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어는
동*서양 언어의 뿌리인 Samskrta의 어휘에 대한 소리체계를 잘 간직하고 있다.
때론 한글이 더 명확한 경우도 있지만 주요한 맥락은 여전히  어에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섣불리  어에
대한 소리를 한자(漢字)에 기반하여 한글로 표기하는 것은 지양하고, 현지  어에
대한 발음을 최대한 존중... // |
|
|
|
|
|
|
아울러
현지
 어의
발음을 한글에서 표기하는 한자(漢字)를 기반으로 하는 발음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더러 있다. 그러한 부분들을 아래에서... |
|
|
|
필자는
 어에
문외한이다. 다만  어에
최적화된
8억
이상의 한글 글자들을 구상하다보니
현지  어에도
한자(漢字)를 기반으로 하는 한글식 발음으로 변하여질 필요가 있겠기에 이렇게 나서본다. |
|
|
-
아래 - |
|
|
|
|
|
|
|
한) |
|
// 키보드
특성상 사성 표기는 생략함 |
|
한글 |
|
4성 |
개정한글 |
뜻 - 한글 |
뜻 - 엔글 |
|
한 |
韓[han] |
2 |
한 |
한국(삼한) |
Korea |
|
한 |
漢[han] |
4 |
한 |
한나라(한수), 은하수 |
Chinese |
|
한 |
限[xian] |
4 |
|
한계, 제한 |
limit |
|
한 |
寒[han] |
2 |
찬 |
차가운 |
cold |
|
|
|
|
|
//
 어로도
[chan]으로
|
|
|
|
|
|
//
한글로 '차다/'찬' 표기가 엔글과 Samskrt ... |
|
한 |
翰[han] |
4 |
? |
(꿩)깃, 날개 |
feather |
|
한 |
恨[hen/헌] |
4 |
헨 |
원통/원망하다 |
regret+desire |
|
|
|
|
|
|
|
한 |
閑[xian] |
2 |
|
한가로이
=> 가로이 |
block, a doorsill |
|
|
|
|
|
쉬다 |
rest |
|
한 |
旱[han] |
4 |
? |
가물다 |
drought |
|
한 |
汗[han] |
4 |
? |
땀 |
sweat |
|
한 |
澣[han] |
4 |
? |
빨다 |
wash |
|
|
|
|
//
'?' 기호는 향후 한* 이
서로 조율해서 ...구분되게... |
...... |
|
|
|
|
|
|
|
|
|
먼저 된소리에 해당하는 한자어인
'경음(硬音)'의 ''硬'에 대해 알아보자. |
|
|
硬:
|
|
|
1) |
|
ying/ieong <- 이엉 //
여타 글자 참조하려면 -> ' '
관련 글자 보기 |
|
|
|
|
강직하다, 억세다 |
|
|
|
|
// ' '으로
발음하기엔 딱딱함이 느껴지질않아 아래 '겅'에서 '경'으로 |
|
|
|
|
굳다, 단단하다: 경음(fortis) <->
연음/ 음(軟音[ruan_yin/ ]):
lenis |
|
|
|
|
경음: ㄲ,
ㄸ, ㅃ, ㅆ, ㅉ |
|
연음/ 음(軟音):
ㄱ, ㄷ, ㅂ, ㅅ, ㅈ |
경음:
gg, dd, bb, ss, zz |
|
연음/ 음(軟音):
g, d, b, s,
z |
|
|
|
|
|
|
