로 읽음. |
|
|
즉, |
한글에선 근본적으로'[아
-> 콤마],
[어乙->
섬머乙],
[어乙->
햄머乙]'
처럼 앞말 받침에 Fortis 자음으로 하고 뒷음을
Void 자음으로 접근했다가 fortis 자음 하나가 뒤로 이동한거로 간주한다. //
앞 강세가 주어진다. |
|
|
|
ex) summer: [섬머ㄹ],
hammer[햄머ㄹ] => 콤마(comma)
|
|
|
|
|
'middle'의 fortis 'dd'는 Sait에서
다뤘듯 '믿들'처럼 표기하여 [믿뜰]처럼 읽는게 아니라 '밋들'처럼 Flex로 표기하여 [밑들]처럼
읽는다. 요즘은 엔글식의 짧은 앞강세인 '미들'이 아닌 균형강세
아니면 뒷강세인 '미들/미들'로 흔히 읽는다. |
|
* |
엔글에선
comma'의 fortis 'mm'은 균형강세인 '콤마'가 아니라 짧은 앞 강세인
'코마->카머'로
읽음. |
|
|
즉, |
엔글에선 근본적으로'[아
-> 콤마
-> 코마
-> 카머
], [어乙
-> 섬머乙
->
서머乙
], [어乙
->
햄머乙
->
해머乙
]' 처럼 앞말 받침에 Fortis
자음으로 하고 뒷음을 Void 자음으로 접근했다가 fortis 자음
하나가 뒤로 이동하고 앞 부분의 fortis 자음은 탈락된 것으로 간주한다. //
짧은 앞
강세가 주어지지않으면 이도저도 아닐수가 있다 |
|
|
|
ex) summer: [서머ㄹ],
hammer[해머ㄹ] |
|
|
cf) |
엔글 단어 'coma'의 경우처럼 앞 음이 2중모음(/겹모음/이겹모음)일
경우 -> 탈경음화/Defortisize |
|
// |
<앞 부분을
짧고 강하게 발음하는 fortis 변화형>을 한글과 엔글에서 상호 비교하는 하나의 Pattern으로
규정하여 구분하자. => With
En/Hn |
|
|
사전으로
유명한 '브리테니커'의 경우 어디를 강하게 읽고, 엔글 표기는 어떻게 될까? 윗글을 읽고 類推[취]...
-> Go |
|
|
|
|
|
|
|
ㄳ
ㄵ,ㄶ
ㄺ, ㄻ,ㄼ, ㄽ, ㄾ, ㄿ, ㅀ
ㅄ |
받침겹자음[ㄳ,
ㄵ/ㄶ, ㄺ/ㄻ/ㄼ/ㄽ/ㄾ/ㄿ/ㅀ,
ㅄ]은 |
|
강세
지닌 받침자음[ㄱ, ㄴ, ㅂ]과 뒷음을
fortis화 |
|
받침겹자음[ㄳ,
ㄵ/ㄶ, ㄺ/ㄻ/ㄼ/ㄽ/ㄾ/ㄿ/ㅀ, ㅄ]는 |
|
기존어법) |
받침겹자음과
자음이 연음되면 뒷자음은 Fortis화...(/):
넓다란 -> 널따란(/) |
개정편) |
유동받침자음인
'ㄹ~'
겹자음의 경우 'ㄹ'은
[r]로
류음되고,
뒷자음은 Fortis되지않고...
-> 받침겹자음
/ 넓다란 |
|
|
|
|
|
|
* |
받침
'ㄹ' 뒤에 void sound, 'ㅇ'으로 시작될 경우 => ?(form) |
|
받침겹자음[ㄳ,
ㄵ/ㄶ,
ㄺ/ㄻ/ㄼ/ㄽ/ㄾ/ㄿ/ㅀ,
ㅄ]은 |
|
강세
지닌 받침자음[ㄴ, 乙]과
뒷음을
aspirated화 |
|
|
|
|
여기서
'~화(化) '라는 것은 '해당되면 그렇게 변한다'는 의미= fortisize |
|
|
|
|
|
|
|
|
제9항 |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
|
|
|
|
|
닦다[닥따]
|
키읔[키윽]
|
키읔과[키윽꽈]
|
옷[? |
웃다[Lː따]
꽃[]
앞[압] |
있다[瀕?
