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빛
이기희와 함께하는 |
|
고전문학(Classical
Literature) |
|
|
|
|
|
|
고전문학: |
|
☞ |
한빛 이기희는 한글이 반포되기 전의 문학을 고전문학으로 다룬다. |
|
|
* |
고전문학은
문자 표기 방식이 다양하지만  어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
|
|
|
|
이두: |
한글
어미 부분:  어/한자
음으로 표기 |
|
|
한글
어순 |
향찰: |
체언/어간
부분: 어,
음/뜻/조사/어미 부분: 한글 위주
|
|
|
한글
어순 |
//
 어
음으로도 표기 |
구결: |
체언/어간/어미
부분:  어/한자
음으로 표기 |
|
|
 어
어순 |
|
|
|
* |
고전문학이
다루는 내용은 인간의 본능인 성과 권능이고, 대표적인 것이 구지가이다; |
|
|
|
|
구지가(龜旨歌) |
고대
가요 |
|
|
|
|
Cn |
|
|
|
龜何龜何[구하구하]
首其現也[수기현야]
~~
|
|
|
|
|
|
|
|
출처: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
|
|
Hn |
// |
|
|
|
거북아
거북아
머리가 나오라
~~ |
|
|
|
|
|
|
|
|
'구지가'의
'龜 '는
헌화가의
' '과 관계있다. |
|
|
거북아, 거북아 |
|
|
|
龜[gui/귀]
거북(turtle) 구 ->
구
龜[jun/준]
우두머리(boss/왕(king)
龜[qi/킈]
// |
|
|
|
|
<거북>은 실제로 <우두머리(boss/왕(king)
>를 나타낸다 -> 견우노옹(갓/곶/꽃) |
|
|
|
|
|
|
|
|
|
|
한빛
이기희는 사투리를 포함한 옛말과 (현지)
 어를
기반으로 고전문학을 심도있게 다뤄볼 양인데, <견우노옹(헌화가)>이
먼저 엥겨들었기에
우선적으로 선 인다. |
|
|
|
|
|
|
//
문학작품의 감상은 독자의 몫이다. |
|
|
|
|
*
목적격 조사 '을/를'
어원/유래
|
*
미래
조사 '~ '
쓰임에 대하여 |
한국 문학에서
돋보이는 글자, |
곱게
포장(꽃)하되
+ 사알짝 티(?)나게↙ |
|
|
|
|
곶
>
> 가리워진
머리:
龜[jun/준] |
|
|
-
' '를
어떻게 발음하나? - |
|
|
|
받침ㅅ:
~라ㅅ다
-> ~ 랏다
|
(플렉스(Flex)
유래/어원) |
|
|
|
|
|
|
 |
마지막
구절에서 필자의 눈시울을 젖게한 두보
시인의 => |
|
|
|
소식
시인의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