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리(Saitsori)
''
: |
|
받침없는 실질형태소의
단어와 실질형태소의 단어가 합성될
때, 앞의 말에 강세가 있고, |
|
말
첫음이 fortis화 되지않게 앞말 받침에 't(ㅌ)/d(ㄷ)'음가의 매개(媒介)음소인 '∧'
기호를 |
|
붙여 본래의
뜻과 구분될 때 쓰이는 것을 '사잇소리' 즉, '소리(Saitsori)'라
한다. <- 합성어<-
복합어
|
|
//
Sait은 Circumflex, 즉 '∧'
기호를 사용한다. |
|
cf) |
실질형태소
단어 + 조사(Particle)의 활용 |
=> Flex |
|
|
렉스(flex)는
받침시읏(ㅅ) 기호이다. |
|
|
|
|
☞ |
|
|
|
|
필자는
'∧'
기호를 'CircumFlex'라고 부르기도 한다. // Flex와 일맥상통한 면이 있으므로 |
|
☞ |
''은
소리/글자의 줄임에 대한 표시이다: 단모음화 |
|
|
|
|
|
|
1) |
소리(공간/띄움)의
줄임: [사이:소리]
-> [사소리]
- Shortening a vowel + Accent(강세) |
|
|
|
|
|
|
|
2) |
글자의
줄임: Shortening
a letter: |
|
|
|
① |
'~의'의
줄임: 자리(place) + 세(tax) =>
'자리의 세'
=> 자세,
건방 |
|
|
|
|
|
|
|
|
② |
글자의
줄임: |
|
|
|
|
|
|
|
|
|
☞ |
특히
뒷음이 깊원음(Void 'ㅇ')인
경우, 뒷 'ㅇ'이 없어지면서 겹모음/띠겹모음으로
되는 경우 사잇소리 배제, 즉 Deflex된다: |
|
* |
호우바
-> |
바
|
|
|
니중모음 |
겹모음 |
|
|
|
-> |
|
|
그말인즉,
겹모음이 배제되면 사잇소리가 개입된단 말이다. |
|
다시말해,
글자가 줄어들면 사잇소리가 개입된단 말이다. |
|
* |
호우바
-> |
홋바
|
|
|
니중모음 |
홑모음/단모음 |
|
|
|
|
<글자의
줄임 + Flex 't'>의 전형(典型): notebook |
|
* |
노우트북
-> 트북
-> 북 |
|
|
니중모음 |
겹모음 |
flex
't' |
|
|
☞ |
|
|
|
뒤에도
강세가 주어지면 [놑붘].. |
|
|
[놑뿍].. |
|
|
|
|
|
|
|
2) '~다른
글자 '의 줄임 |
|
|
|
|
|
|
|
|
cf) |
|
|
|
|
축약에
따른 강조:
어감에 따른 해석 차이 |
|
( Flex 생성
과정: 앞 강세화: ~라
하다 -> ~랗다 -
랏다 ) |
|
|
|
|
|
~라/러하다:
~정도쯤이라 하다 |
~랗/렇다:
그 정도가 꽤 또렷하다. |
평강세 |
앞강세 |
=>
'~라/러' |
=> '~랗/렇'
|
|
|
|
cf) |
~다라하다:
~정도쯤이라 하다 |
|
|
|
|
좁다라하다
- 평강세 |
|
|
cf) |
~다랗다:
그 정도가 꽤 또렷하다. |
|
|
|
|
좁다랗다
- 앞강세 |
|
|
|
|
|
의지/명령의
축약에
따른 강조 -> '릿/랏' |
|
|
|
☞ |
'소리'는
강세에 대한 표시이다: Accent(강세) |
|
|
->
|
앞말
끝모음에 강세 |
|
|
|
ex)
|
Let
it be =>
[ 렡잍비 ] => [
비 ] |
<-
fortis 배제(렛잇삐): |
|
ex1) |
Beatles의
유명한 노래인 <Let
It Be>를 한글로
표기하면 [렡잍비]처럼 되지만 '잇'의 첫음이 void 자음인 'ㅇ'일 경우 앞부분 받침은 LexTis
'd/t'의 'ㄷ'발음
- Sait 류형 - 으로 하고 '잇'의 받침은 뒷음의 fortis 회피를 위하여 Sait/Flex
류형이 된다. 또한 'Let It Be'의 경우 앞말이 강해지면 [렏잇비]처럼 첫말에 받침 'ㄷ'이
붙고 중간엔 가변적 flex가 붙은 '잇'으로 된다. (물론 이 때는 중간 글자인 '잇'에 강세가 있다.) 만약
끝음에 강세가 오면 [레딛삐]처럼 중간 글자 받침에 'ㄷ'이 붙고 끝음은 fortis로 발음된다.(표기와
발음은 상황에 따라 다르어진다.) 물론 Sait 류형에 따른 중간 글자 '딧'의 'ㄷ'이 강세의
전환에 따라 류음화되어
'乙'로
변하여
앞강세의 '레비'처럼
할 수도 있다.
