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Particle의
조합은 Phrase(구)가 된다! |
|
|
|
|
| |
| |
어구(語句): =>
phrase |
| |
☞ |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도막도막의
각 덩이 |
| |
|
<-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문장 성분 역할을 하되, 그 속에 's + v'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 |
| |
|
| 1) |
명사구: => |
| |
|
|
| |
|
① |
주어: |
| |
|
② |
목적어: |
| |
|
③ |
보어: |
|
| |
|
|
| |
|
|
| |
|
|
| |
|
|
|
|
| |
♠ |
어구(語句)는 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 // 끊어읽기의 단위인
음보와
구분된다. |
| |
|
| 풀
아래 / 웃음짓는 / 샘물같이 |
| 풀 |
아래
|
웃음짓는 |
샘물같이 |
| 1
syllable |
2
syllables |
4
syllables |
4
syllables |
| 1
word |
1
word |
1
word |
2
words |
| 1
어구 |
1
어구 |
1
어구 |
1
어구 |
1
음보 |
1
음보 |
1
음보 |
|
| |
|
☞ |
어구(語句)는 단어로써
이루어지기도 하고, 체언과 조사가 붙어서 되기도 함. |
|
|
| |
| |
☞ |
음보: 한 호흡의 단위로 느껴지는 운율단위 //
끊어읽기의 단위 |
| |
|
|
//
음보과 어구는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
| |
|
|
ex) |
산 넘어 /
남촌에는 / 누가 살길래 - 3음보 |
| |
|
|
|
산 넘어 /
남촌에는 / 누가
/ 살길래 - 4어구 |
| |
|
|
|
|
|
|
|
| |
☞ |
한글에서
목적어절의 접속사는 어떻게 해석되는가? |
| |
* |
He said that
time is money. |
| |
= |
그는 시간이 돈이다라는
것을 말했다. |
| |
= |
그는 시간이 돈이라는 것을
말했다. |
| |
= |
그는 시간이 돈이다라고
말했다. |
| |
= |
그는 시간이 돈이라고
말했다. |
| |
= |
그는 시간이 돈임을
말했다. |
| |
|
|
'~라구요'(강산에) |
|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
 |
Exam
/ Test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