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문학(Classical
Literature) |
|
|
|
|
|
|
|
황조가 |
고구려
유리왕 |
|
|
|
|
Cn |
|
|
|
翩翩黃鳥[편편황조]
雌雄相依[자웅상의]
念我之獨[염아지독]
誰其與歸[수기여귀]
|
|
|
|
|
|
|
|
출처:
인터넷 |
|
|
Hn |
Modified
by LeeKH |
|
|
|
훨훨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노니는데
외로울사*
이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꼬 |
|
|
|
|
|
|
|
|
|
|
한글로
된 시가 더욱 돋보이는 '황조가' |
|
|
위
'황조가'는 한자로
된 원문보다 한글로
번역된 시가 더욱 감칠맛난다. '훨훨/꾀꼬리/노닐다/뉘/~꼬'
등은 한글이
지닌 묘미를 잘 살려냈다. 또한 3행에서 '외로울사'라는
부분에서 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사'라는 표현이
이 시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
|
|
|
|
|
|
|
|
|
|
|
배경설명 |
|
|
고구려
2대 유리왕 3년에 왕비 송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화희()와
치희()를 계비로 맞아들였다. 두 여인들은 왕을 사이에 두고
사이가 좋지않아 서로 다투고 싸웠다. 그러던 어느 날 왕이
기산()으로 사냥을 나간 사이 둘 사이에 큰 싸움이 일어났고,
치희가 제() 나라로 돌아가버렸다. 뒤늦게 왕이 치희를 쫓아갔으나
그녀는 노여워 돌아오지 않았다. 그렇게 왕이 돌아오는 길에
마침 쌍쌍이 노니는 꾀꼬리를 보고 느낀 바 있어 위 노래를
불다. |
|
|
|
|
|
|
|
//
문학작품의 감상은 독자의 몫이니다. |
|
|
|
|
|
|
|
|
시의
구조: The Structure of Poem |
|
Syllable/Phrase/Line/Stanza |
|
|
*
목적격 조사 '을/를'
어원/유래
|
*
미래
조사 '~'
쓰임에 대하여 |
한국 문학에서
돋보이는 글자, |
곱게
포장(꽃)하되
+ 사알짝 티(?)나게↙ |
|
|
|
|
곶
>
> 가리워진
머리:
龜[jun/준] |
|
|
-
''를
어떻게 발음하나? - |
|
|
|
받침ㅅ:
~라ㅅ다
-> ~ 랏다
|
(플렉스(Flex)
유래/어원) |
|
|
|
|
|
|
|
마지막
구절에서 필자의 눈시울을 젖게한 두보
시인의 => |
|
|
|
소식
시인의 => |
|
|
|
|
한국 문학에서
돋보이는 글자 =>
'
' -
©
한글(Hangle) 2019/09/24 추가 |
|
|
곱게
포장(꽃)하되
+ 사알짝 티(ㅈ~):
'헌화가(獻花歌)'가
아니라 <권력을 좌지우지하는 노인>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