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언젠가
'태양의 후예'란 드라마에서 '저는 말입니다'처럼
받침 'ㅂ'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아래 내용을
잘 반영하는 경우로서, 한글에
대한 안목이 아주 깊다. |
|
|
|
|
서술문의 상대높임법에선 기본적으로 'ㅂ'을 뺀, 즉 '~니다'
형식으로 하자. |
|
|
|
|
|
|
서술문
상대높임법: '~니다'
: [ declarative
+ Honorific + describe ] |
|
|
|
|
예를 들자면, |
|
* |
He goes there.
|
|
= |
그는 그곳에 간다. |
|
|
☜ |
받침
'ㄴ'의 유래는 한자
'認 (인:in)'에서 받침을 따온 것으로, 위의 경우처럼 |
|
|
상대(청자:L)에게
확인/인식할 때 어간(stem) 받침에 'ㄴ'을 붙인다. |
|
|
|
|
|
|
이것을 상대높임(L+)으로 하면 |
|
* |
그는 그곳에 가니다. |
|
|
// 이처럼 declarative한 경우엔 따로 'ㅂ' 받침을 붙이지 말자는 것이다. |
|
이것을 상대높임(L+)과
주어높임(S/s`+)으로 하면 |
|
* |
그는 그곳에 가시니다.
|
|
|
|
//
|
(
물론 극존칭일 땐 'ㅂ'을 덧붙인 '~시옵니다' 형태도 가능하지만 지극히 제한적으로만 쓰여야 한다
) |
|
|
|
|
|
|
|
|
서술문
공표/공지
상대높임법:
~ㅂ니다/읍니다
: [
declarative + Honorific + publish/notify
] |
|
|
|
|
|
|
|
...... |
|
|
|
☜ |
받침
'ㅂ'은 '여럿이 모여 하나가 되다'라는 뜻의 한자
合[he/ge]에서 받침을 붙인 '합[hab]'처럼
말듣는 상대(청자:L)에게 확인(confirm)/공표(publish)/통지할
때 어간(stem) 받침에 'ㅂ'을 붙인다. |
|
|
|
|
|
☞ |
언젠가
'태양의 후예'란 드라마에서 '저는 말입니다 ~' 처럼 '~ㅂ니다'를 사용하았는데, 그러한 것도 '공표/확인'의
표현기법이다. |
|
|
|
|
☞ |
여기서의
받침 'ㅂ'은 그런 의도로 도입된 것으로 필자는 가늠한다. 아니면 그런 방향으로라도 가닥을 잡아야하리라.
// 그럴사한
상상력이 경직된 사고방식보단 발전에 있어선 훨씬 유용하다. |
|
|
|
|
<- 合[he/ge] |
|
|
|
|
|
|
|
|
|
|
|
|
* |
엔글에서
'Will you tell me ~?'와 같은 맥락이다. |
|
|
|
|
|
# |
의문문
<~니까?>와
공표/공지
상대높임법
<~ㅂ니다>
구문에 대한 의문문 답변도 구분된다. |
|
|
<~니까?>는
<so/neither> 류형에 대한 의문문 |
|
|
<~ㅂ/십니까?>는
<Yes/No> 류형에 대한 의문문 |
|
|
|
|
|
*1_1 |
그는 가니까? |
|
|
|
|
그래.
그는 가니까 알아서 해. 그러니까... |
|
So
he does. |
|
예,
그러니다. 그러니까... |
|
|
|
|
|
|
*1_2 |
그는 갑니까? |
|
|
|
|
응.
그는 간다, 알겠지? |
|
Yes,
he does. |
|
예,
그럽니다. 알겠죠? |
|
|
|
|
|
-> ~ㅂ니까?
|
|
|
|
|
|
|
|
|
=>
~ㅂ니까? |
|
|
|
|
|
|
|
|
|
|
|
|
|
|
|
|
|
확인(confirm)/공표(publish)/통지
=>
~ㅂ
|
|
|
1) |
받침없는
어간의 공지/통지하는 경우는
'~ㅂ니다'라는
표현을 쓴다. |
|
예를
들어 '그는
그곳에 가니다,
알겠죠.' 처럼
'공표/공지'하는 의미로
'그는 그곳에 갑니다'
처럼 |
|
'ㅂ니다'를 쓴다. |
|
또한,
'그는 그곳에 가시니다,
알겠죠.' 처럼 '공표/공지'하는
의미로 '그는
그곳에 가십니다'
처럼 |
|
'ㅂ니다'를 쓴다. |
|
ex1) '둑을 높이니다,
알겠죠.' => '둑을 높입니다' |
|
ex2) '여길 깨끗이
청소합니다.' <=
'여길 깨끗이 청소하니다, 알겠죠?' |
|
|
- '태양의 후예'란 드라마에서 |
|
|
다른 예를
들자면, |
|
* |
나는 늘
그에게 감사하니다.
