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이 키보드에 없어서 일일이 표기치 못한 경우도 있음. |
|
|
초성: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 엔글 'l'은 한글 'ㄹ'로 구분된다. |
|
* |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 => Go |
|
* |
엔글 'l'에 해당되는 한글
'ㄹ' => Go |
|
|
종성: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 엔글 'l'은 한글 'ㄹ'로 구분된다. |
|
* |
받침자음 'ㄹ' => Go |
|
* |
'미래시제 받침'에 해당되는 한글 '乙' =>
Go |
|
* |
'류동적 받침'에 해당되는
한글 'ㄹ' => Go |
|
|
|
|
|
엔글 'l'에 해당하는
한글 받침 'ㄹ' - 류동성에
더욱 빛나다! |
|
☞ |
엔글 'l'인 한글
'ㄹ'은 혀가 펴진 채로 혀 끝이 입천정에 붙었다가 떼어지는 소리로 초성과 종성
받침에 |
|
쓰일 수가 있다. |
|
받침
'ㄹ'은 류동적 음소이다.
다시말해, 받침 'ㄹ'은 받침자음의 변화형과 다른 양상을 지닌다. |
|
|
|
|
▶ |
'ㄹ' 받침이 있는 어간의 <인지/알림의
현재형>은 받침 'ㄹ'에다 현재형 조사인 'ㄴ'를 함께
쓴다. |
|
|
|
-> <
인지/알림의 현재형: ㄴ
> |
|
|
|
이 때의 받침 'ㄹ'이 들어간 겹자음은
乙(r)처럼
발음된다: 갈다 -> 다 |
받침
'ㄹ'이 가미된 겹자음, 류연함의 묘미를 살려라! |
|
|
|
▶ |
'ㄹ' 받침이 있는 어간의 미래형은
받침 'ㄹ'에다 미래형 조사인 '乙'를
함께 쓴다. |
|
|
ex) |
팔다: sell |
|
|
|
 |
|
|
|
|
|
|
|
|
|
|
|
|
|
|
|
|
|
☞ |
소리의
길이에 따라 받침 'ㄹ'이 독립적 음소 'ㄹ'처럼 류동적으로 변하는 것, 이것도 하나의 Pattern이다.
특히, 아래의 '알는척'보단 <아ㄹ는척[아 는척]>처럼
flexible한 표현은 주목할 만하다. |
|
|
ex) |
살다(live) |
|
|
|
|
|
다[salnda
-> sarnda](live/lives) |
산다 (
× ) |
|
|
살라[salla]/살아라[salara]/살으라[saleura]. |
사라 (
× ) |
☞ |
말의
느낌상 받침
'ㄹ'이 독립적 음소 '乙'처럼
류동적으로 변할수도 있다. |
|
|
살니?
-> 사ㄹ니[사乙니]?
|
사니?
( × ) |
|
|
* |
너는 여기 사ㄹ니?
|
= |
Do
you live here? |
|
|
|
|
살으니,
살으니까 |
사니 (
× ), 사니까(×)
|
|
|
살으리,
살으오. |
사리(×),
사오. ( × ) |
|
|
|
살으리랏다 |
|
|
|
니다(notify) |
삽니다 ( × ) |
|
|
살라면
/ 살으라면(prompt) |
/사라면 |
|
|
살노라면
->사ㄹ노라면[사乙노라면] |
/사노라면 |
|
|
|
|
|
다[salrda
-> sa:rlda]:
S will live ~ |
|
|
것같다[sa:rlgeotgatda]:
It is likely that s` will live ~ // ~것다, ~같다, ~것같다 |
|
|
라치면[sa:rlla_chimyeon]:
when
~ comes to living
|
|
|
|
|
|
|
|
|
|
|
|
ex) |
알다(know) ->
알노라면 ->
아ㄹ노라면
/ 아노라면 |
|
|
//
기존 어법은 받침 'ㄹ'을 탈락(알는->아는)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
|
|
|
|
|
아ㄹ니?