-
©2018 한글(Hangle) |
ex2) |
영화
<겨울왕국>에서 유명한
노래인 'Let
It Go'를
한글로
표기하면 [렡잍]처럼
되지만 '잇'의 첫음이 void 자음인 'ㅇ'일 경우 앞부분 받침은 LexTis
'd/t'의 'ㄷ'발음 - Sait 류형 - 으로
되고 '잇'의 받침은 뒷음의 fortis 회피를 위하여 가변적 형태의 즉, flex 류형의 'ㅅ'이 붙은 [렛잇고]처럼
<받침 시읏>을 쓴다. 다만 본 노래 'Let It Go'의 경우 끝부분 'Go'가 강해지므로 [렛딛고]처럼
첫말은 가변적인 flex에 따라 받침이 붙었다가 떨어져나가고, 또한 [레딧고]처럼 중간글자에 flex 류형이 되었다가
결국엔 사잇소리 류형의 받침 'ㄷ'이 붙고, 끝말인 '고'에 강세가 오는, 즉 '레딛꼬'처럼
읽는다. 아울러 여기서 앞강세로의 전환에 따라 중간 글자 '딧'의
'ㄷ'이 류음화되어 '乙'로
변할 수도 있다.-
©2018 한글(Hangle) |
|
☞ |
한글에서
어떻게 해서 <'ㄷ' 다음에 'ㄹ/乙'이
나오는지> 한빛
이기희가
윗글을 작성하다 쾌재를
외치며 간파해냈다(2022/12/15). -
©
한글(Hangle) |
|
|
☞ |
|
|
|
|
* |
렉스(Fex)는
실질형태소에 받침
'ㅅ(시읏)' 기호가 붙은 것이다. |
|
// |
사잇소리(Saitsori)는
''기호를
받침에 붙인다. |
|
|
|
|
☞ |
|
|
|
뒤에도
강세가 주어지면 [놑붘].. |
|
|
[놑뿍].. |
|
* |
렉스(Fex)의
기본구성음은 'ㅌ'과 Hidden 'ㅅ'의
받침겹자음이다. |
* |
'ㅌ'
받침의 실질형태소에 짧은 홑음절의
강세가 있다. -
홑단음 앞강세 |
|
|
|
|
|
|
|
|
☞ |
'앞강세
단모음화' 그 원리/유래에 대하여
-> Go(▶) |
|
|
|
ex) |
깨[ggae](sesame)
+ 단[dan](a bundle) |
▶
[깨
+ 단] |
[ggae
+ dan] |
ggaedan |
|
=> |
|
|
단 |
▶
[꺁단] |
[ggaetdan] |
ggaeddan |
|
|
[ggaet
- td] |
|
[dan] |
|
Hn:
[깻단] |
En:
[깨단] |
|
|
|
|
|
|
|
|
|
# |
'
ts' /
' tt ' /
' dd ' 구분은
뒤따르는 음에 따라 결정된다: |
|
|
|
|
|
|
# |
글자가
자음이면
앞글자 받침의 소리는
'ㅌ' 발음이 되고, 음은
fortis로 변하지 않는다: |
|
|
ex) |
* |
무[mu](raddish):
+ 국[guk](broth) |
|
|
=> |
* |
[mutg]
+ 국[guk] |
|
|
|
//
뒤따르는 음이 g 자음이므로
'tg' |
|
|
|
사잇소리가