/감사합니다 |
|
* |
그러니
이제 여러분들도 그에게 감사하니다, 알겠죠.
|
|
=> |
그러니 이제 여러분들도 그에게
감사합니다.
|
|
|
Ω |
이런 경우도 있다. //
이러한 것은 사투리가 아니고 참 좋은 Pattern인데... |
|
ex)
|
~는 것 같읍다(?)
=> ~는갑다 |
|
|
*
|
그는 가는갑다. 후딱 가서 인사해라. |
|
ex)
|
~인 것 같읍다(?)
=> ~인갑다 |
|
|
*
|
걔는 바보인갑다. |
|
cf) |
~같다,
~것다, ~것같다, ~것과 같다 |
|
|
|
~같다 / ~것다
/ (~것같다 / ~것과 같다) |
|
|
|
2) |
받침있는
어간의
공지/통지하는 경우는
'읍니다'라는
표현을 쓴다. |
|
예를 들어,
|
① |
단순
서술형(declaratvie)인 경우; //
'ㅂ'을 붙이지 않는다 |
|
|
* |
He reads
a book. |
|
|
=> |
그는 책을 읽는다. |
|
|
이것을 상대높임으로 하면 |
|
|
=> |
그는 책을 읽니다. |
|
|
|
|
|
|
|
|
|
|
여기에다 주어에 높임을 더하면 매개모음 '으'
추가 하고 '시' |
|
|
=> |
그는 책을 읽으시니다.
// 읽시니다 -> 읽싀니다 |
|
|
|
|
|
|
② |
'통지/공지'의
경우엔 |
|
|
|
'읽읍니다'에서
'읽'처럼 받침있는 어간엔 '으'라는 글자에 'ㅂ'추가하여 '읍니다'
형식 |
|
|
|
//
연음법칙에 따라 '일급니다'처럼
읽힌다. |
|
|
|
* |
받침있는
동사 '통지/공지'의 조사 '읍' 사용 예제 |
|
//
어색하기도 하고... ~읍'도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하도록 하자 => '~니다' |
|
|
root |
↑ |
↑ +
noti |
read |
|
|
|
먹다: eat |
먹니다. |
먹읍니다 |
머급니다 |
먹읍니까? |
|
|
문다
: ask |
문니다. |
문읍니다 |
무늡니다 |
문읍니까? |
|
|
다:
what is |
니다. |
읍니다 |
므ㅓ늡니다 |
읍니까? |
|
|
닫다 :
close . |
닫니다. |
닫읍니다 |
다듭니다 |
|
|
|
밀다: push |
밀니다
-> 미乙 |
밀읍니다 |
미릅니다 |
|
|
|
감다: wind |
감니다. |
감읍니다 |
가믑니다 |
|
|
|
감다:
wash/close |
|
|
|
|
|
|
|
|
|
|
|
|
여기다 주어높임을 하면 |
|
|
|
'읽으십니다'처럼 |
|
|
|
|
|
|
|
|
//
|
극존칭일
땐 'ㅂ'을 덧붙인 '~시옵니다' 형태도 가능하지만 지극히 제한적으로만 쓰여야 한다. |
|
|
|
|
|
|
|
|
|
여기다 또 '으십'을
줄이면 '싑'으로
된다. 즉, |
|
|
|
'읽으십니다'에서
'읽싑니다'처럼 |
|
|
|
|
|
|
|
|
|
- ReView(복습) |
|
|
|
이제
'그는 책을 읽습니다'처럼
'습'의 형식도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알겠죠? |
|
|
|
// 예, 좋니다. 박수! |
|
|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니까? |
A |
예, 믿니다.
|
|
|
|
|
|
|
|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읍니까? |
A |
예, 믿읍니다.
|
|
|
|
|
|
|
|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으십니까? |
A |
예, 믿읍니다. |
|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싑니까? |
|
예,
믿습니다.