아니?(×)
|
|
|
다[alnda
-> arnda]](know/knows),
려면
<- will learn |
|
|
|
|
|
* |
아ㄹ는척하다:
알는척
( ? )
|
act as if s` knew ~ (but
he doesn't) |
|
|
* |
아ㄹ는체하다: |
say hello in greeting |
|
|
|
|
|
|
|
* |
알은척하다: |
act as if s` had known ~ (but
he didn't) |
|
|
* |
알은체하다: |
act as if s` had been acquainted & greeted~ |
|
|
|
|
|
|
|
☞ |
위와
같은 독립적 음소 'ㄹ'에 대한 표현은 소리의 길이, 즉 '알다'의 '알'이 |
|
|
|
길게
발음되므로 짧은 어감의 '알는'이 아니라 '아ㄹ는'처럼 표기된다. |
|
|
|
|
|
|
|
// |
'아ㄹ는체하다'에서의
'체'를 의존명사로 보면 띄어쓰겠지만 '체하다'를 |
|
|
|
'보조용언으로 간주해서 붙여쓰기도 한다. // HanEdu는
붙여쓴다. |
|
|
// |
'아ㄹ는척하다'에서의
'척'도 같은 맥락... |
|
|
|
|
|
|
|
|
|
틀다: |
|
|
:'틀다'는 '트다'와 련관이 있다. => ' |
|
|
:'틀다'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돌다' - 나선형 우주의 팽창 - turn |
|
|
:'틀다'는 '토리 / 타래 / 고팽이' |
|
|
|
트乙니? |
~ turn? |
=>
'틀다' & 'turn' |
|
|
|
|
|
받침 'ㄹ'의 활용에서
'ㄹ'탈락이 아니라 독립적 음소 '乙'로의
변환이 요구된다. -> 류음화 |
|
|
|
|
|
틀ㄴ->
|
being turned |
|
|
|
틀려고 |
in order to turn |
|
|
|
= 틀으려고
|
|
|
|
|
틀乙다
-> 다 |
will turn |
|
|
|
|
|
|
|
ex) |
갈다(plow) : //
갈다:
change/whet(grind)/plow |
|
|
|
|
|
다[galnda
-> garnda](plow/plows) |
간다 (
× ) |
|
|
갈라/갈아라/갈으라. |
가라 (
× ) |
|
|
갈으오. |
가오 (
× ) |
|
|
갈니?
-> 가ㄹ니? |
가니?
( × ) |
|
|
E니다(notify) |
갑니다 ( × ) |
|
|
갈노라면 ->
가ㄹ노라면
|
/가노라면 |
|
|
라치면(when
~ comes to plowing)
// 려(ryeo)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다:
beV long - predicative |
|
* |
기다(crawl) |
|
|
:
long
- attributive/defining
<- 길은 |
|
|
|
긴(crawled):
|
|
|
기른<-
기르다: raise |
|
|
|
|
|
|
<Miss
Right( 생머리 그녀)>
by Teen Top |
|
|
|
|
|
|
|
|
|
|
|
|
|
기ㄹ니? |
|
|
|
기니? |
|
|
|
|
|
|
|
|
ex) |
둥글다
|
|
|
둥 |
둥근
( × ) |
|
|
둥그ㄹ니? |
둥그니
( × ) |
|
|
|
|
|
|
|
|
ex) |
줄어들다 |
|
|
줄어드ㄹ는
것 |
줄어드는
것 ( × ) |
|
|
|
|
|
|
|
|
cf) |
♣ |
시들다: wither, droop; be emaciated; |
|
|
|
be haggard;
be thin |
|
|
|
become weak; lose vigor;
wither; fade; shrivel up |
|
|
* |
시들어 |
|
|
☞ |
상태를
나타내는 한정적 용법의 형용사형의 경우 류동적 받침 'ㄹ'에다
'ㄴ'이 |
|
|
|
결합되어 겹자음의
형식으로 쓰인다. // '~은'의 형식이 아니다 |
|
|
|
* |
시 :
withered |
|
|
|
|
시든(×)
/ 시들은(Δ) |
|
♣ |
녹슬다: get rusty |
|
|
|
* |
녹 :
rusty |
|
|
|
|
녹슨(×)
/ 녹슬은(Δ) |
|
|
|
|
|
|
|
|
ex) |
비틀다(twist/wring), 거들다(aid/add) |
|
|
|
|
|
|
받침
'ㄹ'이 가미된 겹자음, 그 부드러움의 묘미를 살려라! |
|
|
|
 |
겹받침
'ㄺ', 'ㄻ' 등의 류동받침자음
'ㄹ'를
엔글 ' r
' 에 해당하는 '乙'처럼
굴려서
발음하자.
