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탈기음화(De
+ Aspiration -> Deaspiration) |
|
|
 |
원형으로 회귀하는 De + Aspiration -> Deaspiration |
| |
|
|
| 받침있는
말 뒤에 모음(void ㅇ)이 오면 그 받침은 뒷음절 첫소리에 옮겨 발음될 수도 있다.
|
| 그럴
경우 앞 글자는 7종성(ㄱ/ㄴ/ㄷ/ㄹ/ㅁ/ㅂ/ㅇ)에 대한 받침소리로 변환되어 표기되고,
<- Deaspiration |
| 또한,
뒤따르는 글자는
앞의 받침소리를 그대로 이어받았다가 7종성으로 닮아간다. |
|
|
|
|
|
|
|
| |
밭 아래[받타래]
겉옷[걷톳/돋] |
늪 앞[늡?]
헛웃음[??슴/?P슴] |
| |
젖어미[저미]
꽃 위[취] |
맛없다[맏섭따] |
|
|
|
|
|
|
|
Deflex: |
| |
|
<
// > |
렉스에서
받침 'ㅅ'이 'ㅌ'으로 되면 뒷음은'ㅌ', <fortis> 또는 <aspirated>로
발음된다. <- Deflex |
|
|
|
|
|
|
|
| |
옷에[꼈?
-> 꼬?꼽? |
웃음[W슴] -> W음[W틈] |
|
|
|
|
|
|
|
| 한글을
통한 음소의 원리(The Principles of Phonemes via
한글(Hangle) ) |
|
|
|
|
|
|
|
|
|
| '언어는
살아있다'는 말은 곧 생존에 필요한 요소를 갖추지 못하면 '도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
 |
Exam
/ Test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