개입되므로 '뭍꾹'이 아니라 뭍국[mutguk]'으로 발음된다. |
|
|
|
엔글식
표기는 뒷음에 닮아서 앞강세의 'mugguk'처럼
된다. |
|
|
|
cf) |
Sait이
아닌 받침자음이면 음은
fortis화된다. |
|
|
|
|
|
묵
+ 국 -> 묵꾹 |
|
|
|
|
|
|
|
|
|
|
|
|
뒤따르는
음이 거센소리(ㅊ/ㅋ/ㅌ/ㅍ)나 fortis(ㄲ/ㄸ/ㅃ/ㅆ/ㅉ)일 경우라도 <본래의
뜻이냐 활용된 의미냐>에 따라 소리
여부는 결정된다:
뒤 + 뜰 -> '뒤뜰/뒷뜰' => 아래 '개정편' 참조 |
|
|
|
# |
글자가
void 자음, 즉 모음이면
앞글자 받침의 소리는
'ㄷ'
발음이 되고, 음은
Flex와 다l 'ㅅ'으로 연음되지 않고 아래와 같은
것으로 연음된다; |
|
|
▶ |
글자가
'이' 이외의
모음이면
'ㄷ' 받침에 글자는
'ㄷ'이
가미되어 발음: [dd] |
|
|
* |
위
+ 어른 -> 어른
-> 어른[L더른:uddeoreun]
|
|
|
|
|
|
▶ |
글자가
'이'
모음일 경우; [odd]
=> 단음화:
'ㄷ'
받침 + 'ㄷ'
초성 |
|
|
=>
장음화:
'ㄴ'
받침 + 'ㄴ'
초성 |
|
|
ex) |
깨[ggae](perilla)
+ 잎[ip](leaves) |
▶
[깨
+ 잎] |
[ggae
+ ip] |
ggaeip |
|
▶ |
앞
강세 + '깨의
잎'
줄임 => 단음 => 소리
-> 'd / d' |
|
|
=> |
|
|
잎 |
▶
[K] |
▶
[깨K] |
|
|
|
[ggaedd
- dd] |
|
[ip] |
[ggaed
dip] |
[ggae
dip] |
ggaeddip |
|
|
|
|
|
Hn |
|
En:
[깨] |
|
▶ |
앞
강세 + '깨의 잎'
줄임 => 장음화 -> (ㄴ/ㄴ) |
|
|
=> |
|
|
잎 |
▶
[닢] |
▶
[깬:닢] |
|
|
|
[ggaedd
- dd] |
|
[ip] |
[ggaed
nip] |
[ggaen
nip] |
ggaennip |
|
|
|
|
|
Hn |
Hn:
[깬닢] |
En:
[깨닢] |
|
① |
앞음을
짧게 발음하면 글자는
잎[K:ggaeddip]처럼
'ㄷ'이
가미되어 |
|
연음되겠지만 '∧'은
연음되지않는다. |
|
|
잎
->
[깯딮:ggaeddip] (O)
cf)
값어치
|
|
|
->
[깨딮:ggaeddip] (O) |
|
|
//
[깨싶:ggaedsip] (×) |
|
|
//
[깯싶:ggaedsip] (×) |
|
|
//
[꺁싶:ggaetsip] (×)
|
② |
앞음을
길게 발음하면글자는
'ㄴ'이 가미되어 발음되며, 결국 En처럼 |
|
앞음 받침도 'ㄴ'으로 변한다. |
|
ex) |
잎[닢]
[ggaednip]
-> [깬닢]
[ggaennip]
// [そ?