|
|
|
|
|
|
|
|
ㄹ
+ ㄱ, ㅁ, ㅂ, ㅅ, ㅌ, ㅍ, ㅎ |
|
|
|
읽다,
닮다, 밟다, 곬도, 핥다, 읊다. 옳다 |
|
|
|
|
☞ |
류동받침자음인
'ㄹ~'
겹자음의
경우 'ㄹ'은
[r]
발음 되고,
|
|
|
앞글자
모음 [∧]는
[ə]로 바뀌고 |
|
|
뒷글자는
fortis 되지않는다.
|
|
|
# |
'~'자음은
뒷음이 자음이면
'ㄹ'은 독립적 음소로 되고,
void 음소인 'ㅇ'과 결부된다) |
|
|
* |
긁다[그乙윽ː다] |
|
|
|
|
글따(/),
극따(/) |
|
# |
'~'자음은
뒷음이 모음이면
받침 'ㄹ'은 독립적 음소로
되고, '~'은 뒤로 넘어간다. |
|
|
* |
긁어[그乙ː거] |
|
|
|
|
|
글거(?),
|
|
|
|
|
긁으면[그ㄹ그면] |
|
|
* |
멀다: |
|
|
|
|
far, distant |
|
|
한글에서 받침 'ㄹ'은 류동적 음소이다. 다시말해,
받침 'ㄹ'이 뒤따르는 자음과 결합될 경우 류음화되어 앞 모음 [∧]는
[ə]로 바뀌고 받침 자음 'ㄹ'도 엔글 'r'
음가를 지닌 독립적 음소 'ㄹ'로 되거나 아니면 엔글 'r' 음가를 지닌 받침 음소 'ㄹ'로 된다. |
|
|
|
|
|
|
|
멀니? ->
머ㄹ니[mərni]?
// Is it far? |
|
|
|
멀나? ->
머ㄹ나[mərna]?
// Is it far? |
|
|
|
|
|
|
|
멀으니까
-> 머ㄹ니까[mərnigga]
// As it is far, |
|
|
|
|
|
|
|
멀ㄴ[m∧ln]
-> [mərn] |
|
|
|
멀나[m∧lna]
-> 머ㄹ나[mərna] |
|
|
|
|
머ㄹ나
-> 머ㄹ나
|
|
|
|
|
|
|
|
|
|
# |
'ㅀ'의
경우'ㅎ'은
aspirated 되어 단모음 되므로
받침 'ㄹ'로 쓰고, 발음도 ㄹ로 한다. |
|
|
* |
옳다[올타] |
|
|
|
|
옳지[올치] |
|
|
cf) |
받침이
겹자음이고 뒤따르는 음이 'ㅎ'일 경우 Aspirate 된다.