쫓다[?따]
덮다[덥따] |
젖[]
솥[] 뱉다 |
빚다[굘?
뱉다[bː따] |
|
|
|
|
|
|
|
|
제10항 |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
|
|
|
|
|
넋[넉]
넓다[널따]
없다[업ː따]
|
넋과[넉꽈]
외곬[외골]
|
앉다[안따]
핥다[할따] |
여덟[여덜]
값[갑] |
|
|
|
|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
|
|
|
|
1. |
밟다[밥ː따]
밟는[밥ː는→밤ː는]
|
밟소[밥ː쏘]
밟게[밥ː께] |
밟지[밥ː찌]
밟고[밥ː꼬]
|
|
2. |
|
|
|
|
|
|
|
|
|
제11항 |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
|
|
|
|
|
닭[닥]
삶[삼ː]
|
흙과[흑꽈]
젊다[점ː따] |
맑다[막따]
읊고[읍꼬] |
늙지[늑찌]
읊다[읍따]
|
|
|
|
|
|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
|
|
|
|
|
|
|
|
|
|
|
|
|
제12항 |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
|
|
|
|
|
|
받침
'ㅎ'의 특징 |
|
|
|
|
|
|
|
|
|
|
|
'ㅎ'은
<Flex>와 <fortis>의 자질을 지닌 <semi-깊음>이다.
=> 'ㅎ'
설명보기 |
|
|
|
|
|
|
|
|
|
|
|
1. |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
|
|
놓고[노코]
않던[안턴] |
좋던[조ː턴]
닳지[달치]
|
쌓지[싸치]
|
많고[만ː코] |
|
|
|
|
|
|
|
[붙임1]
|
받침
‘ㄱ(ㄺ), ㄷ, ㅂ(ㄼ), ㅈ(ㄵ)’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는 경우에도, 역시 두 음을 합쳐서
[ㅋ, ㅌ, ㅍ, ㅊ]으로 발음한다. |
|
|
각하[가카]
좁히다[조피다] |
먹히다[머키다]
넓히다[널피다]
|
밝히다[발키다]
꽂히다[꼬치다]
|
맏형[마?]
앉히다[안치다] |
|
|
|
|
|
|
[붙임2]
|
규정에
따라 ‘ㄷ’으로 발음되는 ‘ㅅ, ㅈ, ㅊ, ㅌ’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
|
옷 한 벌[오탄벌] |
낮 한때[나탄때] |
꽃 한 송이[꼬탄송이] |
숱하다[수타다] |
|
|
|
|
|
|
2. |
‘ㅎ(ㄶ, 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ㅅ’을 [ㅆ]으로 발음한다. |
|
|
|
|
|
|
|
|
|
3. |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
|
|
|
|
|
|
|
|
|
[붙임]
|
‘ㄶ,
ㅀ’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
|
|
않네[안네] |
않는[안는] |
뚫네[뚤네→뚤레] |
뚫는[뚤는→뚤른] |
|
|
* ‘뚫네[뚤네→뚤레],
뚫는[뚤는→뚤른]’에 대해서는 제20항 참조. |
|
|
|
|
|
|
4.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
|
낳은[나은]
않은[아는] |
놓아[노아]
닳아[다라] |
쌓이다[싸이다]
싫어도[시러도] |
많아[마ː나] |
|
|
|
|
|
|
|
|
|
제13항 |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
|
|
|
|
|
깎아[까까]
꽂아[꼬자]
앞으로[아프로]
|
옷이[오시]
꽃을[꼬츨]
덮이다[더피다] |
있어[이써]
쫓아[쪼차] |
낮이[나지]
밭에[바테] |
|
|
|