=>
With
En/Hn
|
|
☞ |
장모음의
Pattern에 따라 'ㄴ'으로
변한 경우도 있다; |
|
ex) |
위[wi]
+ 이[i] |
▶ |
이 |
widd
i > wid di
> widdi |
|
|
upper
+ teeth |
|
[시]
(×) |
ㄷ
이 > 디 >
디 |
|
|
장음화 |
=>
|
니 |
wid
ni
> wi:n
ni
> winni |
|
|
|
|
|
니 > 윈: 니 >
위니 |
|
|
|
|
En) |
wid
ni > wi:n
ni
> winni |
|
|
|
|
|
니 > 윈: 니 >
위니 |
|
|
|
|
|
|
|
|
|
|
|
|
|
|
|
|
-
한빛
이기희 특별 제시 - |
|
☞ |
'소리'는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앞강세
단음화되면 붙인다. -
Hangle |
|
|
(즉,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쓰일수있다.) |
|
|
* |
인사과:
|
|
|
|
|
일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도록 관리하는 부서 |
|
|
|
|
|
|
|
* |
인삿과:
|
|
|
|
|
일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도록 관리하는 부서를
대상화하여 지칭할 때 |
|
|
|
|
|
|
|
|
ex) |
머리말
-> 머릿말(preface) |
|
|
'머리말'이란
그 자체가 문맥상의 오류에 해당되므로 당연히 '머릿말'로 해얀다. |
|
|
필자는
'즈음말'로
한다. |
|
|
|
|
ex) |
이번주
내내 장마비가 내리겠다. |
|
장맛비처럼
오락가락하는 비에 후줄근해진 몸 |
|
장대비처럼
내리는 폭우, 그 장댓비
폭우에 온몸이 젖었어. |
|
|
|
|
|
|
|
|
|
|
|
☞ |
요약)
단어합성,
앞에 't/d' 음가의 강세를
지닌 단모음, 부분은
fortis化 배제 |
|
|
ex) |
*
초(candle)
+ 불(fire) |
=> |
초[cho]
+ 불[bul] |
* |
소리 줄임 |
*
|
글자
줄임: '의' |
|
장음->단음 |
|
|
|
|
|
|
?[chot]
+ 뿔[bbul] |
|
|
|
cf) |
앞말끝
받침이 강세를 지닌 'd(ㄷ)/t(ㅌ)' 음가일 경우 말은
fortis로 읽힘 => Go |
|
|
|
|
[chot]
+ 불[bul]-
Hn |
초[cho]
+ 불[bbul]
- En |
|
|
|
cf) |
한글식
표기/발음과 엔글식 표기/발음이 다르다. ↓↓ |
|
|
|
|
☞ |
'
ts' /
' tt ' /
' dd ' 구분은
뒤따르는 음에 따라 결정된다; |
|
|
▶ |
|
|
|
* |
비[bi]:rain
+ 물[mul](water: noun)
=> 비의 물 |
|
|
|
=> 물[빝ㅁ
물:bitm
mul] => [빝
ㅁ물:bit
mmul] => [빗물:bit
mul] |
|
|
|
|
|
▶ |
|
|
|
* |
옷[ott]:clothes
+ 에[e](on: prep) |
|
|
|
=>
옷에[에:ots
e]
=> [옽세/ot
se]
// [옫데/odde] (×) |
|
|
|
|
|
|
|
|
|
|
|
|
|
|
|
|
|
* |
|
|
☞ |
받침이
있는 곳엔 (Sait)이
표기되진않지만 Hidden Sait으로 개입된다.
-
©
한글(Hangle) |
|
ex) |
[ots]:clothes
+ 안[an](inner side: noun) |
|
|
|
실제론
' 안'의 형태이다. |
|
=> |
안[otd
an] => 옽단[ot
dan] =>
옫단[od
dan]
=> 오단[od
dan]
|
|
|
#
뒤따르는 음이 void 자음, 즉 모음이므로 'dd' |
|
|
#
사잇소리도 강세와 련계된다: dd |
|
|
|
|
|
|
#
받침 자음 강세에서 모음 강세로 전이:
od
dan
-> oddan |
|
|
|
|
Hn
=> |
옫단[od
dan]
-> 오단[od
dan] |
|
|
|
|
|
|
|
|
//
[옫산ossan](×) |
|
|
* |
'dd' 유사 형태: |
|
|
|
ex) |
값어치:
[갑버치 -> 가버치]
// [갑서치] |
|
|
|
|
|
위처럼
'값'에도 Hidden
Sait이
개입된 것으로... |
|
|
|
|
|
|
|
|
|
|
☞ |
매개받침
'ㅂ'은 준사잇소리에 해당된다. |
|
|
|
|
|
해
+ 쌀 -> 햅쌀 |
|
|
|
|
|
|
|
|
|
|
|
cf) |
받침이
있는 곳엔 Flex가
표기되진않지만 hidden Flex로 개입된다.
-
©
한글(Hangle) |
|
|
옷에[ots
e] => 옽세[ot se] |
|
|
|
|
|
|
|
|
|
|
|
|
|
|
|
|
*
음가 유형: |
|
Hn)
|
ㄱ, ㄷ,
ㅂ, ㅅ, ㅈ // ㄴ, ㅁ // ㅇ -> ㄴ //
'ㄹ': 가변적 |
|
En)
|
b,
d, f, g, j, m, n, p, s, t, z // 엔글식
표기방식 절충 // 'r/l': 가변적 |
|
|
1) |
ㅌ+
~ |
|
|
|
<-
뒷음이 자음일 경우 |
|
|
Hn |
naett
ga -> naet ga, bott
duk -> bot duk...