|
|
|
밟다[바乙압다]
|
― 밟히다[바乙압히다
-> 바乙피다] |
|
|
|
[밥ː따]
/ [발ː따] (x)
|
― 밟히다[발피다] (x) |
|
|
|
|
|
|
|
|
|
|
|
ex)
|
|
|
|
|
흙, 산기슭, 삵,
맑다, 묽다, 옮다, 젊다, 넓다, 엷다, 얇다, 많다, 닳다, 싫다, 읽다, 삶다 |
|
|
|
|
|
|
|
|
|
|
|
|
|
|
☞ |
받침
'ㄼ'의 'ㅂ'은 준사잇소리로 간주하여 뒷말을 있는 그대로 발음하자. |
|
즉
fortis 하지말자. |
|
# |
넓다[너乙업다],
엷다[여乙업다],
얇다[야乙압다],
짧다[짜乙압다]... |
|
|
* |
넓다
-> 넓다랗다, 넓다란 |
|
|
|
|
|
|
|
|
|
|
넓~ -> ~ |
|
|
|
|
다시말해,
받침 'ㄼ'의 'ㅂ' 탈락과 뒷음을 fortis로 하지말자. |
|
|
|
|
|
넓다
-> 넓다랗다[너乙업다랗다]:
널따랗다(/) |
|
|
|
|
|
넓다 -> 넓다란[너乙업다란]:
널따란(/) |
|
|
|
|
|
|
cf) |
HanEdu는
기존의 어법 규정과 다름을 분명히 한다! |
|
|
-> |
기존의
표준어
규정 둘러보기 |
|
|
|
// |
한글
관련 밴드에서도 이런걸 다루기도... |
|
|
|
|
|
->
'밝게'를
어떻게 읽나요? ' |
|
|
|
|
|
// |
더러는
박께 |
|
|
|
|
|
// |
더러는 발께 |
|
|
|
|
|
|
추가로
'밟게'를 '밥께'로 한 이도... |
|
|
|
|
|
HanEdu는
'밝게'를 '바乙악게'로
읽어라고 한다. |
|
|
|
|
|
또한 '밟게'를 '바乙압게'로
읽어라고 한다. |
|
|
|
//
서둘러 개정해야할 부분이다. |
|
|
|
|
|
 |
진정
한글의 묘미는 바로 이런 것이다(닭/ ,
읽/ ,
밝/ ) |
|
|
|
|
(앞으로
많은 단어가 생겨나도록... R다... ) |
|
|
|
|
|
|
|
|
|
|
|
|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이 키보드에 없어서 일일이 표기치 못한 경우도 있음. |
|
☞ |
엔글 'l'인 한글
'ㄹ'은 종성인 받침에 쓰이면 류동적인 자음이
된다. 다시말해, |
|
|
보통 받침이
있는 체언에 수단이나 방향의 조사(particle)는 '~으 '이지만 |
|
|
받침 'ㄹ'로
끝나는 체언일 경우 수단이나 방향의 조사(particle)는 '~로'이다. |
|
|
|
//
필자는 이 부분이 너무나 곤혹스러워 참 많이도 고민하았다. |
|
|
|
|
ex) |
* |
그는 머리
공을 박았다. |
|
|
☞ |
머리
+ 로 // 받침이 없는 체언: 머리 + 수단의 조사: 로 |
|
|
* |
그는 손으
공을 쳤다. |
|
|
☞ |
머리
+ 로 // 받침이 있는 체언: 손 + 수단의 조사: 으로 |
|
|
*
|
그는 발로
공을 찼다. |
|
|
☞ |
원래
받침이 있을 경우 '~으 ''란
조사가 붙지만 류동적
받침 'ㄹ(l)'은 |
|
매개모음 '으'
탈락하고 받침없는 경우처럼 '로'라는 조사만
붙는다. |
|
|
|
|
|
|
|
|
팔다 |
팔으러
/ 파르러
|
=> |
팔러 |
|
|
팔으려고
/ 파르려고
|
=>
|
팔려고 |
|
<-
이건 예외가 아니라 일종의 Pattern이다! |
|
|
|
서울에서
살으렵니다/살렵니다: 서울의 찬가 - 패티킴
|
|
|
|
|
|
|
|
=> |
