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나[na]'라는
말에 대한 어원/유래: |
|
|
<말하다,
떠벌리다(나팔(나발)불다)>의
뜻을 지닌 '나[na]'
둘러보기 |
|
|
☞ |
화자(Speaker)
강조: direct / prompt / instant =>
intensive |
|
|
'~아/어'
둘러보기 |
|
|
☞ |
필자는 조사/매개모음 '아'가
어떻게 해서 생겨났을까 이런저런 궁리를 하던 차에 문득 말하는 이를 나타내는 인칭대명사인 '나'에서 '내'로
바뀌는 과정에 '나(I)'에 해당하는 한자가
'我'이고, 이를 한글로 '아'라고 읽고, 어로는
我[wu/(개정)]로
발음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다고 느꼈다. - © HanEdu |
|
ex1) |
둘레모음: 나아 ->
내
// 이 때의 '아'는 매개모음의 일종이다.
// 나는: 나아는 ->
내는 |
|
|
|
|
|
|
|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전라도 지역의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
|
'시방 나가
쪼가 거시기하니께 말이여' |
|
위 예제에서 '나가'란 말은 듣는이를
상당히 거북하게 만들 수도 있다. |
|
(물론 익숙해지면 괜찮겠지만...) |
|
더군다나 강조/부각의 '아'란
말까지 합쳐져 '나아가'처럼
되면 그야말로 양모음 투성이가 되어 거칠게 느껴지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리하여... |
|
|
|
먼저, 화자 즉 '나(I)'에 대한 뜻을 부각시키기위해 '나'에 대한 한자어인
'아(我[wu/])'가
매개모음 형식으로 가미되어 '나아'처럼 된다. 하지만 위의 예제에서처럼 '나아가'는 상당히 강한 어감으로
듣린다. 그러한 면을 원활/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세로모음 'ㅏ'에 둘레모음(UmLaut) 'ㅣ'가 합쳐져 'ㅐ', 즉 '나아'가 '내'로 어감이 완화된다.
// 필자는 이를 '완곡둘레(euum)모음'이라고
한다. |
|
|
|
|
|
|
'umlaut는
'um: 둘레' 'laut: 소리' 합성어 -
//
매개모음의 일종 |
|
|
|
지팡이
<- 지팽이 |
|
가랑이
<- 가랭이 |
|
아지랑이
<- 아지랭이 |
|
|
|
'ㅏ'
또는 'ㅓ'가 뒤따르는 'ㅣ(i)' 또는 엔글의 'j'와 같은 음소에 의해 'ㅐ'
또는 'ㅔ'로 변하는 것 |
|
아기
< 애기, 아비 < 애비 |
|
어미
< 에미 |
|
...... |
하지만
이내 |
또
뭔가 궁금한 기운이 몰려온다 // 다시 머릿속은 빙빙 돌고... |
하아라 -> 해라? |
|
해~~~ |
//
왜 '하아'가 '해'로 되는거지? |
//
아~ 도대체 이건 뭘로 설명할 수 있을까? |
'하~', '아~' 둘 다
'ㅏ~' => 세로모음 그리고 '해'의 'ㅐ'는....! |
그래!
//
순간 키보드 앞 탁자를 내리치며 |
그건 바로 둘레모음, UmLaut!
|
|
'~ㅏ~아'처럼 쓰일 경우 세로모음 'ㅏ' 발음이 반복되고...
이를 조화롭게 하기 위해 |
|
|
둘레모음인 'ㅐ' 형식으로... 그게 바로 'UmLaut'!
빙고! => 하(ha)->해(hae) |
|
|
아~,
한줄기 빛을 보는 듯한 이 짜릿함! |
그럼,
'나가 간다.'에서 '나가'에서 '내가'로 되는 것도 그렇단 말인가? |
|
말하는
이를 나타내는 '나'와 주격조사 '가'가 붙은 '나가'에서
'나'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 강조하는 말 '아'를 '나'
뒤에 붙이면 '나아가'처럼
되는데, 이는 뜻이 아주 강하므로 '나아'를 조화롭게
하기 위해 둘레모음인 'ㅣ'를 붙인 '내' 형식으로...