|
|
|
|
|
제14항 |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
|
|
|
|
|
|
넋이[넉씨]
곬이[골씨]
없어[업ː써] |
앉아[안자]
핥아[할타] |
닭을[달글]
읊어[을퍼] |
젊어[절머]
없어[업ː써] |
|
|
|
|
|
|
|
|
|
받침있는
말 뒤에 모음(void ㅇ)이 오면 그 받침은 뒷음절 첫소리에 옮겨 발음될 수도 있다. |
그럴
경우 앞 글자는 7종성(ㄱ/ㄴ/ㄷ/ㄹ/ㅁ/ㅂ/ㅇ)에 대한 받침소리로 변환되어 표기되고, |
또한,
뒤따르는 글자는 앞의 받침소리를 그대로
이어받았다가 7종성으로 닮아간다. |
|
|
|
|
|
받침있는
말 뒤에 모음(void ㅇ)이 오면 그 받침은 뒷음절 첫소리에 옮겨 발음될 수도 있다. |
그럴
경우 앞 글자는 7종성(ㄱ/ㄴ/ㄷ/ㄹ/ㅁ/ㅂ/ㅇ)에 대한 받침소리로 변환되어 표기되고,
<- 내파화
회피 |
또한,
뒤따르는 글자는 앞의 받침소리를 이어받아
연음화된다. |
|
|
|
|
|
|
밭 아래[받타래]
겉옷[걷톳/돋] |
늪 앞[늡?]
헛웃음[??슴/?P슴] |
젖어미[저미]
꽃 위[취] |
맛없다[맏섭따] |
|
|
|
|
제15항 |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
|
|
|
|
|
밭
아래[바다래]
겉옷[거돋] |
늪 앞[느밥]
헛웃음[허두슴] |
젖어미[저더미]
꽃 위[꼬뒤] |
맛없다[마덥따] |
|
|
|
|
|
다만, ‘맛있다, 멋있다’는 [마싣따], [머싣따]로도 발음할 수 있다. |
|
|
|
|
[붙임]
|
겹받침의
경우에는, 그 중 하나만을 옮겨 발음한다. |
|
|
넋없다[너겁따] |
닭 앞에[다가페] |
값어치[가버치] |
값있는[가빈는] |
|
|
|
|
|
|
|
|
제16항 |
한글
자모의 이름도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여 발음한다. // flex(렉스)와
구분한다. // 받침 'ㅌ'은 ' |
|
|
|
|
연음에
따른 받침소리 'ㄷ/ㅌ/'은 'AsTis' 규칙에 따른다. => 'AsTis'
바로가기 |
|
|
|
|
|
디귿이[디귿디]
|
디귿을[디귿들]
|
디귿에[디귿데]
|
cf) 디긋이 |
지읒이[지봐?
|
지읒을[지봐?
|
지읒에[지봐?
|
|
치읓이[치읕치]
|
치읓을[치봤?
|
치읓에[치읕체]
|
|
키읔이[키윽키]
|
키읔을[키윽클]
|
키읔에[키윽케]
|
|
티읕이[티읕티]
|
티읕을[티읕틀]
|
티읕에[티읕테]
|
|
피읖이[피읍피]
|
피읖을[피읖플]
|
피읖에[피읍페]
|
|
히읗이[히읕히]
|
히읗을[히읗흘]
|
히읗에[히읕헤]
|
히읏이 |
|
|
|
|
제16항 |
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되,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특별히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
|
|
|
|
|
디귿이[디그시]
|
디귿을[디그슬]
|
디귿에[디그세]
|
|
지읒이[지으시]
|
지읒을[지으슬]
|
지읒에[지으세]
|
|
치읓이[치으시]
|
치읓을[치으슬]
|
치읓에[치으세]
|
|
키읔이[키으기]
|
키읔을[키으글]
|
키읔에[키으게]
|
|
티읕이[티으시]
|
티읕을[티으슬]
|
티읕에[티으세]
|
|
피읖이[피으비]
|
피읖을[피으블]
|
피읖에[피으베]
|
|
히읗이[히으시]
|
히읗이[히으시]
|
히읗에[히으세]
|
|
|
|
|
|
|
|
|
제5장 |
음의
동화 |
|
|
|
제17항 |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
|
|
|
제17항 |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구개음화