이런 류동적인 받침 'ㄹ'의 변화형에도 일정한
일정한 pattern이 있다. |
|
|
|
# |
원형Proto type)과
유동성의 적절한 조화 |
|
* |
현재형
형태소 'ㄴ'과 미래형 형태소 '乙'과
어울리게... |
* |
장모음
받침 'ㄹ' 뒤 => 독립적 음소 '乙' |
|
|
|
|
'종합정리:
'ㄹ/乙' 구분, '기슭', '어차피'... |
|
|
|
|
|
|
|
|
☞ |
또 한 가지 제안하는
바는 '설악SeolAk)'을 굳이 '서락(Seorak)'으로 읽어얀다는 둥 |
|
|
엔글 'l'과 'r' 표기를 바꿔가면서까지
야단법석을 떨지말잔 얘기다. |
|
|
또한 '대관령'도 굳이 '대괄령'으로 읽어얀다며
Spelling까지 바꾼 경우도 있다. |
|
|
|
|
|
그런 측면에서 '석굴암(SeokGulAm)'도 이제 '석구람(Seokguram)'으로
표기하지 말자! |
|
|
|
|
|
|
|
|
|
|
 |
인지(congnition)/알림의 받침 'ㄴ' |
|
|
 |
|
|
|
|
|
|
'embarce'의
뜻을 지닌 '안다'를 검색하니 'know'로 나온다. '알다'의 인지/인식 형태는 ' 다[alnda]'로
하자. -> Go |
|
|
|
|
|
|
|
엔글 'r'에 해당하는
한글 받침 '乙':
|
|
|
엔글 'r'에 해당하는 한글
'乙'은 혀의 끝부분을 살짝 말아서 입 천장에 닿지 않은
채로 |
|
소위
굴려서 발음한다. |
|
이러한 乙(r)
음소는 초성에서는 ㄹ(l)과 구분되어 쓰인다.
=>
초성 乙(r)
// 초성 ㄹ(l) |
|
또한 종성에서의
받침 乙(r)은
미래형 조사로 쓰인다. // cf) 류동적
받침 'ㄹ' |
|
또한 종성에서의
받침 乙(r)은
미래형 관형격 조사로도 쓰인다. // cf) 류동적
받침 'ㄹ' |
|
|
:
미래(未來:Future) |
|
=> |
coming
time/events |
=> |
time/events
that will happen in the time to come |
=> |
앞으로
때/일 |
=> |
아직 오지않은 때/일 |
|
|
|
|
☞ |
한글에서 미래시제는
어간(stem)에 '乙'이라는
조사가 받침에 붙는다. |
|
=>
|
|
|
|
|
☞ |
단순미래를
나타내는 '乙'은
엔글 'r'과 같은 음가를 가지는 초성자음이기도 하고 받침에 쓰이면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한정적 용법의 조사로도 쓰인다. |
|
|
|
|
|
|
|
|
|
|
cf) |
'읽다'에서의
'ㄺ'과 같이 받침 ㄹ과 같이 쓰이는 받침겹자음의 'ㄹ'은 '乙(r)'처럼
발음된다. |
|
|
|
|
|
☞ |
'ㄹ'
받침이 있는 어간의 미래형은 미래형 조사인 '乙'을
함께 쓴다. |
|
ex) |
팔다: sell |
|
|
|
 |
|
|
|
|
|
|
<= 미래형: Will
~ sell? => 까?
// [parlgga] |
|
|
|
|
|
|
|
|
cf) |
|
 |
인지(congnition)/알림의 받침 'ㄴ' |
|
|
 |
|
|
|
|
|
|
'embarce'의
뜻을 지닌 '안다'를 검색하니 'know'로 나온다. '알다'의 인지/인식 형태는 ' 다[alnda]'로
하자. -> Go |
|
|
|
|
|
|
|
|
|
|
|
|
서양가재인
'lobster'를 어떻게 표기하는가?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