|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잉 무든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필자의 견해로 이 '잉'은 '콧물이나 땀이 얼룩져 때가 낀, 즉 '뻣뻣한'의 뜻이리라 가늠해본다. -> '청산별곡' |
|
|
|
|
|
|
개정)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잉
무든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흙 또는 이끼
- 아마도 숯검댕(?) - 를 나타낸다는 견해가 있어서 필자도 수긍하는 바이다. |
|
|
|
|
☞ |
된소리에 해당하는 말을 아래처럼
'경음'이라고 한 것은 나름 타당하다. <- ' '처럼
발음하면 웬지... // 표기와 발음 그리고 의미가 다르게... |
|
|
2) |
겅 |
목에 걸리다, 목이 메다 |
|
|
|
|
흐느끼다 //
엉엉 울다 <- 겅겅 울다 // 컹컹 // 낑낑 //
끼깅 |
|
|
|
|
|
|
←
발음과 뜻이 서로 교차되어... |
|
|
|
|
☞ |
이제 같은 자음 2개가 합쳐진 경음을
'Fortis[ 乙티스]'라고
하자. |
|
|
|
|
|
<- 왜냐면 엔글 'fortis'를 발음하면 [뽀乙티스]처럼
첫음이 된소리로... |
|
|
|
|
|
또한 된소리를 <굳다, 단단하다>의 ' '에서
<겅음→경음>으로
하자. |
|
|
|
|
|
|
|
|
|
|
|
←
발음과 뜻이 서로 교차되어... |
|
|
|
|
|
|
|
|
*
Dear Chinese, I changed the pronunciation
of the letter '蜜[mi/미]'
into '蜜[mil/밀]' |
|
|
|
|
|
甛[tiaen/ ]:
甘[gan/간(감)](sweet/ )
+ 舌[she/ ](tongue/혀)
=> 킷스 |
|
비슷한
어감 -> 같은 어원? |
간
/ |
키스 |
©
한글(Hangle) |
|
↖
달콤한 혀 |
|
|
|
|
|
|
|
|
|
|
by
鄧麗君[DengLiJun/덩리준]
|
|
by
등려준 |
|
|
|
甛蜜蜜, 笑得甛蜜蜜
<-
甛: 甘+舌:
ki + ss -> kiss |
|
달달한
키스, 그대 미소가 참 달달해 <-
+으
-> 킽스 ->
키스 |
|
|
|
밀밀,
니
데
밀 밀*
<-
티앤
미 미 니 샤오
더 티앤 미
미* |
|
첨밀밀,
니소득첨밀밀 //
니/near/ /너:
you -> Go |
|
|
|
好象花兒
開在春風裏 |
|
봄바람
속에 피어난 꽃남 같아 |
|
|
|
화 얼
춘
리 <-하오
싀앙
화 얼 카이
자이
춘 펑
리 |
|
호상화아
개 재춘풍리 |
|
|
|
開在春風裏
|
|
봄바람
속에 피어나는... |
|
|
|
춘
리
<- 카이 자이
춘
리 |
|
개
재 춘 풍 리 |
|
|
|
在那里,在那里見過 |
|
어디서,
어디서 그댈 봤을까 |
|
|
|
나 리,
나 리
궈니 <-
자이 나 리 자이
나 리 지앤
궈 니 |
|
재나리
재나리견과니 ?[ni] = 爾[어 ](너
이)
|
|
|
|
的笑容這樣熟悉 |
|
그대 웃는
얼굴이 이렇게 낯익은데 |
|
|
|
니
더
양
싀
<- 니 디 싀아오
롱 저허
양 쇼우
싀 |
|
니적소용저양
숙실 // 悉[xi/싀]:
잘 알다 // 新羅[Xinluo]
-> 悉拉(?)