회피 |
|
|
|
|
|
|
곧이듣다[고디듣따]
|
굳이[구디]
|
미닫이[미다디] |
땀받이[땀바디] |
밭이[바티] |
벼훑이[벼훌티] |
|
|
|
|
|
|
|
|
곧이듣다
|
굳이[구지]
|
미닫이[미다지] |
땀받이[땀바지] |
밭이[바치] |
벼훑이[벼훌치] |
|
|
|
|
|
|
|
[붙임]
|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 Aspirated
Sound |
|
|
굳히다[구치다]
|
닫히다[다치다]
|
묻히다[무치다]
|
|
|
|
|
|
|
|
|
|
제18항 |
자음접변
등은 회피되어야할 대상이다 => 회피 자음접변 |
|
|
|
제18항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
|
|
|
|
|
먹는[멍는]
몫몫이[몽목씨]
짓는[진ː는]
|
국물[궁물]
긁는[긍는]
옷맵시[온맵씨] |
깎는[깡는]
흙만[흥만]
있는[인는] |
키읔만[키응만]
닫는[단는]
맞는[만는] |
젖멍울[전멍울]
놓는[논는]
밟는[밤ː는] |
쫓는[쫀는]
잡는[잠는]
읊는[음는] |
꽃망울[꼰망울]
밥물[밤물]
없는[엄ː는] |
붙는[분는]
앞마당[암마당]
값매다[감매다] |
|
|
|
|
|
[붙임]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
|
|
책 넣는다[챙넌는다]
밥 먹는다[밤멍는다] |
흙 말리다[흥말리다]
값 매기다[감매기다]
|
옷 맞추다[온마추다] |
|
|
|
|
|
|
|
|
제19항 |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
|
|
|
|
|
담력[담ː녁] |
침략[침냑] |
강릉[강능] |
항로[항ː노] |
대통령[대ː통녕] |
|
|
|
|
|
|
|
|
[붙임]
|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
|
|
막론[막논→망논]
|
백리[백니→뱅니]
|
협력[협녁→혐녁]
|
십리[십니→심니] |
|
|
|
|
|
|
|
|
제20항 |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
|
|
|
|
(1) |
난로[날ː로]
|
신라[실라]
|
천리[철리]
|
광한루[광ː할루]
|
대관령[대ː괄령]
|
|
|
|
|
(2 |
칼날[칼랄]
|
물난리[물랄리]
|
줄넘기[줄럼끼]
]
|
할는지[할른지] |
|
|
|
|
|
|
[붙임]
|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
|
닳는[달른]
|
뚫는[뚤른]
|
핥네[할레]
|
|
|
|
|
|
|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
|
|
|
|
|
의견란[의ː견난] |
임진란[임ː진난] |
생산량[생산냥] |
결단력[결딴녁] |
공권력[공
R녁] |
동원령[동ː원녕] |
상견례[상견녜] |
횡단로[횡단노] |
이원론[이ː원논]
|
입원료[이畇?
|
구근류[구근뉴] |
|
|
|
|
|
제20항 |
‘ㄴ’은
‘ㄹ’의 앞에서 hidden [ㅎ]를 부각시켜 발음한다. => hidden
'h' |
|
|
|
|
|
|
|
|
제20_2항 |
‘ㄴ’은
‘ㄹ’의 뒤에서 [ㄹ]로 동화되어 발음된다. => 류음화(Lateralize) |
|
|
|
|
(2 |
칼날[칼랄]
|
물난리[물랄리]
|
줄넘기[줄럼끼]
|
할는지[할른지] |
|
|
|
|
|
|
|
|
|
제21항 |
위에서 지적한 이외의 자음 동화는 인정하지 않는다. |
|
|
|
|
|
감기[감ː기](×[강ː기])
|
옷감[け?(×[옥깜])
|
있고[殯?(×[익꼬])
|
꽃길[낄](×[꼭낄])
|
젖먹이[전머기](×[점머기])
|
문법[문j](×[뭄j]) |
꽃밭[?(×[꼽?)