-
't' 탈락 |
|
|
En |
naett
ga ->
nae gga, bott
duk -> bo dduk
... - 앞 't'
탈락 + fortis |
|
|
|
bubble[블/버블],
middle, baffle,
giggle ... battle,
mizzle |
|
|
|
|
|
|
|
날,
물
/ 무날,
단날,
, 놀이,
니
/ 마을,
말,
말,
몸,
물
|
|
|
|
kotd
nal -> kot nnal,
bitd mul -> bit
mmul |
|
2) |
ㄷ+
ㅇ->ㄷ |
|
|
|
<-
뒷음이 모음(Void 자음)일 경우 |
|
|
Hn |
witd
ot -> wit dot, |
|
|
En |
witd
ot -> wit dot
-> widdot |
|
3) |
ㄷ+
ㅇ->ㄴ |
잎,
나잎,
허드일,
가일,
일(洑일):
장모음화
=> '~ㄴ |
|
|
<-
앞음이 장모음화될 경우 |
|
|
|
|
♨ |
보(洑[fu]):
물 + 사람 + 개 |
|
|
|
얼마나
물이 귀했으면... |
|
|
'다'란
말도 여기서 유래했을까? |
|
|
=>
'다'
둘러보기 |
|
|
|
|
니 |
|
|
|
위 + 이 => 이
=>
디 |
|
|
|
wi + i =>
widd i =>
wid di |
|
|
|
위
+ 이 => 이
=> 장모음화:
니[wid ni] =>
윈:니[win ni] -
Hn |
|
|
|
wi
+ i => widd i => wid
ni => 윈니[win
ni] -> 위니[winni]
- En |
|
|
|
|
|
|
|
|
|
|
♠ |
소리에
대한 Hangle
개정
-
추가편 |
©2018 한글(Hangle) All Rights Reserved / 이
자료는 저작자의 동의없이 게재하거나 모방할수없니다. |
사이트의 저작물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와 정성으로 빚어낸 로동의 결과물로, 이는 어느 것 못지않게 소중한 지식(知識) 재산이며, 그런 땀과 열정에 대한 보상 또한
한빛
이기희의 몫이니다. -> 지식재산권
그러하여, 이곳 한글 리론에 대한 권리는 전적으로 한빛
이기희에게 있으며, 이러한 필자의 리론을 각색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유사하거나 제2의 저작물을 무단 생성하는거는 창의적 발상을 가진 이를 기만하는 행위이고, 특히, 온라인 매체에 이곳의
내용을 자신의 리론인마냥 무분별하게 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하니다.
|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말이
거센소리(ㅊ/ㅋ/ㅌ/ㅍ)
또는 fortis(ㄲ/ㄸ/ㅃ/ㅆ/ㅉ)일지라도
(Sait)
소리는
활용될수있다. 다시말해, 본래의 뜻에 충실하면 (Sait)소리는
붙이질않고, 용도나 다른 뜻으로 활용되면 (Sait)소리를
쓴다. // 기존규정(~2019/05/30)과 다름 |
|
☞ |
말이
'void ㅇ'일 경우에도 위와 같은 규칙 적용 |
|
|
|
// |
소리는
통상 뜻의 활용적인 측면에서 다뤄짐을 나타낸다. |
|
|
|
// |
소리도
Flex처럼 강세를 지닌 단모음의 형태를 띤다. // 강세 부각 |
|
|
|
|
// 소리는
Flex와 다l 뒷음이 거센소리 또는 fortis일지라도 붙음 |
|
ex) |
거센소리::
ㅊ, ㅋ, ㅌ, ㅍ |
|
|
# |
뒤
+ 풀이 -> 뒷풀이 (<- '뒤풀이'란 말은 본래의 뜻을 지니기가 애매하므로...) |
|
|
# |
뒤