=> 둘레모음,
UmLaut
|
|
|
|
|
|
<- 그렇다면 '아'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 나아
-> 내: (아(我[wu/])') |
|
|
|
|
|
|
이참에
하나 더! |
|
|
|
'너가'에서
강조하는 말 '어'가 붙어 '너어가'처럼 되는데, 이는
낮츰이 아주 강하다. 그래서 '너어'를 조화롭게 하기
위해 둘레모음인 '네' 형식으로... 그래서 '네가 ~' |
|
|
|
|
|
|
|
// '너가 해.' 보단 '네가 해.'라는 표현이...
UmLaut' 캬~! |
|
|
|
-
by
EduinLee
- |
|
|
|
|
그래도
여전히 미완의 완성 |
|
빨갛 + 아
=> 빨갛아 => 빨개 |
|
뻘겋 + 어
=> 뻘겋어 => 뻘게 |
|
=>
bottom
'h' |
|
|
|
그렇지!
역시 하나를 깨우치면 열을 알게되는구만! |
|
'내가'에
관련된 노래 모음 |
|
'내가
제일 잘 나가'
|
|
|
sung
by by
2NE1 |
|
|
내가
제일 잘 나가. 내가 제일 잘 나가. |
|
|
내가
제일 잘 나가. 내가 제일 잘 나가. |
|
|
Bam Ratatatata Tatatatata |
|
|
Bam
Ratatatata Tatatatata |
|
|
Bam
Ratatatata Tatatatata |
|
|
Bam
Ratatatata Tatatatata |
|
|
Oh
my god |
|
|
~~ |
|
|
|
|
|
|
'내가'
|
|
|
sung
by Kim Hak-rae &
Im Cheol-woo |
|
|
이 세상에 기쁜 꿈 있으니 가득한 사랑의
눈을 내리고 |
|
|
우리
사랑에 노래 있다면 아름다운 생 찾으리다 |
|
|
이 세상에 슬픈 꿈 있으니 외로운 마음의
비를 적시고 |
|
|
우리
그리움에 날개 있다면 상념의 방랑자
되리다 |
|
|
이내마음
다하도록 사랑한다면 슬픔과 이별 뿐이네 |
|
|
이내온정
다하도록 사랑한다면 진실과 믿음 뿐이네 |
|
|
내가
말없는 방랑자라면 이세상에 돌이 되겠오. |
|
|
내가
님찾는 떠돌이라면 세상에 이세상 끝까지
가겠오 |
|
|
~~ |
|
|
|
|
|
|
|
아래도
같은 맥락에서... |
|
|
|
'그 아이가
-> 그 애가 ->
그ㅐ가 -> 걔가' |
|
|
그렇다면
이것도? |
|
'그 아이가
-> 그 아가 -> 가가' |
|
가? |
그
애? / 가나다라? /go? |
가가? |
그
아이가? |
가가가? |
'가'씨
인가? //'씨'는 '성(姓)'을 높여 부르는 말 |
...
|
=> Go |
|
|
|
|
|
|
|
'ㅗ'
또는 'ㅜ'가 뒤따르는 'ㅣ(i)' 또는 엔글의 'j'와 같은 음소에 의해 'ㅟ'
또는 'ㅚ'로 변하는 것 |
|
|
꾸미
< 뀌미: 주꾸미(Octopus Ocellatus)-> 쭈뀌미 |
|
|
|
//.... |
|
|
|
|
|
cf) |
나다
-> 나이다 -> 내다 |
|
|
cf) |
나다
-> 나이다 -> 내다 |
|
|
* |
나다
-> 나이다 => 피동/수동 |
|
|
* |
나이다
-> 나게하다 ->
내다 => 객체피동 |
|
|
* |
나이다
-> 내다 => 둘레모음(UmLaut) |
|
|
|
사고가
나다 -> 사고를 냈다 |
|
|
|
=> Go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