|
|
|
|
|
|
|
|
|
|
|
제22항 |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
|
|
|
|
|
|
|
|
제22항 |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 '~아/어'는 아래 어법규정에 따라 활용된다. |
|
|
|
|
|
Vi |
피다(bloom) |
피어
|
|
|
|
* |
이 식물은 꽃이 잘 피어. |
|
|
|
* |
이 식물은 꽃이 잘 피어(서)
많은 이들이 산다. |
|
Vt |
피우다(bloom) |
피우어/피워
|
|
|
|
* |
이 식물은 꽃을 잘 피우어/피워. |
|
|
|
* |
이 식물은 꽃을 잘 피우어/피워(서)
보기 좋다. |
|
|
|
|
|
|
|
|
|
[붙임]
|
‘이오,
아니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
|
|
|
|
|
|
|
제6장 |
경음화 |
|
|
|
제23항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
국밥[국빱]
닭장[닥짱] |
깎다[깍따]
칡범[칙뻠] |
넋받이[넉빠지]
뻗대다[뻗때다] |
삯돈[삭똔]
옷고름[げ옇? |
있던[牝?
밭갈이[받까리] |
꽂고[꼬]
솥전[쩐] |
꽃다발[따발]
곱돌[곱똘] |
낯설다[낟썰다]
덮개[덥깨] |
옆집[엽찝
값지다[갑찌다] |
넓죽하다[넙쭈카다] |
읊조리다[읍쪼리다] |
값지다[갑찌다] |
|
|
|
|
|
|
|
|
제24항 |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신고[신ː꼬]
삼고[삼ː꼬] |
껴안다[껴안따]
더듬지[더듬찌 |
앉고[안꼬]
닮고[담ː꼬] |
얹다[언따]
젊지[점ː찌] |
|
|
|
|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제25항 |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넓게[널께] |
핥다[할따] |
훑소[훌쏘] |
떫지[떨ː찌] |
|
|
|
|
|
|
|
|
제26항 |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갈등[갈?
불소[불쏘](弗素)
발전[발쩐] |
발동[발똥]
일시[일씨]
몰상식[몰쌍식] |
절도[절또]
갈증[갈쯩]
불세출[불쎄출] |
말살[말쌀]
물질[물찔] |
|
|
|
|
|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
|
|
|
|
허허실실[허허실실](虛虛實實)
|
절절-하다[절절하다](切切-
) |
|
|
|
|
|
|
|
|
제27항 |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할 것을[할꺼슬] |
갈 데가[갈떼가] |
할 바를[할빠를] |
할 수는[할쑤는] |
할 적에[할쩌게] |
갈 곳[갈] |
할 도리[할또리] |
만날 사람[만날싸람] |
|
|
|
|
|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 |
|
|
|
|
[붙임]
|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
할걸[할껄] |
할밖에[할빠께] |
할세라[할쎄라] |
할수록[할쑤록] |
할지라도[할찌라도] |
할지언정[할찌언정] |
할진대[할찐대]
|
|
|
|
|
|
|
|
|
|
|
|
제28항 |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
|
|
|
|
|
|
문-고리[문꼬리] |
눈-동자[눈똥자] |
신-바람[신빠람] |
산-새[산쌔] |
손-재주[손째주] |
길-가[길까] |
물-동이[물똥이] |
발-바닥[발빠닥] |
굴-속[굴ː쏙] |
술-잔[술짠] |
바람-결[바람껼] |
그믐-달[그믐딸] |
아침-밥[아침빱] |
잠-자리[잠짜리] |
강-가[강까] |
초승-달[초승딸] |
등-불[등뿔] |
창-살[창쌀] |
강-줄기[강쭐기] |
|
|
|
|
|
|
|
|
제7장 |
음의 첨가 |
|
|
|
제29항 |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
|
|
