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
사투(Saturi) |
우리말 |
|
|
|
|
|
|
|
* |
사투[saturi]
|
|
= |
dialect: 지방언어 |
|
☞ |
특정 지방에서나 특정의 사람들에 의해 말해지는 말 |
|
☞ |
a form a language spoken in a particular part of a country
or by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
|
|
* |
고대 인도의 4계급 중 두째, 왕족과 무사의
계급인 'ksatriya'에서 'k'가 묵음되어 '샤트리아'가 '사투리'로 ... (참고:
from Pancalas by 강상원 박사) |
|
|
* |
사투리는 저급하거나 비아냥의
대상이 절대 아니다. |
|
* |
한글에서 사투리는 어휘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원천이요,
적극 수용해야할 부류의 것이다. |
|
* |
현재(
2018 ) 표준어의 개념은 개정되어야 한다 => 개정
표준어 |
|
|
* |
사투리에
대한 재평가 |
|
|
사투리가 표준말로
전환(Diversion)... |
|
|
|
|
|
|
디다:
<- 되다 |
|
|
|
① 『걸죽하다』 (be) thick;
hard //
질다: waterly, slushy, muddy |
|
|
|
|
// |
걸쭉하다(?)
=> 죽이 걸죽하다. |
|
|
|
② 『심하다』 (be) severe;
intense; heavy |
|
|
|
|
|
* |
죽이
디게 걸죽하다. |
|
|
|
③ 『벅차다』 (be) hard;
trying; bitter; tough |
|
|
|
|
|
* |
이제
걔한테 디빠졌다. |
|
|
|
|
디고
디면 -> 디지다:
죽는다 |
|
|
|
|
|
|
# |
이 얼마나
간편한 말인가, '걸죽하다/벅차다/힘들다'의 의미를 지닌 '디'! |
|
|
|
|
|
|
|
* |
디디다: |
|
|
|
* |
더디다: |
|
|
|
* |
견디다: |
|
|
|
|
|
|
|
|
* |
되게
-> 디게 |
|
|
|
|
|
|
Q. |
① |
디게
배고프다. |
|
② |
되게
배고프다. |
|
|
|
필자는 여태
'디다' 란 말을 많이 왔다.
일을 많이 해서 몸이 녹초가 된 상황에서 '아~ 디다'라고. |
|
|
|
// 이 좋은
말을 놔두고 왜 '되게'란 말을 고집하는지...ㅉㅉ |
|
|
|
|
|
|
|
|
//
이제 사투리가 아니라 적극 활용되어얀다! |
|
|
|
|
사실, 특정 상황에 잘 어울리는 말들이 사투리로
여겨져 도외시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다. 물론 특정 상황이 퇴색되어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
|
또한, 어법적으로도 정격인 표현이 도리어 그릇된
표현에 밀려난 경우도 있다. |
|
|
예) '여부(與否)'를 나타내는 표현엔 '~버릴까'가
아니라 '~뿌까?' |
|
|
cf) |
<결과> 련관시제를 나타내는 '~버린다'의
말인 '~뺀다'란 표현에
'~뿐다'를 쓰기도 하는데... 바뤄얄 부분이다. |
|
|
// |
'~뺀다'와 '~뿐다'란 어법도 아주 유용한 표현이건만 사투리로 여겨져...
아마 어감이 너무 거칠어서 그런 듯... |
|
|
|
|
|
|
|
|
|
표준어를 포함한 한글
어법 전반에 대한 표준은 국가 기관에 소속된 |
|
한글
관련 전문가들이 인공지능(AI)이
제시하는 주요맥락에 의거하여 |
|
음운 규정과
어법 원리에 따라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
|
한글 표준화의 주안점은
편리함과 효율성 그리고 체계화에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