+ 통수 -> 뒤통수: |
|
|
|
* |
머리를
다치면 의사는 뒤통수부터... //
의학적 근거는 없~음! |
|
|
cf) |
뒤
+ 통수 -> 뒷통수: |
|
|
|
* |
그렇게
까불다간 뒷통수... //
본래 의미가 아니라 신체
주요 부위... |
|
|
# |
위
+ 층 -> 위층 // 지정된 위의 층 // 본래의 층 |
|
|
|
아래
+ 층 -> 아래층 // 지정된 아래의 층 |
|
|
cf) |
위
+ 층 -> 윗층 // 통상 상위의 층 |
|
|
|
아래
+ 층 -> 아랫층 |
|
ex) |
된소리(fortis):
ㄲ, ㄸ, ㅃ, ㅆ,ㅉ |
|
|
# |
뒤
+ 뜰 -> 뒤뜰
// 지정된/본래의 뜰 |
|
|
|
* |
뒤뜰에
가서 나무토막 좀 가져오렴. |
|
|
|
뒤
+ 뜰 -> 뒷뜰 // 통상 뒤에 있는 뜰 |
|
|
|
* |
뒷뜰엔
가리려는 물건이 많다. |
|
|
# |
위
+ 쪽 -> 위쪽 |
|
|
|
위
+ 쪽 -> 윗쪽 |
|
|
|
* |
// |
|
☞ |
이제 소리는
뜻의 활용에 따라 결정되고, 강세가 주어져 강조된다. |
|
|
|
→ |
단어
합성일지라도 고착화되면 사잇소리 배제 |
|
|
*
둘레[dule] + 소리[sori] -> 둘렛소리[duletsori]
/ 둘레소리[dulesori] |
|
|
*
둘레 음 -> 둘렛음 / 둘레음 |
|
|
//
둘렛소리 / 둘렛음 -> 둘레소리/둘레음
<-
이제 고착화된 용어로... |
|
|
//
um + laut -> UmLaut -> Umlaut |
|
|
|
|
|
|
cf) |
|
|
|
사소리(dd)'와
렉스(td)는
혼용된다! |
해+님
=> 해님 (?) / 햇님(?) |
해:sun
+ 님:honorific |
▶ |
[?님] |
[님]
|
해님 |
[haetnym] |
haennim |
|
[hae] + [nim] |
|
[haet
nim] |
|
'~님'은
접미사이므로 사소리
붙이지 않는다는 기존의 규정을 이제 한빛
이기희는
옹호하지 않는다. |
다시말해,
<대등 연결인 균형-> 앞강세의 '사소리(dd)'>와
<주*종의 앞강세인 렉스(td)
기호>가 혼용되기도 한다. -
©2018 한글(Hangle) |
☞ |
사잇소리가
붙지않는다고 Flex까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
©
한글(Hangle) |
즉, '해님'인지
'햇님'인지는 어감에 따라, 특히 엔글식으로 해보면 'haenim'처럼 'n'이 하나로 쓰이는가
아니면 'nn'처럼 쓰이는가에 따라 사소리,
아니 렉스(Flex)
부착 여부가 결정된다. |
이는
어감상의 문제이며, 접사의 관계에서 비롯된 앞 강세의 렉스(Flex)로
귀결된다. // 'haennim/haennym'을
엔글식으로 읽으면 '해님'이겠지만 앞강세이므로, 한글식은
'햇님(haetnym)'이
된다. |
|
엔글권에서
'y'는 왜 필요한가? |
|
위처럼
한글식으로 Flex의 'ㅅ[td]'가
들어가면 뒷부분은 'i'가 아니라 'y'가 개입된 'nym'처럼 된다. 이는 <'y'가
Flex에 호응하여 짓누르는 느낌의 음소>라고
한빛
이기희는
주장한다. |
또한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해'이지 '님'은 아니므로, 즉 '해' 부분을 강하게 읽어야 하므로 균형강세의 '사소리'가
아니라 'ㅌ'과 히든 'ㅅ'의 렉스(Flex)
원칙에 따라 '햇님'으로 한다. |
(만약
'님'이라는 부분이 사람을 나타내는 경우라면 '해님'으로 한다. 물론 엔글로도 'haenim'...