|
|
|
|
我一時 想不起 |
|
잠시 생각이
나질 않아 |
|
|
|
이
부 치 <-
워 이 ㅅ히 싀앙 부 치 |
|
아일시상불기 |
|
|
|
啞,
在夢裏 |
|
아, 꿈에서였네 |
|
|
|
아,
몽 리 <- 아 자이
멍 리 |
|
아
재몽리 // 啞(벙어리 아) = ?(하) |
|
|
|
夢裏,夢裏見過 |
|
꿈에서,
꿈에서 그댈 봤어 |
|
|
|
몽
리, 몽 리
궈 니 <-
멍 리 멍 리 지앤 궈 니 |
|
몽리
몽리견과니 |
|
|
|
甛蜜,
笑得多 甛蜜 |
|
달콤한
킷스,
너무나 달콤한 그 미소 |
|
|
|
밀,
더
밀 <- 티앤
미 샤오 더 뚜오와
티앤 미
|
|
탄밀
소득다 탄밀 |
|
|
|
是 ,是
|
|
바로 그대,
그대였어 |
|
|
|
니,
니 <-
스어
니 스어
니 |
|
시니
시니 |
|
|
|
夢見的就是 |
|
꿈속에서
본게 바로 그대였어 |
|
|
|
몽
더
니 <-
멍 찌엔 더 ?우
스어 니
|
|
몽견적취시니 |
|
|
|
在那里,在那里見過
|
|
어디서,
어디서 그댈 봤을까 |
|
|
|
나 리,
나 리
궈 니 |
|
재나리
재나리견과니 |
|
|
|
的笑容這樣熟悉 |
|
그대 웃는
얼굴이 이렇게 낯익은데 |
|
|
|
니
더
양
싀 |
|
니적소용저양
숙실 // 這[zhe]; 이 / 이렇게 |
|
|
|
我一時 想不起 |
|
잠시 생각이
나질 않아 |
|
|
|
이
부 치 |
|
아
일시 상불기 |
|
|
|
啞,
在夢裏
|
|
아, 꿈에서였네 |
|
|
|
아,
몽 리 |
|
아
재몽리 |
|
|
|
Interlude |
|
간주 |
|
|
|
在那里,在那里見過
|
|
어디서,
어디서 그댈 봤을까 |
|
|
|
나 리
나 리
궈 니 |
|
재나리
재나리견과니 |
|
|
|
的笑容這樣熟悉 |
|
그대 웃는
얼굴이 이렇게 낯익은데 |
|
|
|
니
더
양
싀 |
|
니적소롱저양
숙실 |
|
|
|
|
|
잠시 생각이
나질 않아 |
|
|
|
이
부
치 |
|
아일시상불기 |
|
|
|
啞,
在夢裏
|
|
아, 꿈에서였네 |
|
|
|
아,
몽 리 |
|
아
재몽리 |
|
|
|
夢裏,
夢裏見過
|
|
꿈에서,
꿈에서 그댈 봤어 |
|
|
|
몽
리, 몽 리
궈 니 |
|
몽리몽리견과니 |
|
|
|
甛蜜,
笑得多 甛蜜
|
|
달콤한
킷스, 너무나 달콤한
그 미소 |
|
|
|
밀,
더
밀
|
|
탄밀
소득다 탄밀 |
|
|
|
是 ,是
|
|
바로 그대,
그대였어 |
|
|
|
니
니 |
|
시니
시니 |
|
|
|
夢見的就是
|
|
꿈속에서
본게 바로 그대였어 |
|
|
|
몽
더
니
|
|
몽견적취시니 |
|
|
|
在那里,在那里見過 |
|
어디서,
어디서 그댈 봤을까 |
|
|
|
나 리,
나 리
궈 니 |
|
재나리
재나리견과니 |
|
|
|
的笑容這樣熟悉 |
|
그대 웃는
얼굴이 이렇게 낯익은데 |
|
|
|
니
더
양
싀 |
|
니적소롱저양
숙실 |
|
|
|
我一時 想不起 |
|
잠시 생각이
나질 않아
|
|
|
|
이
부 치 |
|
아
일시 상불기 |
|
|
|
啞,
在夢裏
|
|
아, 꿈에서였네 |
|
|
|
아,
몽 리 |
|
아
재몽리 |
|
|
*
Dear Chinese, I changed the pronunciation of the
letter '蜜[mi/미]'
into '蜜[mil/밀]' |
|
[tiaen]
/ [jiaen] |
|
|
|
|
|
|
|
|
|
|
|
|
|