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 한글 Eduin Hangle

강사 소개
강좌 안내
수강 신청 안내
학습 진행 안내
한글 관련 문의
Top Collection
 
받침 겹자음: Bottom Dual Consonants
쌍받침(Bottom Fortis)

  'ㄹ[ㅣ]' '乙[r]' 받침 'ㄹ' 받침 '乙' [milai] '乙[r]' 받침 ㄹ/乙 류동적(mobile) 받침 'ㄹ'-2  
     
 
 
 
......
 
   
     
  한글엔 2가지 형태의 받침이 2개로 된 자음이 있다. 그 종류를 알아보면  
  1) 같은 유형의 반복fortis(된소리) ㄲ, ㄸ, ㅃ, ㅆ, ㅉ 받침 소리가 있고,  
    

(Bottom) Fortis(된소리) / (Bottom) Flex(렉스)
(받침)자음과 련계된 Fortis(된소리)
-> Bottom Fortis의 꽃  
Fortis with Bottom Consonants
Flex out of Fortis
(FlexFortis겹자음과 다르다)

엔글 'kitsch'를 한글로 표기하면... 치/
♬ 
Kitsch - IVE
엔글에서 Fortis(bb, cc, dd, ff...) 자음은 어떻게 생겨났나?
How English got to have Fortis(bb, cc, dd, ff...)?
어떻게 ttis(bottom t + fortis)가 도입되었나? => tTis
어떻게 'LexTis(flex/fortis)'가 도입되었는가? => LexTis
노래로 배우는 Flex & Fortis -> Song
'kiss' => 'ki'ts' => => 'kitss' => kiss <- Flex & Lextis
  by LeeKH
 
  2) 유형이 다른 자음들이 복합적으로 합성된 경우가 있다: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
<ㄱ/ㄴ/ㄷ/ㄹ/ㅁ/ㅂ/ㅇ> 부분과 <ㅅ/ㅈ/ㅊ/ㅋ/ㅌ/ㅍ/ㅎ> 부분이 구분되어 사용... -> Go  
    ㄱ + ㅅ,  
   
   
몫, 삯, 품삯, 배삯
 
    ㄴ + ㅈ, ㅎ  
   
   
앉다 => 안따, 앉아 => 안자, 앉자 => 안짜, 앉고 => 안꼬
    cf) 앉자 => 안짜
   
하지 않다 => 하지 안타, 않아 => 안하 => 안아(?) // 안다(embrace) -> 안아  // 알다 ->
 
  // 아래 부분엔 공인되지않은 내용이 있음   
   
© 한글(Hangle)   
 
  // 사실, 필자는 글에 엔글 'r' 발음에 해당하는 영역이 꼭 도입되엇으면 하는 바램 간절하다.  
  // 특히 아래와 같은 '~' 받침 겹자음의 경우 굴려서 발음하면 부드러운 느낌의 묘한 어감이 느껴진다.  
  
 
© 한글(Hangle)  
겹받침 'ㄺ', 'ㄻ' 등의 유동받침자음 '' 엔글 ' r ' 에 해당하는 ''처럼 굴려 발음하자.
       
   
+ ㄱ, ㅁ, ㅂ, ㅅ, ㅌ, ㅍ, ㅎ
     
읽다, 닮다, 밟다, 곬도, 핥다, 읊다. 옳다
     
- 이기희 특별 제시 -
  류동받침자음'~' 겹자음의 경우 ''은 [r] 발음되고,
    앞글자 모음 []는 [ə]로 바뀌고
    뒷글자fortis되지는다. 
  #
'~'자음뒷음자음이면 ''은 독립적 음소로 되고, void 음소인 'ㅇ'과 결부된다)
    *
긁다[그윽ː다]
       
글따(/), 극따(/)
  #
'~'자음은 뒷음모음이면 받침 ''은 독립적 음소로 되고, '~'은 뒤로 넘어간다.
    *
긁어[그ː거]
         
글거(?),
       
긁으면[그ㄹ그면]
 