// haenym) |
('햇님이
방긋 웃는다'라는 말이 어떤 의미 - 때론 의인화 - 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LexTis가 류동적으로
쓰인다.) |
=>
LexTis /
AsTis |
|
|
|
|
♠ |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앞강세
단음화되면 '(Sait)'을
붙인다. - Hangle |
|
|
=>
|
'(Sait)'소리에
대한 재조명 |
머리 +
말 => '머말' |
|
|
|
|
|
♠ |
음이
fortis이면 '소리'는
퇴색된다. <-
강세의 이동에 따라... //
유연함은 유효 |
|
|
ex) |
*
김치 +
국 => 김국 |
*
김치 +
찌개 => 김치찌개 |
|
|
''
강세 |
|
'찌'
강세 // fortis |
|
|
|
'꾹'
회피 |
|
|
|
|
|
* |
개똥,
보리쌀, 허리띠 |
|
|
|
물론
본래의 뜻에서 벗어난 의미를 지니는 단모음 앞강세 유형을 취하면 '소리'를
붙일 수도 있다. 즉, '소리'는
강세와 소리의 짧음에 의해
결정된다. |
|
|
다들
'허릿띠' 졸라매고 열심히 일해보세나. |
|
|
|
//
구체적으로 허리띠를 의미하진 않으므로 '소리'
가능 |
|
|
|
|
|
|
♠ |
음이
Aspirated되어
거센소리(ㅊ, ㅋ, ㅌ, ㅍ,
ㅎ)로 변했다면 '소리'는
안쓴다. |
|
|
<-
그 자체로 이미 활용된 것이므로... |
|
|
|
|
|
|
* |
|
|
|
|
류제(類題[leiti/티]) |
|
|
갯벌:
a sandbar; a sandbank |
|
|
개펄:
slime along the bank of an inlet; silt (at an estuary) |
|
|
|
//
|
|
|
|
|
|
소리는
류동적(flexible)
/
가변적(variable)이다! |
|
-
Fortis화 / Sait / Semi-sait / Aspirated -
|
|
|
*
|
기차
+ 간: |
|
|
기차(gicha)
+ 간(gan) => gicha gan |
기차 간 |
between
trains |
|
띄인
경우 |
|
1)
|
명사
합성이 아니라 개개의
명사가 되거나 |
|
|
|
기차
간 = 기차(train) + 간(partition) |
|
2)
|
명사
합성이 아니라 일종의
부사구가 되기도 한다 - 의사 부사구 |
|
|
|
기차
간 = 기차 간에, 즉 <between trains> |
|
|
|
|
//
|
|
->
기차(gicha) + 간(gan) => gichagan |
기차간 |
train partition |
=>
합성되면 Fortis화(기?깐) =>
Fortis화 회피: 사잇소리
↙ |
기차(gicha)
+ 간(gan) => gichaggan |
기간 |
in the train |
=>
'Hidden
't' => Sait/Semi-sait |
기?간 |
|
=>
Fortis화(기?깐)
=> Fortis화
회피: 뒷음 aspirate
↙ |
기차(gicha)
+ 칸(kan) => gichakan |
기차칸 |
the partitions of a
train |
=>
'Hidden
'h' => Aspirated: '휘파람' |
|
|
|
|
|
* |
기차 간에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다. |
|
|
* |
기차간에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다. |
|
|
* |
우리는 기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
|
|
* |
기차칸은
불연재로 만들어진다. |
|
☞ |
[사소리]에서
[기음화(Aspirated Sound)]로의 전환도 일종의 Pattern이다! |
|
|
ex)
기간
=> 기차칸 |
|
|
|
|
|
|
//
|
본래의
뜻을 그대로 결합할 땐 소리가
불필요하다. |
|
=>
the B of A |
|
|
* |
인사(greet)
+ 말(address) |
인사말:
an address of greet |
|
|
* |
먼저
그의 인사말이 있겠니다. |
|
|
* |
보리고개는
중력에 의해 구부러진다. |
* |
사이시웃 |
사이소리 |
* |
살구색 |
살구색은
푸르다가 연갈색으로 변한다. |
|
|
|
♣ |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앞강세
단음화되면 '(Sait)'소리를
붙인다. - Hangle |
<- |
합성어의
소리
규정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라도 본 사항에 우선순위가 있다. |
|
|
* |
머리(head)
+ 말(address) |
머리말:
a head address (/) |
|
->
|
머말:
a preface |
|
|
* |
출판에
있어서 머말은
중요하다. |
|
|
* |
예전엔
해마다 보고개가
있었다. |