|
|
|
|
솜-이불[솜ː니불]
|
홑-이불[혼니불] |
막-일[망닐] |
삯-일[상닐] |
맨-입[맨닙] |
꽃-잎[꼰닙] |
내복-약[내ː봉냑] |
한-여름[한녀름] |
남존-여비[남존녀비] |
신-여성[신녀성] |
색-연필[생년필] |
직행-열차[지캥녈차] |
늑막-염[능망념] |
콩-엿[콩? |
담-요[담ː뇨] |
눈-요기[눈뇨기] |
영업-용[영엄뇽] |
식용-유[시뉴] |
국민-윤리[궁민뉼리] |
밤-윷[밤ːK] |
|
|
|
|
제29항 |
합성어
및 파생어들은 연음법칙에 따라 읽는다. // 받침 겹자음의 경우
뒷자음이 연음된다. // Aspirated Sound 적용 |
|
|
|
|
|
|
솜-이불[솜ː미불] |
홑-이불[홑티불] |
막-일[막길] |
삯-일[삭실] |
맨-입[맨닙] |
꽃-잎[칩] |
내복-약[내복갹] |
한-여름[한녀름] |
남존-여비[남존녀비] |
신-여성[신녀성] |
색-연필[색견필] |
직행-열차[직캥녈차] |
늑막-염[늑막겸] |
콩-엿[콩? |
담-요[담ː묘] |
눈-요기[눈뇨기] |
영업-용[영업? |
식용-유[식유] |
국민-윤리[국민뉼리] |
밤-윷[밤ː? |
|
|
|
|
|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
|
|
|
|
|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
검열[검ː녈/거ː멸] |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
금융[금늉/그?
|
|
|
|
|
|
|
[붙임1]
|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한다. |
|
|
들-일[들ː릴] |
솔-잎[솔립] |
설-익다[설릭따] |
|
|
물-약[물략] |
불-여우[불려우] |
서울-역[서울력] |
|
|
물-엿[물? |
휘발-유[휘발류] |
유들-유들[유들류들] |
|
|
|
|
|
[붙임2]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
|
한 일[한닐] |
옷 입다[온닙따] |
서른여섯[서른녀섣] |
|
|
3 연대[삼년대]
|
먹은 엿[머근? |
할 일[할릴] |
|
|
잘 입다[잘립따] |
스물여섯[스물려섣] |
1 연대[일련대] |
|
|
먹을 엿[머글? |
|
|
|
|
// 예시어 중 ‘서른여섯[서른녀섣]’,
‘스물여섯[스물려섣]’을 한 단어로 보느냐 두 단어로 보느냐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고시본에서 제시한 대로 두기로 한다. |
|
|
|
|
|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
|
|
|
|
|
6*25[유기오] |
3*1절[사밀쩔] |
송별-연[송ː벼련] |
등-용문[등용문]
|
|
|
//
고시본에서 ‘등용-문[등용문]’으로 보인 것을 위와 같이 바로잡았다. |
|
|
|
|
|
|
|
|
제30항 |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
|
|
|
|
|
1. |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
|
|
냇가[내ː까/Kː까]
|
샛길[새ː낄/숱개? |
빨랫돌[빨래똘/빨A똘] |
콧등[코??? |
깃발[기빨/긷빨] |
대팻밥[대ː패빱/대ː?빱] |
햇살[해쌀/?쌀] |
뱃속[배쏙/b쏙] |
뱃전[배쩐/b쩐] |
고갯짓[고개?/고O?] |
|
|
|
|
|
|
|
|
|
2. |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
|
|
콧날[?날→콘날] |
아랫니[아A니→아랜니]
|
툇마루[?ː마루→퇸ː마루] |
뱃머리[b머리→밴머리] |
|
|
|
|
|
|
|
3. |
사이시옷 뒤에 ‘이’ 음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ㄴ]으로 발음한다. |
|
|
베갯잇[베O→베갠]
|
깻잎[닙→깬닙] |
나뭇잎[나묻닙→나문닙]
|
도리깻열[도리녈→도리깬녈] |
뒷윷[ⅱ?K→뒨ːK]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