*
멀다:
      far, distant
    한글에서 받침 'ㄹ'은 류동적 음소이다. 다시말해, 받침 'ㄹ'이 뒤따르는 자음과 결합될 경우 류음화되어 앞 모음 []는 [ə]로 바뀌고 받침 자음 'ㄹ'도 엔글 'r' 음가를 지닌 독립적 음소 'ㄹ'로 되거나 아니면 엔글 'r' 음가를 지닌 받침 음소 'ㄹ'로 된다.
      멀ㄴ[mln] -> [mərn]
      멀나[mlna] -> 머ㄹ나[mərna]
      
The Exquisiteness of  한글(Hangle) !
류동적 받침 자음 적용 예제
(이따금 고향이 그리워지면 부르는 노래)
     
  #
''의 경우''은 aspirated 되어 단모음되므로 받침 'ㄹ'로 쓰고, 발음도 ㄹ로 한다.
    *
옳다[올타]
       
옳지[올치]
   
cf)
받침이 겹자음이고 뒤따르는 음이 'ㅎ'일 경우 Aspirate된다.
    다[다]
다[다 -> 다] 
      [밥ː따] / [발ː따] (x)
― 밟히다[발피다] (x)
         
     
ex)
       
흙, 산기슭, 삵, 맑다, 묽다, 옮다, 젊다, 넓다, 엷다, 얇다, 많다, 닳다, 싫다, 읽다, 삶다
       
   ex) 이       산기      흙을      었다. 
    [사악이  산기스윽의  흐윽을  그윽었다]
 
=>
[이        산기의       을        었다] 
   
=>
어느 기슭에 쉬어갈까? -> '바람아 불어라' by 박현
 
 *
다' => 단순히 '막다'로 읽지 말고 '마악다[다]'처럼 읽고, 
 
 *
다' => 단순히 '익다'로 읽지 말고 '이익다[다]'처럼 읽자. 
         
       
받침 'ㄼ'의 'ㅂ'은 준사잇소리로 간주하여 뒷말을 있는 그대로 발음하자.
 
즉 fortis하지말자.
  #
넓다[너업다], 엷다[여업다], 얇다[야압다], 짧다[짜압다]...
    *
넓다 -> 넓다랗다, 넓다란
       
받침 'ㄼ'의 'ㅂ'은 내파화(ㅂ->ㅍ)와 련관되어 참 유용한 음운 요소이다.
         
넓~ -> †Ÿ~
       
다시말해, 받침 'ㄼ'의 'ㅂ' 탈락과 뒷음을 fortis로 하지말자.
         
넓다 -> 넓다랗다[너업다랗다]:   널따랗다(/)
         
넓다 -> 넓다란[너업다란]:           널따란(/)
         
 
cf)
HanEdu는 기존의 어법 규정과 다름을 분명히 한다!
 
->
기존의 표준어 규정 둘러보기
     
//
글 관련 밴드에서도 이런걸 다루기도...
          -> '밝게'를 어떻게 읽나요? '
          // 더러는 박께
          // 더러는 발께
            추가로 '밟게'를 '밥께'로 한 이도...
          HanEdu는 '밝게'를 '바악게'로 읽어라고 한다.
          또한 '밟게'를 '바압게'로 읽어라고 한다.
      // 서둘러 개정해야할 부분이다.
     
진정 한글의 묘미는 바로 이런 것이다(닭/, 읽/, 밝/)
       
(앞으로 많은 단어가 생겨나도록... ’R다 ”틈?Š獵?... ‰l국, 告? ?국 )
 
    ㅂ + ㅅ:  
   
받침이 'ㅂ+ㅅ'인 경우, 활용(Conjugation)될 때, 뒷음자음이면 fortis 유형을 따르고,
 
받침이 'ㅂ+ㅅ'인 경우, 활용(Conjugation)될 때, 뒷음모음이면 flex 연음(ㅅ) 유형을 따른다.
 