|
살색/살빛:
apricot color |
|
|
* |
살빛
피부는 노릇하게 굽힌 빵같다. |
|
|
|
|
|
|
♣ |
본래의
뜻을 그대로 결합할 땐 소리가
불필요하다. |
|
=>
the B of A |
|
|
* |
인사
+ 말 |
인사말:
an address of greet |
|
|
* |
먼저
그의 인사말이 있겠니다. |
|
|
* |
보리고개는
중력에 의해 구부러진다. |
|
|
=> |
The
nape of varley become bent by gravity. |
|
|
|
♣ |
소리는
형용사화(adjectival)의 일종이다. |
|
=>
the A B |
|
|
* |
보리(barley)
+ |
고개(nape/ridge) |
|
|
=> 보고개:
the "barley hump" |
|
|
|
the
spring famine; famine just before the barley
harvest in the early summer |
|
|
* |
예전엔
보고개를
넘기기가 힘들었다. |
|
|
|
|
|
<- |
이미
언급되었거나 지시 관형어로 한정될
경우 앞강세
단음화되면
소리가
개입된다. - Hangle |
|
<-
이제 류동적(flexible) 소리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
|
* |
인사 + 말 |
|
|
인사말:
the greeting address |
|
|
* |
먼저
ㅇㅇㅇ의 인사말이 있겠읍니다. 자, 박수~ |
|
|
인말: |
|
|
* |
그런
인말은
아니한 것만 못하다. |
|
//
이처럼 사이소리 'ㅅ'은 상황에 따라 류동적으로 쓰인다. - Hangle |
|
|
|
|
|
|
A: |
자네,
인사과에서 근무하면 어떻겠나? |
|
B: |
아뇨,
전 인과가
싫어요. (이러면 안되겠죠~ ㅎㅎ) |
|
|
☞ |
그렇게
소리가
개입될 경우 음의 속도가 빨라지고 어감도 거칠어진다. |
|
|
//
이처럼 사잇소리는 절대 규정화할 부류의 것은 아니다! |
-
사소리는
류동적(flexible)
/
가변적(variable)이다! - |
|
|
|
|
|
|
|
|
|
요약)
단어합성: 앞 음(flex)에 't' 음가의
강세를
지닌 홑음 그리고 부분은
fortis 소리 배제 |
|
ex) |
|
the
house of tea |
the
tea hoiuse - adjectival |
|
Hn |
|
=>
chatjib |
집 |
차찝(/) |
찝(/) |
|
|
|
//
한글식 단어 결합: 't' 음가 지닌
소리 |
|
En |
|
=>
chajjib |
차찝(/) |
차집 |
찝(/) |
|
|
|
//
엔글식 단어 결합: 뒤 음소와 같은 자음 추가 |
|
|
|
//
엔글식 소리=>
앞음:
강세를
지닌 홑단음 /
말:
표기는 fortis, 읽기는
단자음 |
|
|
ex)
|
대
+ 글 -> 글 |
ex)
|
보(洑:bao)
+ 물 -> 물(dam
water) |
|
|
dae |
geul -> daetgeul
- Hn |
cf) |
bo |
mul -> 물[botmul]
- Hn |
|
|
dae |
geul
-> daeggeul
- En |
|
bo |
mul
-> bommul
- En |
|
|
|
|
cf1) |
앞
음이 장모음/2중모음이면
소리는 |
|
|
|
|
|
붙지않는다. |
|
|
|
|
|
* |
보:물(treasure) |
* |
바오물(treasure) |
|
//
'바오'를 Dual
Vowel로 하면=> |
|
//
앞 강세 단모음이면 사잇(Sait)소리 |
|
=>
바오 + 물 => 바물 |
|
|
|
|
|
☞ |
실질형태소와 조사(Particle)의 결합인 Flex(렉스(∧))와
(Sait())소리는
구분된다. |
|
//
소리와
Flex의 차점은
아래 예제에서 구분할 수가 있다. |
|
|
|
|
|
|
|
☞ |
소리(Sait)은
실질형태소와 실질형태소의 관계에서 다룬다. |
|
->
합성에 따른 음운 첨가에 중점을 둔다. |
ex) |
니:
|
위:
upside + 이: teeth |
▶
표기: |
▶
[니] |
Sait |
|
|
|
|
▶
[시] (×) |
Flex
(×)
|
|
|
|
-> |
실질형태소[위]와
실질형태소[이]의 결합과 강세 => Sait |
|
|
|
|
|
|
☞ |
렉스(flex)는
실질형태소와 활용어미와의 관계에서 다룬다. |
|
->
활용에 따른 음운 변화에 중점을 둔다. |
ex) |
옷에:
|
옷:
clothes + 에: in/on |
▶
표기: |
▶
[옫데] (×) |
Sait
(×)
|
|
|
|
|
▶
[옽세] |
Flex |
|
|
|
-> |
실질형태소[옷]에
형식형태소[에]의 결합이므로 Flex |
|
cf) |
옷:
clothes + 안: inside => 안:
실질형태소 + 실질형태소
=> 위 참조 |
|
cf) |
[잎]의
경우에도[깨]와 [잎]의 결합이므로 [딥]/[깬닙][そ?으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