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나잎 |
|
|
|
|
|
먼저
'사소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자. |
|
☞ |
받침없는
실질형태소의 단모음 앞말이 실질형태소의 뒷말과 합성될 때, 앞말끝에
강세를 |
|
지닌 폐쇄적 음가인 't(ㅌ)/d(ㄷ)'가 뒷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즉 fortis되지 않도록 홑음의 |
|
''
기호를 앞말 받침에 붙이는 것을 '사(Sait)'이라
한다. <- 합성어 <- 복합어 |
|
|
|
요약)
단어합성: 앞음(flex)에
't' 음가의 강세를
지닌 홑음 그리고 부분은
fortis 소리 배제 |
|
|
|
|
☞ |
글자가
자음이면
앞글자 받침의 사소리는
'ㅌ' 발음이 되고, 음은
fortis로 변하지 |
|
|
않는다: [tt]:
단[ご?
[ggaetdan]
- flex와 일맥상통 |
|
|
|
|
☞ |
글자가
void 자음, 즉 모음이면
앞글자 받침의 사소리는
'ㄷ' 발음이 되고, 음은
|
|
|
Flex와
다l 'ㅅ'으로 연음되지 않는다; |
|
|
->
글자가
void 자음, 즉 모음이면 'ㄷ' 받침에
글자는
'ㄷ'이
가미되어 발음: [odd] |
|
|
->
|
위
+ 어른 -> 어른
-> 어른[L더른:uddeoreun]
// [L서른:udseoreun] |
|
|
->
글자가
'이'
모음일 경우; [dd]
=> 장음화:
'ㄴ'
받침 + 'ㄴ'
초성 |
|
|
->
|
ex) |
깨[ggae](perilla)
+ 잎[ip](leaves) |
▶
[깨 +
잎] |
[ggae
+ ip] |
ggaeip |
|
|
앞 강세 + '깨의
잎' 줄임 => 장음화(ㄴ/ㄴ) |
|
|
=> |
|
|
잎 |
▶
[K] |
▶
[깬:닢] |
|
|
|
[ggaedd
- dd] |
|
[ip] |
[ggaed
dip] |
[ggaen
nip] |
ggaennip |
|
|
|
|
|
깨K |
Hn:
[깬닢] |
En:
[깨닢] |
|
|
|
|
|
|
|
☞ |
먼저
특정 단어에 대해 한글과 엔글이 어떻게
표기되는지 알아보자. |
|
|
사소리에서
변형된 형태가 나오기도 한다: tt
-> dd
-> nn |
|
ex) |
나무[namu]:
tree + 잎[ip]: leaf |
|
|
=> |
나무잎(namuip) |
=> |
나잎(namuttip) |
=> |
나뭍?[namuttip] |
tt |
|
|
|
normal |
|
accented |
=> |
나묻K[namuddip] |
~이 =>
dd |
|
|
|
|
|
|
=> |
나문:닙[namunnip] |
장모음화 => nn |
|
|
|
|
|
cf) |
나뭍싶 |
Flex (/) |
|
|
|
|
|
|
|
En |
|
나잎 |
|
|
|
|
나
잎
=> 나뭍?
=> 나무
=> 나무? |
|
|
|
|
na
mutt ip
=>
na mut tip
=> na
mu ttip
=> [na
mu tip] |
|
|
|
|
|
|
|
|
|
|
나
잎
=> 나묻K => 나무
=> 나무K |
|
|
|
|
na
mutn ip => na mud dip => na mu ddip =>
na mu dip |
|
|
|
|
|
|
|
|
|
|
나
잎
=> 나문닢 => 나무
=> 나무닢 |
|
|
|
|
na
munn ip => na mun nip => na mu nnip =>
[na mu nip] |
|
|
|
|
|
|
|
|
|
|
|
|
=>
|
사소리
예제보기 |
|
|
|
차(tea)
+ 집(house) => 집(?찝)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