받침이 'ㅂ+ㅅ'인 경우, 합성(Synthesize)될 때, 뒷음이 자음이면 fortis 유형을 따르고,
 
받침이 'ㅂ+ㅅ'인 경우, 합성(Synthesize)될 때, 뒷음이 모음이면 'ㅂ'이 부각되는 protoing
 
= 귀소화
 
[gabs]: price, value
   
*
값도[gabs do] => [갑또] [gab ddo]
   
실질형태소 '값' 뒷음이 자음('ㄷ')이므로 읽기는 fortis('ㄸ') 유형을 따른다.
*
값을[gabs eul] => 갑슬[gab seul]
   
실질형태소 '값' 뒷음이 void 자음('ㅇ')이므로 읽기는 flex('ㅅ') 유형을 따른다.
cf)
값어치 => 값(price) + 어치(worth)
 
값어치 =[갑어치] [가치] // 합성어에 뒷음 모음이므로 proto 'ㅂ'
 
값어치 =[] // 합성어이므로 연음적용 안된다 => 소리
 
없다[eobs da]:
   
*
없다 => 업따
*
없어 => 업서
 
    이와 같이 '받침겹자음'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여기엔 아주 중요한 원칙이 있다.  
     
   
받침겹자음 원칙
 
 
 
 
 
 
  그리고 여기에 필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리론이 있다.  
  그것은 바로 'ㅌ' 소리 뒤에 다른 자음이 합성되어 앞의 'ㅌ' 소리가 뒷소리에 영향을 받아 닮아가는데,  
  한글은 그 합성된 소리를 일일이 나열하자니 복잡하여 복합음가를 나타내는렉스인 ''으로 대체하였고,  
 
 
 
//
소리 'ㅅ' => 실제론 사소리도 이 원리에 따라 나온 것임 => Go
 
  엔글에선 이러한 변화형이 그대로 적용되었다는 것이니다(약간의 변형이 있는 것도 있지만)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글과 엔글 모두 이러한 복합 소리에서 앞 받침의 'ㅌ' 소리가 소멸된 채  
  읽혀진다는 것이다 ( 물론 정확하게 발음해보면 'ㅌ' 소리의 여운을 느낄 수 있다: => 벗을 / pizza )  
    ㄷ/ㅌ + ㄱ, ㄷ, ㅌ, ㅂ, ㅅ, ㅈ, ㅊ, ㅎ  
   
  //
먼저 저 아래 받침복합자음 강의를 듣고 바로아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라.
 
같ㄱ 을=> 같글 => 갓글
   
같ㄱ 을=> 같글 => 가글
   
  //
위의 경우 단순히 엔글 발음에 따라 '가글'로 표기하지만 원칙은 '갓글'처럼 표기하고 또한 읽기도 그래야한다.
  =
gotg + eul => goggeul
   
  //
엔글에선 'gg'를 단순히 'ㄱ'로 발음하지만 앞 부분은 단음이고 또한 강세가 있다는 것을 ' fortis'로 나타낸다.
  //
엔글에서 한글의 flex 개념에 해당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아래처럼 '~r' 또는 '~gle'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cf)
gargle[gaːrgl]
   
[가ːㄹ 글]
 
?ㅈ 아 => ?자 => 핏자
   
?ㅈ 아 => ?자 => 피자(?)
  =
pitz + a => pizza
 

짧은 앞 강세의 '소리' Pattern에 해당하는 엔글 fortis 표기 - © 한글(Hangle)
 
*
한글에서 comma'의 fortis 'mm'은 균형강세인 '콤마'가 아니라 앞 강세인 '마'로 읽음.
   
즉,
한글에선 근본적으로'[-> ], [-> ], [-> ]' 처럼 앞말 받침Fortis 자음으로 하고 뒷음Void 자음으로 접근했다가 fortis 자음 하나가 뒤로 이동한거로 간주한다.  // 앞 강세가 주어진다.
   
ex) summer: [머ㄹ], hammer[머ㄹ]    => 마(comma)
        'middle'의 fortis 'dd'는 Sait에서 다뤘듯 '믿들'처럼 표기하여 [믿뜰]처럼 읽는게 아니라 '들'처럼 Flex로 표기하여 [밑들]처럼 읽는다. 요즘은 엔글식의 짧은 앞강세인 '들'이 아닌 균형강세 아니면 뒷강세인 '미들/미'로 흔히 읽는다.
 