-> 예, 믿읍니다. |
|
|
|
|
//
대답에 주어높임 '시'를 쓰진 않는다. |
|
|
|
|
|
|
|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으시겠읍니까? |
A |
예, 믿겠니다. |
|
|
여러분은
저의 말을 믿겠습니까? |
|
예, 믿겠읍니다.
|
|
|
|
|
//
대답에 주어높임 '시'를 쓰진 않는다. |
|
|
|
|
|
|
|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알으시겠읍니까? |
A |
예, 알겠읍니다.
|
|
|
여러분은
저의 말을 알겠습니까? |
|
//
대답에 주어높임 '시'를 쓰진 않는다 |
|
|
|
|
|
|
|
|
|
|
|
|
// 정말 한시라도 빨리 구분해야할 부분이다!!! |
|
|
|
|
|
|
|
|
한글의
간소화! 그것이 이 사이트의 주요 목표다. |
|
Q |
여러분은
저의 말을 알겠니까?
|
A |
예, 알겠니다.
|
|
|
|
|
|
|
|
|
|
|
|
|
|
|
|
|
|
|
'~ㅂ니다'를
사용하는 2번째는 '~ㅏ우'
또는 '~ㅓ우'가 줄면서 'ㅂ'이 붙는 경우가 있다: |
|
|
|
예를 들어 '아름다우다'의
경우 'ㅏ우'가 합쳐져 'ㅂ'으로, 즉 '아름답다'로 글자 수가 줄어들수있다. |
|
|
|
|
* |
Thank you. |
|
= |
고마우다 / 고맙다. |
|
이것을
상대높임으로 하면 |
|
* |
고마우니다
/ 고맙니다. |
|
|
|
|
|
|
쉬우다/쉽다,
매우다/맵다, 추우다/춥다 |
|
고우다/곱다,
부러우다/부럽다,
그리우다/그립다 |
|
가려우다/가렵다,
사나우다.사납다, 미우다/밉다 |
|
어두우다/어둡다,
무서우다/무섭다, 차갑다 |
|
|
|
|
|
|
|
|
|
|
|
|
|
|
|
|
☞ |
복습:
통지/공지의 경우에 '~ㅂ니다'를 사용하는 것과 명확히 구분하자.
//
받침 있으면 '읍니다' |
|
|
이런
부류의 것에 익숙해지면 훨씬 더 쉽고 간결하아진다. // 다양함도 덤으로 생기고... |
|
|
|
예를 들자면, |
|
*
서술 |
|
*
공지/공표 |
|
He comes
here. |
|
|
|
그는 여기
온다. - 인지/확인 |
|
|
|
이것을 상대높임으로
하면 |
|
|
|
그는 여기
오니다. // 그의 의향이
그렇다 |
|
그는 여기 옵니다.
// 알겠죠.. |
|
주어높임법을
사용하면 |
|
|
|
그는 여기
오신다. |
|
|
|
여기에다
상대*주어높임을 사용하면 |
|
|
|
그는 여기
오시니다. |
|
그는 여기 오십니다.
// 그렇게 알고 있기를.. |
|
|
|
|
|
He will
come here. |
|
|
|
그는 여기
오겠다. |
|
|
|
이것을 상대높임으로
하면 |
|
|
|
그는 여기
오겠니다. //
그의 의향이 그렇다 |
|
그는 여기 오겠읍니다.
// 그렇게 알고 있기를... |
|
주어높임법을
사용하면 |
|
|
|
그는 여기
오시겠다. |
|
|
|
여기에다
상대*주어높임을 사용하면 |
|
|
|
그는 여기
오시겠니다. |
|
그는 여기 오시겠읍니다.
// 그렇게 알고 있기를. |
|
|
|
|
|
|
|
|
다른 예를
들자면, |
|
*
서술 |
|
*
통지/확인 |
|
What
will you do? |
|
|
|
무엇을 하겠니? |
|
|
|
이것을 상대높임법으로
하면 |
|
|
|
무엇을
하겠니까? |
|
(
이 상황에서 제가) 무엇을 하겠읍니까?
- 댄싱퀸 |
|
여기에다
주어높임법을 사용하면 |
|
//
인칭에 따라 높임의 조사 '시'를 적절하게 사용... |
|
무엇을
하시겠니까?
|
|
(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 무엇을 하시겠읍니까?
|
|
|
|
|
|
|
|
|
또한 |
|
|
|
|
|
|
|
이처럼 한글엔 체계성과, 일관성 그리고 유연함을 유지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
|
|
|
정말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때이다. |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