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Euphemistic
+ Umlaut |
|
|
완곡둘레모음(Euum):
'ㅐ[æ]'
|
|
|
|
|
|
|
먼저
아래 내용은 어디까지나 HanEdu
필자
이기희의 개인적인 견해임을 밝히는 바이니다. |
|
아직
공인된 것은 아니지만 필자가 오랫동안 여러 정황들을 둘러보자니 나름 타당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아/어'의 유래와 활용에 대해 피력해보니다. |
|
|
|
|
|
◈ |
완곡둘레모음(Euum):
'ㅐ[æ]'에
대하여 |
|
|
☞ |
필자는
조사/매개모음 '아'가 어떻게 해서 생겨났을까 이런저런 궁리를 하던 차에 문득
말하는 이를 나타내는 인칭대명사인 '나(I)'에 해당하는 한자가
'我[wu/]'이고,
이를 한글로 '아'라고 읽고, 강조적 의미로 '나'에 '아'를 '나아'가 된다.
그런데 그 '나아'에다 주격조사 '가'까지 합쳐진 '나아가'가 되면 듣는이에게
상당히 부담스럽게 여겨질 수도 있어서, 그러한 면을 원활/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세로모음 'ㅏ'에 둘레모음(UmLaut) 'ㅣ'가 합쳐져 'ㅐ',
즉 '나아'가 '내'로 하면 어감이 완화된다. -
© HanEdu |
|
|
|
|
|
|
|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전라도 지역의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
|
'시방 나가
쪼가 거시기하니께 말이여' |
|
위 예제에서
'나'란
말은 말하는 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가'라는
것은 엔글 'who', 즉 주어를 드러내는 주격조사이다. =>
'~은/는/이/가' |
|
여기서 이
'나'에 해당하는 한자
'我/'의
소리인 강조/부각의 매개조사 '아'란
말이 추가되어 '나아가'처럼
주어를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가 있다. |
|
|
|
하지만 실제 대화에서 말하는 이를 강조하는
의미로 '나아가'란
말을 사용하면 듣는이를 거북스럽게 하거나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
|
☞ |
왜냐하면
말하는 이를 나타내는 인칭대명사 '나'에다 주어를 높게
부각시키는 주격조사 '가'가 붙어 '나가'가 되고, 여기다
강조/부각의 '아'란
말까지 합쳐져'나아가'처럼
되면 그야말로 양모음 투성이가 되어 더욱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
|
그리하여
그러한 면을 원활/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세로모음 'ㅏ'에
둘레모음(UmLaut) 'ㅣ'가
합쳐져 'ㅐ',
즉 '나아'가
'내'로
하면 어감이 완화된다.
|
☞ |
또한
그런 강조의 '아'가 모음조화에 따라 '어'로 쓰이기도 한다.
|
☞ |
아울러
이러한 강조의 '아/어'가 더욱 부각시킬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더욱 낮출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말듣는 이를 나타내는 인칭대명사 '너'에다
주어를 부각시키는 주격조사 '가'가 붙어 '너가'가 되고,
여기다 모음조화에 따라 강조/부각의 '어'란
말까지 합쳐져'너어가'처럼
되면 말듣는 이를 더욱 낮추는
듯한 어감이 된다. |
|
그리하여
그러한 면을 원활/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세로모음 'ㅓ'에
둘레모음(UmLaut) 'ㅣ'가
합쳐져 'ㅔ',
즉 '너어'가
'네'로
하면 어감이 완화된다. |
|
|
|
|
|
|
|
|
|
미완의
완성 |
Euum:
|
|
라+아
-> 래:
화자(Speaker) + 나발 |
|
|
|
|
|
|
|
//
사실, 이런 말을 고안해내는 과정에서 여러 요소들을 접목시켰
것이고, 그런 견지에서 응용되는 부분들이 참으로 많았
것으로 필자는 여기고 있다. |
|
|
|
|
거듭
강조하지만 위의 내용은 순전히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임을 분명히 밝히니다. |
|
아울러
필자의 이런 주장에 대해 비판을 넘어선 일탈의 행위는 절대 금해주시길... |
|
|
|
|
|
|
|
|
|
이곳 내용은
한글(Hangle) 대표 이기희의
연구(땀과 열정)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저작권은 한빛
이기희에게 있니다. 따라서 이곳 내용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무분별하게
게재/Posting하는거를 엄중하게 금지하니다.
- 저작권에 관한 베른협약 전문: 창작된 순간부터 보호
|
|
|
☞ |
대상
구체화, 객체화의 '~ㅣ'
|
|
|
|
|
|
|
|
|
|
☞ |
대상
구체화, 객관화의 'ㅣ'는 완곡함의 둘레소리, 즉 UmLaut와 그 맥을 같이한다! -
한빛
이기희 |
|
|
|
|
|
UmLaut의
완곡함: |
|
|
흔히 <직설적으로
말하지않고 빙 둘러대서 말하다>라는 표현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차원, 즉 완곡어법을
일컫는다. 여기서 '둘러대다'란 말이 '둥글다/원만하다'와 같은 뜻이고, 그런 차원에서 <Umlaut/움라우트>와
그 맥을 같이한다. |
|
|
또한 말에 있어서도
그런 차원의 음소가 있는 바, 한글에선 'l'라는 모음 음소가 이를 잘 반영해왔고, 향후 한빛
이기희에
의해 더욱 세련되게 다뤄진다. |
|
|
|
일반적인 명령:
~라 |
|
|
|
|
* |
이 일을 하라. |
|
|
|
|
|
= |
Do this work. |
|
|
|
T1) |
* |
이 일을 하이. |
|
|
|
|
-> |
이 일을 . |
|
|
|
|
-> |
이 일을 해. |
|
|
|
|
|
= |
It is < Do this work.>
that I say. |
|
|
|
|
|
|
I want this work done
by you. |
|
|
|
|
|
|
* |
바라이
-> 바
-> 바 |
|
|
|
|
|
|
|
바ㅁ |
-> 바램 |
|
|
|
T2) |
* |
이 일을 하이라. |
|
|
|
|
-> |
이 일을 라. |
|
|
|
|
-> |
이 일을 해라. |
|
|
|
|
|
= |
I want you to let this
work done by sb. |
|
|
|
|
|
|
|
|
*
대화체 문장에서 Umlaut의 완곡함은 더욱 진가를 발휘한다. |
|
~같아:
|
~같아ㅣ
-> 같
-> ~같애:
|
|
-> It's like ~ |
->
It is like ~ that ~ |
|
// 직설적, intensive |
// 객관적,
완곡 |
|
ex) |
어서 오라카이 = 어서 오라해 // ~해 // 예전엔 이런 말 많이 듣었는데... |
|
|
*
뭐라칸다 -> 뭐라한다 || 뭐라하이 -> 뭐라해 |
|
ex) |
언젠가
바둑 TV에서 '홍성지' 진행자가 '~같애요'란 말을 이따금 하기도 했다. 외모나 어투에서
완곡함이... |
|
|
->
'바둑' |
|
|
|
|
|
|
|
|
|
|
한글에
완곡둘레모음(Euum)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