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형태소
결합(Compounding Morphemes): 둘 이상의
의미를 지닌 최소단위(morpheme)들이 합쳐져 |
|
|
하나의
기능어(functional word)로 되는 것:
|
|
|
|
|
|
|
cf)
둘 이상의 음소들이 합쳐져 하나의 단어a
word)로 되는 것 => Wording |
|
|
cf)
둘 이상의 단어들이 합쳐져 하나의 단어(a word)로 되는 것 =>
Compound
Words |
|
|
|
☞ |
형태소
결합(Compounding Morphemes):
'체언+후치사' / '어간+어미' ... |
|
|
'후치사/어미'는
조사(particle)의 일부이다. |
|
|
1) |
어간(Stem)
+ 어미(Inflection): |
|
* |
가다:
|
|
|
* |
가 |
다 |
|
go |
|
ga |
da |
|
|
|
어간 |
어미 |
|
|
|
stem |
infl. |
|
|
* |
가 |
니 |
?
|
Do
you go? |
|
ga |
ni |
|
|
* |
가 |
면 |
|
If
s
go, |
|
ga |
myeon |
|
|
|
|
|
|
|
|
|
|
|
cf)
<어간*어미>의 활용 |
|
|
//
받침복합자음 강의를 듣고 아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라 => 복합받침자음 |
|
|
* |
좋
다 <=韻?
다
=> ?
ㅎ다 =>
?타 =>
조타 |
|
|
|
joh
da <=
joth
+ da =>
jot
hda =>
jot
ta
=>
jo ta |
|
|
|
|
|
|
|
cf) |
못
+ 해 =>
못태 =>
모태 |
|
motd
+ hae
=> mot
tae
=>
motae |
|
|
|
|
|
|
|
|
|
|
|
2) |
체언(Substantive)
+ 후치사(Postposition): |
|
* |
나[na]:
I |
|
* |
나 |
는 |
|
I
~ |
|
na |
neun |
|
|
|
체언 |
후치사 |
|
|
|
sbst |
pst. |
|
|
* |
나 |
를 |
|
~
me |
|
na |
leul |
|
|
|
|
|
-> |
|
|
|
|
|
cf)<
체언*후치사>의 활용 |
|
|
* |
단어와
조사의 결합 |
|
받침
'ㅌ'의 명사(실질형태소)와 조사(형식형태소)와의
결합
-> 플렉스(flex) |
|
* |
'∧'
기호
/
앞
음 강세
/
홑단음 모음 |
|
= |
'∧'
symbol
/front
N: accent
/
short simple vowel |
|
|
|
렉스(Flex)에서의
받침겹자음 'ㅅ'은 연음화된다. |
|
|
|
|
* |
옷을 |
+
을
=> 옽슬
=>
오슬 |
|
|
|
|
|
|
ots
+
eul =>
ot
seul
=> o sseul: |
|
|
|
|
|
|
|
|
|
|
|
|
|
|
|
|
|
|
|
|
3) |
사소리:
명사(실질형태소)와 명사(실질형태소)와의 결합에 들어가는
받침 'ㅌ'의 음가 |
|
정리) |
단어와
단어의 결합
// 단어: 실질형태소 |
|
'∧'
기호
/
앞
음 강세
/
홑단음 모음
/
뒷음 fortis(된소리)로 안됨 |
|
'∧'
symbol
/front
N: accent
/
short simple vowel /
following phoneme: not
fortis |
|
합성어에서의
받침겹자음 'ㅅ'은 연음화되지않는다.
=> 값어치
|
|
|
|
|
ex) |
깨[ggae](sesame)
+ 단[dan](a
bundle) |
▶
[깨
+
단] |
[ggae
+
dan] |
ggaedan |
|
=> |
깻 |
|
단 |
▶
[꺁
+
단] |
[ggaetdan] |
ggaeddan |
|
|
[ggaet/ott] |
|
[dan] |
|
Hn:
[ご? |
En:
[깨단] |
|
|
'ott/odd',
chosen by the
following
|
앞
말 뒤에 자음이 오면
=> 'ㅌ' 받침 |
↖ |
앞
말 뒤에 모음이 오면
=> 'ㄷ' 받침 |
↙ |
|
|
ex) |
깨[ggae](perilla)
+
잎[ip](leaves) |
▶
[깨
+ 잎] |
[ggae
+ ip] |
ggaeip |
|
=> |
깻 |
|
잎[ip] |
▶
[깯
잎] |
[ggaed_dip] |
ggaeddip |
|
|
[ggaed/odd] |
|
|
|
Hn:
[깯딮] |
En:
[깨딮] |
|
☜ |
In
case
of Sait,
the
'∧'
at the
bottom
doesn't
move
to the
following
void
|
|
consonant.
=>
십(×)
//
=>
값어치
:
갑어치/갑서치(×) |
|
|
|
☞
받침 'ㄷ'(Semi-sait)도
받침 'ㅌ'의 Sait으로
회귀 => 뒷음
'ㄴ' //
|
|
|
|
|
|
▶
[꺁닢] |
[ggaet_nip] |
ggaennip |
|
|
|
|
|
|
|
En:
[깨닢] |
|
|
|
|
|
|
|
|
|
|
'ott'
/ 'odd' 구분은 뒤따르는 음에
따라 구분된다: |
|
'ott'
/ 'odd' 표기는 한글과 엔글에서
구분된다. |
|
|
clothes |
|
in/inner |
|
|
|
|
|
ex) |
옷 |
|
안 |
|
|
ottan |
ottan |
|
|
[ott] |
|
[an] |
|
|
otdan |
otdan |
|
|
[ott/odd] |
|
|
|
|
oddan |
oddan |
|
|
|
|
collar
[lapel] |
|
|
|
|
|
|
옷
|
|
깃 |
|
|
ottgit |
oggit |
|
|
[ott/odd] |
|
[gi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엔글에서 2중자음을
가지게 된 과정 => Go
|
|
|
'붓다'를
살펴보면
Flex(곡절소리)
'∧'가
쉽게 이해된다. |
|
|
|
|
|
|
|
|
|
|
|
|
|
|
|
Grammar
Lec. |
|
|
|
|
|
|
|
Exam
/ Test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