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제
아래 '붙임2'와 규정은 버린다. |
|
|
|
|
cf) |
엔글
'r'과 'l' 표기를 위와 같은 [붙임2] 규정으로 해버리면 정말
중요한 부분을 |
|
|
놓칠 수 있다. ↓ |
|
|
|
☞ |
한글이
딱딱하고 투박하게 느껴지는 이유: |
|
|
=> ' r '과 ' l ' 구분없이 'l'
음소만 사용하는 것 |
|
|
<-
이제 엔글 'r'에 해당하는 음소
'乙'을 한글에 도입하여 |
|
|
좀 더 유연하게... |
|
|
|
|
|
☞ |
한글
단어도 'ㄹ/乙'에 따라 구분될 필요가 있다. |
|
* |
버다[beoda]: sprout,
grow ... earn |
|
|
->
Go |
|
|
|
-> 벋다 -> 벋교 -> 벗교
=> Buddha |
* |
버다[beorida]:
|
|
|
<-
'버다[beoda]'의
사동 |
* |
다[beorda]:
|
|
|
<-
'버다[beoda]'의
미래 |
* |
벌다[beolda]: 버어서
-> 틈이 생겨 사이가 뜨다:
wide/spaced |
|
|
->
Go |
|
* |
벌이다[beolida]:
틈이 생기도록 사이를 뜨다: get wider
|
|
* |
벌리다[beollida]:
틈이 생겨 사이를 뜨게되다: get widened |
* |
버리다[beolida]:
desert |
|
|
<-
벌이다[beolida] |
|
|
벌어서
-> 틈이 생겨 사이가 멀어지다
|
|
|
|
|
그래서
새로운 음소를 도입해 엔글의 'r'과 'l' 표기에 맞게 발음을 구분하도록
하자. |
|
|
특히
엔글 'r'에 해당하는 '乙' 음소는 소리를 부드럽게 해주는 측면이
강하므로 이를 |
|
|
잘
활용하아얀다. |
|
|
|
|
|
☞ |
엔글
'r'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乙'
과 엔글 'l'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ㄹ' 은 구분된다. |
|
|
* |
rose[rouz
]= [우즈]:
장미 |
|
|
|
초성에
엔글
'r'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乙'
음소와 발음을
사용한다. |
|
|
|
|
* |
lake[leik]=
[레이크]: 호수 |
|
|
|
초성에
엔글
'l'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ㄹ'
음소와 발음을
사용한다. |
|
|
|
|
|
더러는
이런 걸 왜 굳이 구분하냐고 반문하는 이도 있는데, 변변하지
않으면 업신여겨진다는 사실을 꼭
명심하길... =>
"Like'에
대한 추억"
참조
|
|
|
|
|
|
|
☞ |
엔글
'l'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ㄹ'이 연음화되면 'r'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乙'로
... |
|
|
* |
노동/기교를 의미하는
'루[lu/ru]' |
|
|
|
다루다:
da lu da ->
daruda |
=> |
|
|
|
|
|
|
|
☞ |
엔글
'r'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乙'
로 시작되는 글자는 아래와 같다 |
|
|
|
엔글
'r'에 해당하는 초성자음 '乙'
글자 |
|
|
|
|
|
|
|
|
|
[ra] |
[rya] |
[reo] |
[ryeo] |
[ri] |
|
|
|
|
|
|
|
|
|
|
|
|
|
|
|
|
[ro] |
[ryo] |
[ru] |
[ryu] |
[reu] |
|
|
|
|
|
|
|
|
|
|
|
|
|
|
|
|
# |
<사랑>인가
<사>인가
아니면 <사>인가? |
|
|
|
|
|
* |
讓
|
양[yang]
|
[rang] |
양[yang]
|
사양하다,
넘기다 |
decline |
|
|
|
|
|
|
|
|
|
엔글
'l에 해당되는 한글 'ㄹ'과 ' 르 ' & 엔글
'r'에 해당되는 한글 '乙'와 '
' |
|
|
|
|
한글에서
단 하나의 불규칙 변형 |
|
|
|
|
|
|
|
|
|
|
|
|
자음접변을
논할려면 ㄹ(l)과
乙(r)을
구분해야한다. |
|
|
|
|
|
|
☞ |
r 발음은 '외톨이(a single [lonely] person)'라는 말을 몇 번
되뇌어보면 충분히 알 수 있다. |
|
|
* |
실제로 '외톨이야'라는
노래의 엔글식 발음은 받침 ㄹ[l]에
따라 [외톨리야]이지만,
|
|
|
한글식
읽기는 받침
ㄹ이 뒷글자로 넘어가 乙[r]의
[외토야]처럼
발음된다. |
|
|
//
이처럼 표기와 발음에 차이가 있지만
2018 4 현재 ㄹ[l]과
乙[r]
구분않음. |
|
|
|
|
|
▶
유동모음
=> Go |
|
☞ |
temperature
발음은 [tempr∂t∫∂ːr]인데,
이를 한글로 적어보면 |
|
=>
|
[템프춰乙]처럼
발음된다. |
☞ |
temperature
발음을 [temp∂r∂t∫∂ːr]인데
이를 한글로 적어보면 |
|
=>
|
[템퍼乙어춰乙]처럼
발음된다. |
|
|
//
이 때의 [∂]를
일종의 유동모음으로 => Go |
|
|
☞
|
Hangle 특별 제안 |
|
|
'~랗다/렇다'의
형식에서 한정적 용법이 강조되면 굴림의
'~乙란/~乙런'
형식 |
|
|
=> ~랗다/렇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