*
엔글에선 comma'의 fortis 'mm'은 균형강세인 '콤마'가 아니라 짧은 앞 강세인 '마->머'로 읽음.  
   
즉,
엔글에선 근본적으로'[-> 마 -> -> ], [ -> -> ], [-> -> 해머 ]' 처럼 앞말 받침Fortis 자음으로 하고 뒷음Void 자음으로 접근했다가 fortis 자음 하나가 뒤로 이동하고 앞 부분의 fortis 자음은 탈락된 것으로 간주한다.  // 짧은 앞 강세가 주어지지않으면 이도저도 아닐수가 있다
   
ex) summer: [머ㄹ], hammer[머ㄹ] 
   
cf)
엔글 단어 'coma'의 경우처럼 앞 음이 2중모음(/겹모음/이겹모음)일 경우 -> 탈경음화/Defortisize
  // <앞 부분을 짧고 강하게 발음하는 fortis 변화형>을 한글과 엔글에서 상호 비교하는 하나의 Pattern으로 규정하여 구분하자. => With En/Hn
   
사전으로 유명한 '브리테니커'의 경우 어디를 강하게 읽고, 엔글 표기는 어떻게 될까? 윗글을 읽고 類推[취]... -> Go
   
 

*
참고로, '혼수상태'를 의미하는 엔글 'coma'의 경우 앞 모음이 2중모음(겹모음/이겹모음)으로 변하여 fortis가 배제된다.
다시말해, 'coma'는 [코우머]처럼 '코우'의 겹모음인 ''가 되어 'm'이 하나인 '머'가 된다. => 겹모음
 
ex1)
coma: [코우머 -> 머]
*
'또한 fortis가 배제되는 경우는 아래처럼 'ㅣ[i]' 음소가 가미되는 이겹모음도 마찬가지이다.   -> 이겹모음 / 에이 -> 에l 
 
ex2)
bagle[베이글 -> 베l글]
 
cf2)
 baggle <- 글 <-
 
       
   
  // 물론 약간의 변화를 도입하야 하는 단어도 있다 => 바로가기2
  * pour: 붓다(?) / 붇다(?) / 부다(?) // '붙다'라고는 하기엔 다소 거리가 멀고
  * swell: 붓다(?) / 붇다(?) / 부다(?) // '붙다'라고는 하기엔 다소 거리가 멀고
    // 그래서 더욱 세밀한 구분이 필요하고, 약간의 변화가 가미되었다.
   
ex)
*
부다 -> 부어, 부으니, 부어라, 부었다 add + swell
        중략 => 전체보기  
 
*
붓다 -> 붓어, 붓으니, 붓어라, 붓었다. pour
      // 렉스(flex) 도입: butda  
     
 
       
    
* share의 뜻을 지닌 '몫'을 엔글로 어떻게 표현하나?
* '목'의 뜻을 지닌 'neck'을 한글로 어떻게 활용하나?
 
  ( 엔글 'ck'의 'c'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
 
 
  ( 엔글 'bucket'의 'ck'는 어떻게 발음할까? )
 
 
       
 
*
'ㅌ'과 연계된 받침복합자음에 한글과 엔글이 이렇게 변해왔다는 사실에 실로 경탄하지않을 수가 없군요!  
   
 
 
 
 
( 필자의 리론에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니다 )
 
       
  * 단음 & 앞 강세 규칙은 ㄴ, ㅁ, ㅂ 등에서도 적용된다.  
   
'comma'와 'coma'의 차이는?  
=> Go
 
     체계성에 바탕을 둔 한글, 엔글까지도 아우르는 그 놀라운 Pattern!  

Learning Hangle
Grammar Lec.
기초과정(01~30)
Exam / Test
*
- Ast -
 무거래 사업 incolkh@gmail.com
 ㅅ:뵬 호우어진 곳에 하우어서 ㅁ(Home)하다  전화 대용 e-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