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ua[nua] -> ㄴ ㅜ ㅏ ->
누 아 -> 누ㅏ |
|
|
|
 |
|
|
|
|
|
|
|
☞ |
위의 경우 { <가로모음 + 세로모음>의
순차적 합성모음}이다. |
|
|
|
|
|
순차적 ... -> 가로모음에
기본적으로 1.5의 가중치가
부여된 경우 |
|
|
|
|
(이처럼 순차적
합성모음일 'w' 음소는 따로 붙지 않는다.) |
|
|
|
|
☞ |
('w' 음소가
생기려면 { <세로모음 + 가로모음>의 역차적
합성모음}이어얀다. |
|
|
|
|
|
|
|
|
|
|
|
# |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의 경우 가중치에
따라 세로모음이 먼저 발음될 수도 있다. |
|
|
|
|
♠ |
now[nau] -> 나우 -> 나 ㅜ
-> 나 : |
|
|
|
 |
|
|
|
|
|
|
|
|
☞ |
위의 경우 { <세로모음 + 가로모음>의
역차적 합성모음}이다. |
|
|
|
|
-> |
먼저,
가로 모음에 기본적으로 1.5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그리고 가로 겹모음 ' '의
경우 <2의 가중치>가 주어져 도합 3.5의 가중치가 된다. 한편, 세로 모음의 경우 5의 가중치가 붙은 모음으로서,
발음에 대한 우선순위가 세로모음이 되므로 ' '의
경우 '나우'처럼 발음된다. |
|
|
|
|
|
이처럼 한글에선 한빛
이기희가
창출해낸 겹모음이란
개념이 도입되어 발음에 대한 우선순위를 가늠하게 된다. |
|
|
|
|
|
한편, 엔글의 경우 세로모음이 먼저
발음되고 가로모음이 발음되는 합성모음일 경우 'w'라는 음소를 도입하여 발음에 대한 우선순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ow'의 경우가
대표적이라 하겠다. |
|
|
|
|
|
// 'law'와 같은 경우 '라오'
-> ' '처럼... //
다른 경우도 이이 비슷한 맥락으로... |
|
|
|
ex) |
pow[pau]
-> 아래 참조 |
|
|
|
|
|
|
|
|
|
|
cf) |
now[nau] -> 나우 ->
|
|
|
|
|
-> |
위의 경우엔
세로모음에 겹모음이 붙은 띠겹모음이
된다. 물론 발음은 세로모음인 '나'를 먼저 발음하고 '우'를 발음한다. 그렇지만 위처럼<세로*가로의 역차적
합성모음>이 아니라 <'나'라는 세로모음에 '우'라는 가로모음이
부가적으로 붙은 순차적 음소>이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